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meter
파라미터
파
metre
miter
뉴스
"
미터
"(으)로 총 2,657건 검색되었습니다.
마스크 대란이라는데… 면마스크·키친타올마스크 써도 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0.02.25
인증을 받은 방진마스크(N95마스크)다. 이 마스크는 공기 중에 떠다니는 지름 1μm(마이크로
미터
·100만분의1m) 정도의 미세입자를 95%까지 걸러준다. 실제로는 약 0.3μm 크기의 입자도 걸러준다고 알려졌다. 코로나바이러스는 공 모양이며 평균 지름이 0.1μm 정도다. N95마스크에 촘촘히 난 구멍보다도 ... ...
스티커처럼 자유롭게 뗐다 붙이는 이차전지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25
디바이스용 에너지저장소자로는 리튬박막전지가 활용됐다. 리튬박막전지는 마이크로
미터
두께의 얇은 필름 형태로 만든다. 이 때 유연한 구조적 특성상 공기 중 수분과 노출해 폭발할 위험성이 있고 반복적으로 구부러질 경우 전극의 단락이 생길 수 있다. 연구진은 극초단 레이저 공정 기술을 ... ...
아주 위험한 휴식
팝뉴스
l
2020.02.22
여성이 발코니 난간에 누워서 휴식을 취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바닥까지는 적어도 5
미터
는 될 것 같다. 어쩌면 더 높을 지도 모른다. 그런데 여성은 아주 편안하게 쉬고 있다. 휴대폰을 보고 있는 것인가 아니면 셀카 촬영 중일까. 촬영자가 급히 현장을 다시 살펴보니, 여성은 없었다고 한다. ... ...
삼성디스플레이, '접히는 유리' 커버 윈도 상용화 성공
연합뉴스
l
2020.02.19
UTG는 삼성전자가 11일 공개한 갤럭시Z플립에 최초로 적용된다. UTG는 30마이크로
미터
(㎛) 수준으로 얇게 가공한 유리에 유연성과 내구성을 높이는 강화 공정을 거쳐 완성한다. 이 과정에서 초박형 유리에 특수 물질을 주입해서 균일한 강성을 확보하는 것이 핵심 기술이다. 삼성디스플레이는 ... ...
"삼성전자, 퀄컴서 5G 모뎀칩 생산 계약 따내"
연합뉴스
l
2020.02.19
난도는 상승한다. 소식통은 대만의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업체 TSMC도 퀄컴의 5나노
미터
모뎀칩을 제조할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메모리 반도체나 모바일 AP(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등을 독자적으로 설계·생산하는 것 외에도 퀄컴처럼 반도체 설계만 하는 회사(팹리스)로부터 ... ...
美연구진 "코로나19, 사스보다 더 전염 잘 되는 구조"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0.02.18
연구팀은 저온전자현미경을 활용해 코로나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 부분을 0.35나노
미터
(㎚·10억 분의 1m) 해상도로 3207회 촬영하고 그 구조를 분석했다. 코로나바이러스는 표면에 가시처럼 돋은 스파이크를 인간 세포 표면에 있는 ACE2 수용체에 결합시키는 방법으로 세포에 침입한다. ... ...
[AAAS연례회의]"일상이 된 산불, 인간의 폐를 공격한다" 美전문가 '경고'
동아사이언스
l
2020.02.16
혼합돼 있습니다. 특히 산불 연기의 40%를 차지하는 미세먼지는 2.5미크론(μ∙ 100만분의 1
미터
)보다 작아 폐 안쪽 깊숙이 침투할 수 있습니다.” 리사 밀러 미국 데이비스 캘리포니아대 생리학과 교수는 14일(현지시간) 미국 시애틀에서 열린 미국과학진흥협회(AAAS) 연례회의에서 “산불 연기의 가장 ... ...
줄기세포 운반하는 '초소형로봇' 망가진 무릎 고쳤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16
효과를 볼 뿐 아니라 무릎을 절개해야하는 문제도 있다. 연구팀은 지름 350마이크로
미터
(㎛·100만 분의 1m) 크기의 몸속에서 녹는 구조체에 동물 골수에서 유래한 성체줄기세포를 담은 스템셀 네비게이터라는 로봇을 개발했다. 자성을 띠는 입자를 달아 외부 자기장을 조작해 몸속에서 원하는 ... ...
"누르면 티 나요" 빛나는 고감도 압력 센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2.13
전도도가 늘어나 감도가 늘어난다. 연구팀은 접촉량을 늘릴 수 있도록 1마이크로
미터
(㎛·100만 분의 1m)당 100개 층을 쌓았다. 여기에 전기를 가하면 발광하는 양자점 소자를 넣어 압력에 따라 빛이 나도록 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센서는 양자점 소자를 넣어 압력에 따라 붉은 빛을 낸다. ETRI 제공 ... ...
나노재료 관찰하는 '소금 렌즈'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13
소금 결정을 만들게 된다. 이 교수는 "소금 결정의 크기는 수백 ㎚에서 수 마이크로
미터
(㎛·100만 분의 1m)"라고 설명했다. 관찰 가능한 크기 한계가 200㎚인 광학 현미경으로도 관찰할 수 있는 크기다. 연구팀은 이 소금결정이 탄소나노튜브의 광학신호를 최대 230배 증폭시킨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 ...
이전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