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meter
파라미터
파
metre
miter
뉴스
"
미터
"(으)로 총 2,603건 검색되었습니다.
초소형 회로제작에 쓰이는 '나노와이어' 배치·정렬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7.30
성장한다”고 현상을 설명했다. 이 현상을 이용해 연구팀은 균일하고 정렬된 밀리
미터
크기의 단결정 이산화바나듐 나노와이어를 개발했다. V자 모양으로 파인 표면에 700도씨의 온도를 가해 오산화바나듐을 녹인 후 방향성 오스트왈드 라이프닝 현상에 따라 액체방울이 특정 방향으로 표면에 ... ...
반도체 특성 가진 '그래핀 양자점' 결함률 낮췄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30
열∙전기 전도도∙투명도를 가져 차세대 전자재료로 각광받고 있다. 나노
미터
크기로 줄일 경우 반도체의 특성까지 가지게 되는데 이를 ‘그래핀 양자점’이라고 부른다. 하지만 기존의 그래핀 양자점은 결함이 많아 순수한 단결정의 특성을 가지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국내 연구팀이 이런 단점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모두가 동의하는 허블상수 구할 수 있을까
2019.07.30
1메가파섹(메가는 100만, 1파섹은 약 3.26광년) 떨어져 있는 천체는 초당 500킬로
미터
속도로 멀어진다며 이를 ‘K=500’으로 표시한 것이다. 훗날 K는 H0로 바뀌었고 허블상수(Hubble constant)로 불리고 있다. 그런데 허블이 허블상수를 발표한 지 90년이 지났음에도 여전히 허블상수에 대한 논문이 ... ...
미세한 질감차 구별하는 인공피부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7.25
센서에서 나오도록 했다. DGIST 제공 연구팀은 사람 손가락 지문을 닮은 수백 마이크로
미터
(㎛, 100만 분의 1m) 너비의 패턴을 갖춘 패널을 위에 장착했다. 이 패널은 외부 자극을 증폭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그 아래에 고속 응답 수용체를 따라한 진동 센서와 그 아래에 저속 응답 수용체와 비슷한 ... ...
1
미터
넘는 초대형 지렁이
팝뉴스
l
2019.07.23
낳은 사진이다. 사진의 주인공은 다름아니라 지렁이다. 그런데 크기가 상상을 초월한다. 1
미터
를 훨씬 넘을 것 같다. 이 지렁이는 호주 퀸즐랜드에서 발견되었다고 한다. 해외 네티즌들이 보이는 첫번째 반응은 놀라움이다. 이렇게 큰 지렁이가 존재한다니 믿기 힘들다고 말하는 네티즌들이 ... ...
광학·제약에서 사용되는 '뾰족한 금 나노입자' 제어 원리 첫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19.07.22
수에 비례하지만 액상 농도에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금 나노입자는 530~1120 nm(나노
미터
·10억분의 1m)의 파장대에서 변화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금 나노입자가 뾰족한 형태로 변하는 시간이 입자의 밀도에 반비례했으며, 시간에 따라 입자 표면의 금 원자 농도를 정량적으로 구하는데 ... ...
3차원 반도체 초미세 패턴 제작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7.21
아주 손쉽고 간단하면서도 다양한 종류와 모양의 블록공중합체에 쓸 수 있는 10nm(나노
미터
·10억분의 1m)이하 초미세 나노패턴 제작 기술을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블록공중합체란 고분자 두 개 이상이 다른 고분자 사슬에 규칙적으로 연결된 고분자다. 반도체 전문가들은 최근 10nm 수준으로 ... ...
반도체 기술 접목해 열을 전기에너지로 바꾸는 ‘열전 재료’ 효율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16
증착법은 대량의 분말 재료를 균일하게 코팅할 수 있는 기술로, 연구팀은 수 나노
미터
(nm, 1nm는 10억 분의 1m) 두께의 얇은 산화 아연층을 입히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이 기술을 통해 열전 성능 최적화 지점을 찾아 성능을 기존보다 50% 이상 향상시켰다”며 “열전재료를 대량 생산하는 ... ...
아파트 짓듯 수직으로 쌓은 유기물 트랜지스터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16
내는 과일에 많은 약한 산인 시트르산을 희석한 뒤 전극을 넣고 전압을 흘려 수 nm(나노
미터
. 1nm는 10억 분의 1m) 크기의 구멍이 있고 얇은 산화막 코팅이 있어 전자 제어 능력이 좋은 투과 전극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이 이렇게 만든 트랜지스터의 성능을 실험한 결과, 소자의 면적은 줄어들고 ... ...
불소 이용해 그래핀 3배 더 빨리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16
금속불화물로부터 방출되도록 했다. 불소는 금속불화물과 구리 필름 사이의 10~20마이크로
미터
의 매우 좁은 공간에서만 머문다. 불소가 다른 물질과 반응하지 않도록 일종의 장벽을 세워 가둔 것이다. 이 틈 속에서 불소로 인해 메탄가스는 더 분해가 쉬운 형태의 기체로 바뀌고 최종적으로 그래핀은 ... ...
이전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