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meter
파라미터
파
metre
miter
뉴스
"
미터
"(으)로 총 2,657건 검색되었습니다.
지난 겨울 잃어버린 자동차
팝뉴스
l
2020.01.23
자동차를 발견해 화제가 되고 있다. 도로 제설 작업을 하고 보니, 도로 양옆에 2
미터
높이의 눈이 성벽처럼 쌓여 있게 되었는데, 자동차 한 대가 눈속에 묻혀 있었다. 지난 겨울의 초입 또는 작년이나 재작년 겨울에 누군가 차를 잃어버렸다. 눈이 너무 많이 내려 주차한 곳을 찾을 수 없었을 ... ...
종이보다 수만 분의 1 얇은 평면자석 세계 첫 합성
동아사이언스
l
2020.01.19
실제로 Fe4GeTe2를 합성하는 데 성공했다. Fe4GeTe2는 0~10도에서 강자성을 나타낸다. 수 나노
미터
두께로 떼어냈을 때도 강자성이 그대로 유지됐으며, 다른 2차원 물질과도 쉽게 결합할 수 있어 향후 서로 다른 2차원 물질을 결합해 스핀정보소자를 개발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을 전망이다. 또 스핀 상태가 ... ...
[표지로 읽는 과학]세포를 완전한 3D로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9
하지만 세포를 일일이 잘라내는 과정에서 세포가 망가지기 쉽고, 수십 마이크로
미터
(㎛·100만 분의 1m) 크기의 세포를 한번에 조망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연구팀은 두 현미경을 조합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우선 고압에서 세포를 동결시킨다. 세포의 활동을 급격하게 멈추고 얼리는 과정에서 ... ...
빛 색깔 바꾸는 '제3의 방법' 증명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7
특정 파장 빛의 반사를 이용하는 방법 두 가지가 있다. 최근 들어 제3의 방법으로 수 나노
미터
(nm·1nm는 10억 분의 1m) 크기의 입자를 가진 나노 구조에 빛을 집중시켜 빛을 제어하고 빛의 파장을 바꾸는 방법이 이론적으로 제시됐다. 하지만 아직까지 실험적으로 입증된 적은 없다. 국내 연구팀이 이 ... ...
피 한 방울로 중증 알츠하이머 진단…정확도 88%
연합뉴스
l
2020.01.15
탄소나노튜브를 정렬한 진단 센서를 개발했다. 탄소나노튜브는 지름이 나노
미터
(㎚·10억분의 1m) 수준인 원기둥 모양의 탄소 소재이다. 무작위로 방향성을 가질 때보다 정렬할 때 저항을 최소한으로 줄임으로써 분석물 측정의 민감성을 높일 수 있다. 실제 개발된 센서는 기존 ... ...
스스로 빛내고 알아서 선명하게… 디스플레이가 살아 숨쉰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3
디스플레이 제품을 선보였다. 이 디스플레이는 스스로 빛을 내는 100마이크로
미터
(100만 분의 1m) 이하의 작은 LED 하나하나를 화소로 쓴다. 자체 발광이라 백라이트가 필요없고, 형태나 크기에 제약이 없는 게 특징이다. 수십 인치 크기의 가정용부터 100인치 이상 크기의 상업시설용 대형 스크린까지 ... ...
안정성 높고 효율 유지하는 '수전해 분리막'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1.10
문제가 있었다. 연구팀은 분리막의 세공 크기를 기존 분리막이 갖던 150마이크로
미터
(㎛·100만 분의 1m)에서 80㎛로 줄이면서도 전압 효율을 유지하는 분리막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저항을 줄이기 위해 분리막에 들어가는 친수성 성분인 지르코니아 입자를 분리막에 균질하게 분포하도록 만들어 ... ...
[사이언스N사피엔스] 뉴턴의 사과
2020.01.09
확인된 적이 없었기 때문이다. 최근의 실험결과 하나를 소개하자면 수십 마이크로
미터
까지 역제곱 법칙이 확인되었다. 반대로 아주 큰 우주적인 스케일에서 역제곱 법칙이 작동하지 않을 수도 있다. 우주의 암흑물질 등을 대체해서 설명하기 위해 일부 과학자들은 수정된 뉴턴 동역학(Modified ... ...
SKT, '자율주행의 눈' 만든다…CES서 차세대 라이다 공개
연합뉴스
l
2020.01.08
핵심 역할을 한다. 이번에 공개한 차세대 단일 광자 라이다는 SK텔레콤의 1550nm(나노
미터
=10억분의 1m) 파장 레이저 모듈과 PSSI의 2D 초소형 정밀기계 기술(MEMS) 미러 스캐닝 기술을 결합한 세계 최초 라이다다. 2021년 상용화될 예정이다. SK텔레콤은 1550nm 파장의 레이저 모듈은 기존 905nm 파장의 ... ...
QLED vs. OLED vs. 마이크로LED…CES는 디스플레이 기술 각축장
동아사이언스
l
2020.01.08
선보였다. 홈엔터테인먼트에 적합한 디스플레이로, 스스로 빛을 내는 마이크로
미터
(100만 분의 1m) 크기의 작은 LED 하나하나가 화소가 되기 때문에 형태나 크기에 제약이 없는 게 특징이다. 수십 인치 크기의 가정용부터 100인치 이상 크기의 상업시설용 대형 스크린까지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 ...
이전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