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meter
파라미터
파
metre
miter
뉴스
"
미터
"(으)로 총 2,657건 검색되었습니다.
국경을 사이에 둔 친구
팝뉴스
l
2019.09.10
제공 두 사람이 약 1
미터
정도 떨어져 있는데, 알고보니 위치가 각기 다른 나라다. 한 사람은 네덜란드과 다른 사람은 벨기에 땅을 밟고 있었던 것이다. 위는 해외 SNS 화제의 사진으로 떠오른 이미지다. 한줄의 보도블럭이 네덜란드와 벨기에의 국경선이다. 해외 네티즌들은 위의 사진을 ... ...
대한민국 엔지니어상에 서형준 삼성전자 마스터·이기철 익선사업 공장장
동아사이언스
l
2019.09.09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초극세사 흡음재는 머리카락 굵기의 100분의 1인 1㎛(마이크로
미터
)급에 해당하는 섬유를 이용해 고주파 소음을 저감하는 신소재다. 이 공장장은 미국 기업의 특허를 회피하고 장점을 극대화할 수 있는 설비의 설계 및 다양한 현장적용을 통한 검증을 통해 초극세사 흡음재 ... ...
한국 과학자들, 바닷물-민물 농도차 발전 핵심기술 원리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9.09
이 방식의 핵심은 이온교환막이다. 최근에는 물과 결합하지 않는 재료를 이용해 나노
미터
(10억 분의 1m) 크기의 구멍을 지닌 틀을 만든 뒤, 구멍 안에 물과 잘 결합하는 고분자 재료를 채운 ‘세공충진형 이온교환막’이 널리 연구되고 있다. 하지만 세공충진형 이온교환막에서 바닷물 속 이온의 교환 ... ...
약물 과다투여 의료사고 막는 정밀한 유량계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9.05
따라 특정 파장에서 물의 적외선 흡수도가 변한다는 개념을 접목했다. 그 결과 140나노
미터
(nm, 10억분의 1
미터
) 파장의 레이저로 액체의 국소부위를 가열한 뒤 상류와 하류의 온도차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비접촉적 유량 측정법을 구현했다. 이석환 선임연구원은 “이번에 개발한 기술을 활용하면 ... ...
"국민소득 3만 달러 되면 미세먼지 사라지는 패턴, 한국에도 나타날 것"
동아사이언스
l
2019.09.04
끌어당겨 회수하는 장치다. 옌 교수는 “ESP를 도입해 1100MW급 발전기에서 세제곱
미터
(㎥)당 5㎎ 이하의 농도로 오염물이 나오게 하는 데 성공했다”며 “처음 도입할 때만 해도 비용에 대한 우려가 많았지만 도입 전후 발전소의 운영 비용은 그대로인 것도 확인했다”고 말했다. 일본은 197 ... ...
'녹조 잡는 공기방울' 미세버블 펌프 개발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9.03
펌프’를 개발했다고 3일 밝혔다. 미세버블 펌프는 머리카락보다 얇은 20~30 마이크로
미터
(㎛) 크기의 작은 공기 방울을 만드는 장치다. 미세버블은 물 속에서 오래 남아있으며 물에 산소를 공급해주는 역할을 한다. 물을 깨끗하게 만들거나 녹조를 제거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여기에 쓰이는 ... ...
신소재 ‘탄소나노튜브’로 초고속 반도체의 꿈 앞당긴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30
1991년 일본 NEC 연구소의 이지마 스미오 박사가 처음 발견했다. 지름은 수 nm(나노
미터
) 수준에 불과하면서 강도는 철의 100배 이상에 전기가 통하는 성질(전기전도도)도 높아 미래 소재 중 하나로 주목받아 왔다. 특히 현재 반도체 칩에 들어가는 트랜지스터의 주재료인 실리콘을 대체할 차세대 소재로 ... ...
핵융합硏-중기, 플라즈마 기술로 일본 전량 수입 반도체 소재 국산화
동아사이언스
l
2019.08.29
핵융합연의 플라즈마 기술을 이전받아 협력 연구를 통해 용사분말의 크기가 20마이크로
미터
수준인 이트륨옥사이드 제품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입자 크기가 작으면서도 유동성이 매우 높아 미세하고 치밀한 코팅막을 형성할 수 있다. 세원하드페이싱은 국내 여러 코팅 업체를 통해 ... ...
구불구불 뇌혈관 속도 다니는 실지렁이 로봇 탄생
동아사이언스
l
2019.08.29
속을 돌아다닐 수 있는 로봇 프로토타입을 만들었다. 전체 지름이 약 600µm(마이크로
미터
) 정도로 매우 가늘다. 이 로봇의 골격은 자성을 띤 미립자가 분산된 부드러운 폴리머다. 연성을 가졌을 뿐 아니라, 몸밖에서 자기장을 걸어주면 자성 미립자가 반응해 자기장이 흐르는 방향으로 로봇이 ... ...
전기차 배터리 용량 늘릴 새 음극소재
동아사이언스
l
2019.08.28
연구팀이 개발한 소재로 실험한 결과 실제 충방전시 규칙적으로 배열된 직경 10나노
미터
(10억분의 1
미터
) 크기의 기공들이 실리콘의 부피 팽창을 효과적으로 완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기존 흑연 음극 소재에 비해 충방전시 반복적으로 사용 가능한 리튬이온전지 용량이 5배 늘리는 데 ... ...
이전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