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meter
파라미터
파
metre
miter
뉴스
"
미터
"(으)로 총 2,657건 검색되었습니다.
1
미터
넘는 초대형 지렁이
팝뉴스
l
2019.07.23
낳은 사진이다. 사진의 주인공은 다름아니라 지렁이다. 그런데 크기가 상상을 초월한다. 1
미터
를 훨씬 넘을 것 같다. 이 지렁이는 호주 퀸즐랜드에서 발견되었다고 한다. 해외 네티즌들이 보이는 첫번째 반응은 놀라움이다. 이렇게 큰 지렁이가 존재한다니 믿기 힘들다고 말하는 네티즌들이 ... ...
광학·제약에서 사용되는 '뾰족한 금 나노입자' 제어 원리 첫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19.07.22
수에 비례하지만 액상 농도에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금 나노입자는 530~1120 nm(나노
미터
·10억분의 1m)의 파장대에서 변화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금 나노입자가 뾰족한 형태로 변하는 시간이 입자의 밀도에 반비례했으며, 시간에 따라 입자 표면의 금 원자 농도를 정량적으로 구하는데 ... ...
3차원 반도체 초미세 패턴 제작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7.21
아주 손쉽고 간단하면서도 다양한 종류와 모양의 블록공중합체에 쓸 수 있는 10nm(나노
미터
·10억분의 1m)이하 초미세 나노패턴 제작 기술을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블록공중합체란 고분자 두 개 이상이 다른 고분자 사슬에 규칙적으로 연결된 고분자다. 반도체 전문가들은 최근 10nm 수준으로 ... ...
반도체 기술 접목해 열을 전기에너지로 바꾸는 ‘열전 재료’ 효율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16
증착법은 대량의 분말 재료를 균일하게 코팅할 수 있는 기술로, 연구팀은 수 나노
미터
(nm, 1nm는 10억 분의 1m) 두께의 얇은 산화 아연층을 입히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이 기술을 통해 열전 성능 최적화 지점을 찾아 성능을 기존보다 50% 이상 향상시켰다”며 “열전재료를 대량 생산하는 ... ...
아파트 짓듯 수직으로 쌓은 유기물 트랜지스터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16
내는 과일에 많은 약한 산인 시트르산을 희석한 뒤 전극을 넣고 전압을 흘려 수 nm(나노
미터
. 1nm는 10억 분의 1m) 크기의 구멍이 있고 얇은 산화막 코팅이 있어 전자 제어 능력이 좋은 투과 전극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이 이렇게 만든 트랜지스터의 성능을 실험한 결과, 소자의 면적은 줄어들고 ... ...
불소 이용해 그래핀 3배 더 빨리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16
금속불화물로부터 방출되도록 했다. 불소는 금속불화물과 구리 필름 사이의 10~20마이크로
미터
의 매우 좁은 공간에서만 머문다. 불소가 다른 물질과 반응하지 않도록 일종의 장벽을 세워 가둔 것이다. 이 틈 속에서 불소로 인해 메탄가스는 더 분해가 쉬운 형태의 기체로 바뀌고 최종적으로 그래핀은 ... ...
약되는 천연 작물, 스마트팜서 무럭무럭
동아사이언스
l
2019.07.15
가능하다. 권학철 천연물인포매틱스연구센터 책임연구원은 “가시광선 영역인 660nm(나노
미터
·1nm는 10억분의 1m)에서 살균 효능을 나타내는 바이오 소재나 쥐의 뇌를 열지 않고도 뇌 회로를 관찰하는 새 형광물질을 발굴했다”고 말했다. 천연물의 연구는 미래형 농장인 스마트팜과 융합하고 있다. ... ...
서울 일부 지역서 앱으로 택시 동승 가능해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11
다음 심의위원에 상정하는 것으로 결정됐다. 3건의 택시 앱
미터
기는 3분기 내 앱
미터
기 검정기준을 조속히 마련하도록 국토부에 권고하고 3분기 내 검정기준 마련이 지체될 경우 임시허가를 부여하기로 했다. 이날 심의위원회에서 실증특례를 받은 ‘앱 기반 자발적 택시동승 중개 서비스’는 ... ...
초미세 빨대로 미세한 물질 분석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10
새로 개발된 나노포어 막에 대해 논의 하고 있다. 사진제공 UNIST 국내 연구팀이 수 nm(나노
미터
, 1nm는 10억 분의 1m) 크기의 미세한 구멍을 의미하는 ‘나노포어’를 이용해 다양한 종류의 분자나 나노입자의 정체를 탐지하는 정밀한 기술을 개발했다. DNA 탐지하거나 해독하는 센서, 물질의 질량을 ... ...
나노부터 매크로까지 고려한 디테일로 최고 효율 태양전지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09
마이크로
미터
단위 수준에 이뤄진다. 태양전지 셀이나 연료전지 모듈은 마이크로
미터
크기보다 큰 개념이다. 이 모든 과정을 통합 설계하는 멀티스케일 연구를 통해 각 과정에서 발생하는 손실을 최소화하며 최적화하는 연구가 통한 것이다. 최만수 단장은 “실제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나 ... ...
이전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