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밖"(으)로 총 5,740건 검색되었습니다.
- [도전! 코드마스터] 코딩을 내 맘대로! 컴퓨터 언어의 세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하지요. 그래서 익스플로어나 크롬 같은 웹브라우저 안에서 주로 사용된답니다.이 밖에도 베이직, 루비, 자바, 펄 등 다양한 언어가 있어요. 요즘에는 이 언어를 한글 단어로 대체한 코딩 교육 프로그램도 나오고 있고요. 여러분도 프로그래밍 언어들을 잘 살펴보고, 자신에게 맞는 언어를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한국과학기술원 원더랩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여러 가지 개념을 즐겁게 배울 수 있었답니다.더욱 즐거운 삶을 위하여~연구실에는 이 밖에도 빛으로 자세를 교정해 주는 스노우보드와 애니메이션이 나오는 테이블 등 여러 가지 즐거운 과학 발명품들이 가득했어요. 기자단 친구들은 원더랩의 지도교수님이신 이우훈 교수님께 왜 이런 연구를 ... ...
- [소프트웨어] 나 잡아봐라! 두더지 잡기 앱수학동아 l2016년 10호
- 구멍 밖으로 머리를 쑥 내밀었다가 잽싸게 땅 속으로 들어가려는 두더지를 맞히는 ‘두더지 잡기 게임’을 아시나요? 두더지가 머리를 맞으면 “아야, 왜 때려!”라고 말했던 기억이 나네요. 이번 호에서는 제한 시간 안에 두더지를 잡아 점수를 내는 두더지 잡기 게임을 만들어 봐요!오늘의 미션1980 ... ...
- 5가지 키워드로 본 한반도 지진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대피요령을 미리 숙지하고 실제로 훈련해 보는 것이 중요하다. 지진이 났을 때 즉시 집밖으로 나가야 하느냐 아니냐를 두고도 논란이 일었다. 국민안전처가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한 행동 매뉴얼에 따르면 지면이 흔들리는 시간은 길어야 1~2분이다. 일단 가스 밸브와 수도 밸브를 잠그고 문을 열어서 ... ...
- [Tech & Fun] 아이를 잃은 엄마의 차가운 복수 '고백'의 '우유 살인사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경우 HIV는 18분에서 최대 43분까지 살아남았습니다(doi : 10.1002/jmv.1890350402). 만약 몸 밖으로 나온 HIV가 오랫동안 생존할 수 있다면 에이즈 환자와 악수를 하거나 일상적인 접촉을 하는 것만으로도 감염 위험이 있겠죠. 하지만 현재까지 이런 접촉으로 감염된 사람은 단 한 명도 없습니다.문제는 이들의 ... ...
- D 바이오브릭, 내 맘대로 생물체를 만든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요청하기도 했어요. 그만큼 합성생물이 가져올 위험에 대해 걱정했단 뜻이겠지요.이 밖에도 합성생물학엔 다양한 문제가 얽혀 있어요. 누군가 합성생물을 만들었을 때 그 생물을 마치 발명품처럼 다루어도 되는 걸까요? 지금은 합성생물이 세균 단계에서 연구되고 있지만, 더 많은 동물에게 ... ...
- [재미] 마왕의 탑 9화 불어나는 토끼수학동아 l2016년 09호
- 수 있겠어요!”네이피어는 기뻐 소리치는 단을 쳐다보더니 폴짝폴짝 뛰면서 앵무조개 밖으로 달려나갔다. 뒤이어 단도 네이피어를 따라나섰다. 그때였다. 입구에 있던 촉수들이 뻗어 나오더니 단을 꽁꽁 묶었다. 촉수에 묶인 단은 꼼짝하지 못했다. 그리고 앵무조개 촉수는 단을 한순간에 집어 ... ...
- [Knowledge] 협력자 끼리끼리과학동아 l2016년 09호
- A씨를 어디서 납치했는지는 아무도 모른다. 우리는 그 가능성이 0.7%라고 답할 수 밖에 없다.이렇게 상대방을 무작위적으로 만나는 상황에서는, 처음에 협력 유전자가 아무리 높은 빈도로 있었다고 해도, 결국엔 배신이 득세하고 협력은 자취를 감춘다. 협력자는 누구든지 만나는 족족 호의를 ... ...
- PART 3. 거대 도시가 사라지려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사람이 통행하는 상판으로 이뤄진다. 따라서 부위별로 해체방법을 다르게 적용할 수밖에 없다. 해체 순서는 교량 상판, 교각과 교대, 그리고 기초부위로 탑다운 방식으로 이뤄진다.교각이나 교대는 대부분이 콘크리트다. 교각을 부수는 데 발파공법을 이용할 수도 있고 절단기를 이용할 수도 있지만, ... ...
- [Tech & Fun] 다음 체중계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분명 실재했다. 그 비현실성을 설명하려면 아무래도 과감한 가설을 가져오는 수밖에 없었다. 그런데 그게 너무 과감한 가설이었다면? 미래를 예측하는 기계가 아니라면? 거기가 첫 번째 갈림길이었다. 언뜻 눈에 띄지는 않았지만 다른 길 하나가 숨겨져 있는 게 분명했다.‘미래를 알아맞힌 건 ... ...
이전1201211221231241251261271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