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밖"(으)로 총 5,740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무한한 손짓을 흉내 내기 위하여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지령을 보내기 위해, 그리고 손의 감각을 뇌로 전달하기 위해, 34개의 이름 있는 신경과 그밖의 수백 개의 이름 없는 신경이 얽혀 있기도 하다. 이들 관절과 신경, 근육은 서로 긴밀히 협업해 복잡한 손의 움직임을 가능케 한다. 손의 구조와 움직임이 복잡한 만큼, 뇌가 손을 제어하는 메커니즘도 ... ...
- [Tech & Fun] 모자를 벗지 않는 사람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상태였어요. 자이카 바이러스에 감염된 인간 성체는 소두증이나 무뇌증에 걸린 신생아밖에 낳을 수 없었어요. 지구인들은 목성의 위성에 무인 개척지를 만든 다음 거대한 우주선에 타고 이주하기 위해 출발했어요. 그 때 ‘우리’가 열었던 웜홀이… 그럴 확률은 정말 0에 가까웠는데… 우리는 ... ...
- [Knowledge] 미크로네시아 해양과학기지를 가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마구 흔들어 놓았다.열대어들을 본 단원들은 바다 속에서 만날 때마다 얼굴을 수면 밖으로 내놓고는 자신이 본 물고기를 설명하느라 바빴다. 모상현(경북 울진고 1학년) 학생은 물 속에서 기자의 팔을 잡아당기며 예쁜 산호 쪽으로 안내하기도 했다. 예쁜 산호를 감상하는 것은 자유지만, 해양 생물을 ... ...
- PART 1. 의식과 무의식이 빚은 1만 개의 언어, 표정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박사팀이 지난해 학술지 ‘플로스원’에 밝힌 연구 결과에 따르면, 사람은 0.1~0.31초 밖에 되지 않는 찰나에도 다른 사람의 표정을 읽고 감정을 파악할 수 있다.하지만 주의할 점이 있다. 표정을 100% 정확하게 읽을 수는 없다. 표정이 단순히 얼굴의 구조적인 특성으로만 결정되지 않기 때문이다. 영국 ... ...
- [퍼즐탐정 썰렁홈즈] 발명왕 ‘ 머라도 다맹그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바로 봄바람이에요!”그랬다. 강한 봄바람에 모든 방안이 흐트러졌고, 설계도도 창문 밖으로 날아가 버렸던 것이다.“흑! 봄바람 미워잉~. 내 설계도 돌려줘잉~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악기 없이 음악 연주하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채운 공기가 진동할 때 나는 소리를 이용한 악기다. 입구로 공기를 불어 넣으면 일부는 밖으로 빠져나가고 일부는 안에 남아 진동한다. 이때 리코더 몸체가 갖고 있는 진동수와 공기의 진동수가 일치할 경우, 공기의 진동이 커지면서 소리가 나게 된다. 이처럼 두 진동의 진동수가 합쳐지는 현상을 ... ...
- [핫이슈] 지진 대비! 집을 지키는 수학!수학동아 l2016년 10호
- 건물이 받는 여러 가지 압력을 견뎌냅니다. 덕분에 건물이 쉽게 무너지지 않고, 사람들이 밖으로 대피할 시간을 벌 수 있어요. 세상에서 가장 안전한 삼각형이지요?백신으로 전염병을 예방하듯 지진도 미리 막을 수 있다면 좋겠지만,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오직 지진 피해가 최대한 없도록 노력하는 ... ...
- [지식] 우리 집에 수학이 있다수학동아 l2016년 10호
- 가장 먼저 적막을 깬 건 창문이에요. 창문을 활짝 열자, 시원한 가을바람이 솔솔 들어옵니다. 창문은 쨍쨍 내리쬐는 가을 햇빛을 막아주는 역 ... 머리의 생김새, 눈동자의 모양이 달라 시야각도 다르기 때문이지요. 그래서 창문 밖에서 몰래 보고 있는 비둘기에게는 최고의 위치가 아니에요 ... ...
- [Knowledge] 치아와 쇄골은 ‘뼈의 신분증’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모두 나있고 그 중 어금니 4개에 치료 흔적을 가진 사람을 찾을 수 있는 확률은 약 0.02% 밖에 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프로그램의 개발에 힘입어 최근 필자가 근무하는 미국 국방성 합동 포로 및 실종자 확인국(DPAA)에서는 제2차 세계대전 전사자의 치아를 그 당시 치과 기록과 대조해 수십 명의 신원을 ... ...
- [Career] "머리카락보다 작은 소재의 활약을 기대하세요!"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변형도 쉬운 차세대 PEG를 개발하고 있다. 약물을 전달한 다음에는 스스로 분해되거나 몸 밖으로 나갈 수 있어 인체에 훨씬 무해하다. 연구팀은 이런 연구를 바탕으로 개발한 차세대 PEG 고분자로 현재 서울대병원 연구팀과 함께 동물 실험 중이다. 김 교수는 “고분자나 나노소재를 새롭게 개발해 ... ...
이전1191201211221231241251261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