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궁리
사고
일고
안
d라이브러리
"
생각하기
"(으)로 총 14,498건 검색되었습니다.
형태 색깔 등 분야별로 전문처리 네트워크 구성해 바깥세계 이해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시각에는 5종류의 영역이 존재하고 각기 형태나 색 등 특정 성분을 전문처리한다. 동시에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처리결과를 통합, 지각이나 이해를 해낸다.시각계의 연구는 고도의 철학적인 모험이다. 뇌가 어떻게 바깥 세계에 대한 지식을 획득하는가 라는 문제의 탐구를 뜻하기 때문이다. 뇌가 위 ... ...
장기기억은 시냅스에 깊이 새겨져 오랫동안 존재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인간 정신기능의 기초가 되는 기억. 기억은 어떻게 생성되고 보존되나. 기억 기능에 이상이 생기는 알츠하이머병은 무엇일까.기억은 인간의 지적발달과 인류문명의 창조를 가능케 해주는 가장 중요하고 기본적인 기능이다. 고도의 사고 기능과 학습기능은 기억을 바탕으로 대뇌에서 이루어진다.인 ... ...
당신을 '컴퓨터 도사'로 만드는 OLE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윈도우의 모든 프로그램은 클립보드를 통해 데이터 공유가 가능하다. 한 차원 높은 데이터 공유를 실현하기 위한 윈도우의 고급기능 OLE를 살펴보자.전형적인 컴퓨터 작업의 경우를 생각해보자. 보통 어떤 일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먼저 근거가 되는 자료가 있어야 한다. 컴퓨터를 이용하지 않는 경 ... ...
"공룡은 지구 전역에 퍼져 살지 않았다"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인류가 출현하기 전에 사라진 공룡. 지금으로부터 6천5백년 전까지 지구를 지배했던 공룡에 대한 관심은 끝없이 이어진다. 그렇다면 다음의 질문을 한번 생각해보자. '공룡은 과연 지구 전역에 퍼져 있었을까.' 공룡이 전시된 자연사 박물관을 관람하고 나면 공룡이 번성했던 중생대 백악기(1억4천 ... ...
우주감마선의 진원지는 중성자별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파장이 짧고 투과력이 강한 응용분야가 점점 많아지고 있는 감마선. 하루에 한번꼴로 거대한 에너지를 분출하는 우주감마선의 정체는 무엇일까. 최근 천문학자들은 주기적으로 깜짝쇼를 펼치는 우주공간의 감마선에 대해 큰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아주 짧은 순간, 수초 동안에 어마어마한 에너 ... ...
플라시보효과, 환자 3명중 2명꼴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플라시보 효과는 암이나 에이즈 등 심각한 병에서는 얻을 수 없다. 플라시보 효과(위약효과)에 대해 연구하는 과학자들은 그것이 어떻게 병을 치유하는지를 조금씩 밝혀가고 있다. 근착 '뉴욕타임스'에 따르면 치유와 상관없는 처방을 받은 환자가 그 처방을 통해 병이 나으리라고 믿을 때 발생하 ... ...
프랑스 첨단과학기술 6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프랑스 첨단기술이 몰려오고 있다. 지난 8월 TGV가 경부고속전철로 선정되고 9월 미테랑 프랑스 대통령이 방한하면서 한국과 프랑스 간의 기술이전논의가 활발하게 거론되고 있다. 현재 한국은 고속전철관련 생산기술, 중형항공기의 기본설계에 관련된 안정성시험 평가기술, 5백kg급 다목적 인공위 ... ...
태양계의 보석 행성 여행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태양계의 행성은 밤하늘의 보석이다, 작게 보이지만 어마어마하게 큰 보석이다. 그 보석은 보는 사람이 임자다.어두운 밤하늘을 자세히 쳐다보면 밝고 어두운 뭇별들이 셀 수 없을만큼 많이 빛나고 있다. 이 수없이 많은 별들 중에서 행성들을 어떻게 찾을 것인가?행성들은 맨눈으로는 항성과 잘 구 ... ...
화학- 자연계 모든 물질의 반응물·생성물 평형상태 유지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화학 반응에서의 평형은 정적 평형이 아닌 동적 평형이다. 화학 평형은 반응물질의 양과 생성물질의 양이 균형잡힌 상태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질소와 수소로부터 암모니아를 합성하는 일은 매우 어렵다. 수소와 질소를 모두 소모해 암모니아를 합성하는 일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처음에는 반 ... ...
뇌의 손상부위 따라 말하기 듣기 건망증 등 언어장애 각각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인간이 언어를 다루는 곳은 두뇌 중에서도 왼쪽 뇌 표면 부분의 5mm 두께밖에 되지 않는 뇌피질이다.언어는 다른 동물에게서 찾아볼 수 없는 인간만의 고유한 능력이다. 언어가 없었다면 우리가 오늘날 향유하는 문화가 불가능하였다는 사실도 부인할 수 없다. 그런데 그 언어는 정상적인 사람이라 ... ...
이전
1237
1238
1239
1240
1241
1242
1243
1244
12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