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궁리
사고
일고
안
d라이브러리
"
생각하기
"(으)로 총 14,498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별 1·2호 그후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1. 지상 800㎞ 서 본 한반 도우리별 2호의 지표면촬영카메라는 2백m를 한점으로 인식한다. 비록 성능은 과학위성인 스폿의 카메라에 훨씬 미치지 못하지만 이를 운용하는 기술은 체계적으로 습득하고 있다.요즘은 사방에서 환경관측위성 자원탐사위성 기상위성 등 위성에 관련된 이야기들이 자주 들 ... ...
동물잡종교배 어디까지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사자와 호랑이의 잡종 라이거, 말과 당나귀의 잡종 노새는 모두 종간 잡종이다. 최근 개발에 성공한 '메닭'은 종(種)뿐 아니라 속(屬)이 다른 속간잡종이라 주목을 받았다. 계통이 다른 동물간의 교배는 과연 어디까지 가능한 것일까."아직은 크게 내세울 만한 것이 못됩니다. 보통 닭의 경우 발생률 ... ...
지구과학 - 기압ㆍ온도조건 따라 다양한 모양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흰눈으로 뒤덮인 설경은 추한 것을 감싸주고 혹한 속에서도 포근함을 느끼게 하는 우리 나라 겨울의 아름다운 모습의 하나다. 이 달에는 눈의 생성 과정과 결정 모양에 대해 알아보자.눈의 결정의 크기는 대개 2-3㎜인데, 그 모양은 다양하고 아름다우며 똑같은 결정이 없다. 눈의 결정의 연구로 유 ... ...
4. '혼돈의 언어' 프랙탈이란?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프랙탈은 자연계의 구조적 불규칙성을 기술하고 분석할 수 있는 새로운 기하학이다.17세기 후반 자연의 운동현상을 미분방정식으로 표현하여 해석한 뉴턴역학의 대두로 정량과학은 확고한 발전적 토대를 갖추었다.이후 3백년 동안 과학자들은 미분방정식의 해를 구하여 자연의 운동을 이해하려는 ... ...
허블망원경 수리 성공하기까지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고장난 허블우주망원경 수리가 완료됐다. 12월2일 7명의 승무원을 태우고 11일간의 장도에 오른 엔데버는 예정대로 망원경 수리를 마치고 무사히 귀환했다. 수리가 100% 성공했다면 허블망원경은 94년 1월말부터 정상상태의 맑은 우주사진을 지상에 전송할 것이다.이번에 수리된 곳은 초점이 맞지 않 ... ...
유전공학자 하지홍교수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일찍이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진돗개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알려지고, 하마터면 멸종될 뻔한 우리의 토종 삽살개의 혈통보존작업에 매달리고 있는 하지홍교수. 그는 마침내 삽살개를 천연기념물로 지정받도록 하고 이 개를 한국을 대표하는 세계적인 개로 만들기 위해 뛰고 있다.지난 해 가을 북한 ... ...
유·무선 단점보완한 레이저통신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레이저의 직진성을 이용한 레이저통신이 새로운 통신수단으로 각광받고 있다.서울 여의도에 위치한 한국방송공사(KBS)는 본관과 별관이 2㎞ 정도 떨어져 있다. 본관에 근무하는 직원이 별관에 있는 사람과 정보를 교환하는 경우를 생각해보자. 간단한 통신은 전화로도 가능하지만 방송에 쓰이는 영 ... ...
공부밖엔 할 것 없던 시절의 '짧은'여유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물리학과 12회는 모두 30명이 입학했었다. 우리들은 6·25 전쟁 직후 서울에서 입학시험을 치고 들어온 동기들이다.왜 그랬는지는 잘 기억이 나지 않지만 우리는 명륜동에 있는 성균관대학에서 입학시험을 보았다. 당시 면접시험은 돌아가신 권녕대교수가 보았는데, 현재 한국 ... ...
화학 - 분자의 질량이 크면 끓는점이 높다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물질의 성질 중 끓는점은 물질의 내부를 이해하는데 많은 정보를 주고 있다. 끓는점을 이용해 다른 구조와 성질을 갖는 여러 가지 탄소화합물의 내부 사정을 살펴보자.석유 정제 공장에 우뚝 솟아 있는 정제탑은 원유를 끓는점의 차이에 의해 분류하는 장치이다. 분별 증류탑이라고 불리는 이 탑의 ... ...
(2) 길이 4㎞ 레이저 간섭계로 미세진동 추적한다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너무나 약해 검출하기 힘든 중력파. 세계의 천체물리학자들은 이를 검출하기 위해 쌍둥이 LIGO를 비롯 지구촌 곳곳에 중력파검출기를 건설하고 있다."중력파를 잡는데는 1등이 없다. 데이터가 정확한지는 다른 안테나에서 같은 시간의 것을 비교해 보아야 한다. 중력파를 누군가가 독점하려고 한다 ... ...
이전
1233
1234
1235
1236
1237
1238
1239
1240
12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