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meter
파라미터
파
metre
miter
뉴스
"
미터
"(으)로 총 2,603건 검색되었습니다.
아파트 짓듯 수직으로 쌓은 유기물 트랜지스터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16
내는 과일에 많은 약한 산인 시트르산을 희석한 뒤 전극을 넣고 전압을 흘려 수 nm(나노
미터
. 1nm는 10억 분의 1m) 크기의 구멍이 있고 얇은 산화막 코팅이 있어 전자 제어 능력이 좋은 투과 전극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이 이렇게 만든 트랜지스터의 성능을 실험한 결과, 소자의 면적은 줄어들고 ... ...
불소 이용해 그래핀 3배 더 빨리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16
금속불화물로부터 방출되도록 했다. 불소는 금속불화물과 구리 필름 사이의 10~20마이크로
미터
의 매우 좁은 공간에서만 머문다. 불소가 다른 물질과 반응하지 않도록 일종의 장벽을 세워 가둔 것이다. 이 틈 속에서 불소로 인해 메탄가스는 더 분해가 쉬운 형태의 기체로 바뀌고 최종적으로 그래핀은 ... ...
약되는 천연 작물, 스마트팜서 무럭무럭
동아사이언스
l
2019.07.15
가능하다. 권학철 천연물인포매틱스연구센터 책임연구원은 “가시광선 영역인 660nm(나노
미터
·1nm는 10억분의 1m)에서 살균 효능을 나타내는 바이오 소재나 쥐의 뇌를 열지 않고도 뇌 회로를 관찰하는 새 형광물질을 발굴했다”고 말했다. 천연물의 연구는 미래형 농장인 스마트팜과 융합하고 있다. ... ...
서울 일부 지역서 앱으로 택시 동승 가능해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11
다음 심의위원에 상정하는 것으로 결정됐다. 3건의 택시 앱
미터
기는 3분기 내 앱
미터
기 검정기준을 조속히 마련하도록 국토부에 권고하고 3분기 내 검정기준 마련이 지체될 경우 임시허가를 부여하기로 했다. 이날 심의위원회에서 실증특례를 받은 ‘앱 기반 자발적 택시동승 중개 서비스’는 ... ...
초미세 빨대로 미세한 물질 분석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10
새로 개발된 나노포어 막에 대해 논의 하고 있다. 사진제공 UNIST 국내 연구팀이 수 nm(나노
미터
, 1nm는 10억 분의 1m) 크기의 미세한 구멍을 의미하는 ‘나노포어’를 이용해 다양한 종류의 분자나 나노입자의 정체를 탐지하는 정밀한 기술을 개발했다. DNA 탐지하거나 해독하는 센서, 물질의 질량을 ... ...
나노부터 매크로까지 고려한 디테일로 최고 효율 태양전지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09
마이크로
미터
단위 수준에 이뤄진다. 태양전지 셀이나 연료전지 모듈은 마이크로
미터
크기보다 큰 개념이다. 이 모든 과정을 통합 설계하는 멀티스케일 연구를 통해 각 과정에서 발생하는 손실을 최소화하며 최적화하는 연구가 통한 것이다. 최만수 단장은 “실제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나 ... ...
미래 전자기기 편의성 더할 '부드러움' 개발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05
유지하면서도 유연성을 갖춘 고분자 유기반도체 소재와 기상증착(CVD) 공정을 활용한 나노
미터
(㎚, 10억분의 1m) 두께의 초박막 고분자 절연체 등을 개발했다. 탄소나노튜브(CNT)와 그래핀 등 탄소소재와 금속소재를 결합해 개발한 유연하면서도 투명한 하이브리드 전극 소재는 2018년 기술이전을 통해 ... ...
완전한 원자 한 층 그래핀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03
그래핀보다 전기적 특성이 좋다. 단결정 구리 호일 위에서 단결정 그래핀은 20~50마이크로
미터
(㎛, 100만분의 1m) 간격을 두고 군데군데 접힌 형태로 성장한다. 연구팀은 접힌 부분을 제외한 곳에 형성된 그래핀은 적층이 없을뿐더러 방향이 다른 단결정 그래핀이 만날 때 생기는 경계면인 ... ...
최첨단 나노기술 만나는 ‘나노코리아 2019’ 역대 최대규모로 개막
동아사이언스
l
2019.07.03
극복한 나노광소자 설계 및 구현 기술을 개발한 송석호 한양대 교수와 30나노
미터
(1나노
미터
는 10억분의 1
미터
) 나노소자 측정이 가능한 반도체 인라인용 3D 원자현미경을 출품한 파크시스템스가 각각 연구혁신과 산업기술 분야 국무총리상을 수상한다. 문미옥 과기정통부 1차관은 개회식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잉크 안 쓰는 컬러프린터를 만들다
2019.07.02
플라스틱에 교차반응이 번갈아 일어나게 하는 정상파 광학 기술은 최소 1.8㎛(마이크로
미터
. 1㎛는 100만분의 1m) 크기로도 가능해 1만4000dpi(인치 당 화소수)의 해상도가 구현할 수 있다. 반면 일반 잉크젯 프린팅의 해상도는 아무리 좋아도 1200dpi 수준이다. 잉크 방울의 크기를 더 이상 줄일 수 없기 ... ...
이전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