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미터"(으)로 총 2,657건 검색되었습니다.
- 생체 분자로 양자역학 '파동-입자 이중성' 첫 확인동아사이언스 l2019.11.11
- 작아져 측정이 어렵다. 연구팀이 그라미시딘 물질파의 파장도 350펨토미터(1펨토미터는 1000조 분의 1m)로, 그라미시딘 분자 자체 크기의 1000분의 1 수준으로 작았다. 지름 24cm인 농구공이 지나간 흔적을 찾아야 하는데, 구분해야 하는 흔적의 거리 차가 0.24mm에 불과한 것과 비슷하다. 연구팀은 정교한 ... ...
- 대한민국 엔지니어상에 백경목 SK하이닉스 수석연구원·이재만 다원산업 대표동아사이언스 l2019.11.11
- 수 있는 계측기술의 중요성이 기술 못지 않게 중요하다. 백 수석연구원은 10나노미터급 초미세 패턴의 기술 완성도와 불량을 검증할 수 있는 신 계측법을 국내 처음으로 개발 및 상용화했다. 백 수석연구원이 개발한 신계측법은 웨이퍼 1장을 18분 만에 완벽히 계측해 잠재적인 불량을 검출할 수 ... ...
- 양성자 크기를 둘러싼 10여년 물리학 논쟁 종지부 찍나동아사이언스 l2019.11.09
- 일반 수소를 이용한 실험보다 이론상 수백만 더 정확하다고 주장했다. 0.84184펨토미터가 더 정확한 양성자 반경이라는 것이다. 이 실험을 이끈 랜돌프 폴(Randolf Pohl) 독일 요하네스 구텐베르크 마인츠대 교수는 또다른 뮤온 실험 그룹과의 공동 연구로 이같은 결과를 재확인했다. 엇갈리는 결과를 ... ...
- 2021년 발사할 누리호 추적소 남태평양 팔라우에 열어동아사이언스 l2019.11.06
- 해외 추적소의 필요성에 대해 설명했다. 팔라우 해외추적소는 부지면적이 약 2만8000제곱미터(㎡)에 7.3m급 대형 원격자료수신 안테나와 위성 통신망을 갖췄다. 이 장비들을 통해 약 1700km 거리의 발사체에서 원격자료와 영상수신이 가능하다. 속도와 가속도, 위치, 자세, 단 분리, 위성 분리 신호 및 ... ...
- 이달의 과학기술인에 신축성 전자시스템 권위자 홍용택 교수동아사이언스 l2019.11.06
- 나타내는 값이다. 고무와 같이 쉽게 늘어나는 신축성 기판 내부에 수~수십 마이크로미터(㎛·100만분의 1m) 크기의 딱딱한 투명 아일랜드 구조를 인쇄공정을 이용해 삽입했다. 이 기판에 전자 시스템이 구현될 경우 외부에서 가해지는 심한 기계적 변형에도 안정적으로 동작하는 전자 시스템도 ... ...
- "2030년에는 지구에서 가져간 재료보다 달에서 조달하는 재료 더 많아질 것"동아사이언스 l2019.11.05
- 특성을 가졌다. 하지만 표면을 지켜줄 대기가 없어 수십억 년간 충격을 받아 30 마이크로미터(㎛, 100만분의 1m) 크기의 작은 입자로 잘게 부서져 있다. 포잉 소장은 “이를 3D 프린터 재료로 쓰는 기술을 개발해 활용할 것”이라며 “입자를 3D 프린터 재료로 만들고 물을 추출할 수 있는 환경이 되면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확률컴퓨터는 양자컴퓨터 짝퉁일까2019.11.05
- 단위로 바뀌는 것이다. 연구자들은 ‘자기터널접합(magnetic tunnel junction)’ 소자를 나노미터 크기로 작게 만들어 나노자석을 구현했다. 자기터널접합 소자는 강자성체 두 층 사이에 부도체 층이 있는 샌드위치 구조다. 강자성체 한 층은 영구자석처럼 극성이 고정돼 있고 다른 층은 연결된 ... ...
- 수입 의존하던 억대 '중성자 스핀 분리 장비' 국산화 성공동아사이언스 l2019.11.03
- 어려웠다. 가격도 1개에 1억 원 이상으로 비쌌다. 조 연구원팀은 철과 실리콘을 5~10nm(나노미터. 1nm는 10억 분의 1m)씩 매우 얇게 1200층 반복해 바르는 방법으로 새로운 편극중성자 초거울을 완성했다. 기존에는 중성자를 잘 반사하는 니켈을 이용해 초거울을 만들었는데, 조 연구원팀의 초거울은 이보다 ... ...
- 스스로 소리 내는 탄소나노튜브 개발과학동아 l2019.11.01
- 물리학’ 10월 14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기타 줄보다 10만 배 얇은 지름 3nm (나노미터·10억분의 1m)인 탄소나노튜브를 만들어 일정한 전압을 걸어준 뒤 전기저항의 변화를 측정했다. 그 결과 줄이 진동하며 소리를 내고, 더 이상 전압을 걸어주지 않더라도 진동은 멈추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 ...
- '고분자 나노복합체' 만드는 과정서도 특성 바뀐다동아사이언스 l2019.10.30
- 비율이 물을 용매로 사용했을 경우보다 약 2배 더 높게 나타났다. 계면층의 두께는 1 나노미터(nm, 1nm는 10억 분의 1m) 더 두꺼웠다. 연구팀은 “고분자 나노 복합체를 만들 때 두 재료가 서로 맞댄 면에 따라 원하는 성질을 구현할 수 있다”며 “계면의 두께 차이가 1nm에 불과하더라도 전체 복합체의 ... ...
이전1261271281291301311321331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