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meter
파라미터
파
metre
miter
뉴스
"
미터
"(으)로 총 2,657건 검색되었습니다.
원자 1개까지 들여다보는 MRI
과학동아
l
2019.08.08
단백질 구조 등을 확인하는 데 쓸 수 있다. 하지만 현재 기술로는 해상도가 nm(나노
미터
·1nm는 10억분의 1m) 수준에 그쳐 이보다 작은 개별 원자를 또렷이 관찰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었다. 연구를 이끈 안드레아스 하인리히 양자나노과학연구단장은 “해상도를 기존 대비 100배 이상 끌어올렸다”며 ... ...
백금촉매에 탄소껍질 씌워 수소차 핵심 연료전지 수명 4배 늘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07
백금 이온과 아닐린을 결합해 대량생산에 용이한 열처리 단일 공정을 통해 약 1나노
미터
(10억분의 1
미터
) 두께의 탄소껍질로 둘러싸인 균일한 백금 나노촉매를 제작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우선 아닐린이 백금 이온과 항상 일정한 비율로 결합해 화합물을 형성한다는 사실에 주목하고 백금 ... ...
1000조분의 1초 단위로 나노입자 움직임 찍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07
볼 수 있다. 최근 광학현미경을 이용해 펨토초 수준의 시간 분해능이 구현됐지만 나노
미터
보다 작은 물체를 관찰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다. 연구진은 펨토초 단위로 전자빔을 쏘는 초고속 투과전자현미경을 조절해 금 나노입자의 진동을 펨토초 단위로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 금 나노입자에 ... ...
손톱보다 100만배 얇은 초박막 금 나노시트 개발
연합뉴스
l
2019.08.07
과학자들이 원자 두 개 두께의 세계에서 가장 얇은 금 나노시트를 만들어냈다. 0.47나노
미터
(nm)로 손톱 두께보다 100만배 더 얇은 것으로 발표됐다. 영국 리즈대학에 따르면 이 대학 분자나노물리학 그룹의 예쑨제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금 원자 2개 층을 서로 겹쳐놓은 2차원(2D) 구조의 초박막 금 ... ...
그래핀과 레이저로 생체 샘플 질량분석 간편화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06
문대원 석좌교수 연구팀이 생체 샘플에 별도의 처리를 하지 않고도 마이크로
미터
(100만분의 1
미터
) 크기의 해상도 이미지를 얻어 질량을 분석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5일 밝혔다. 분석 대상 물질을 얇게 잘라낸 ‘시편’을 이용한 생체 샘플 질량분석 이미징은 분석 과정에서 많은 사전 ... ...
'궁극의 저온'을 꿈꾸는 과학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19.08.02
데 성공했다. 이탈리아 그랑사소 국립연구소는 욕조를 가득 채울 정도인 1입방
미터
(m3) 크기의 구리 400kg을 15일 동안 0.006K로 얼렸다. 2015년에는 MIT 연구팀이 나트륨과 칼륨 기체를 200만 분의 1K의 온도로 냉각시키고, 이 상태에서 평소에는 결합할 수 없는 두 원소를 인위적으로 결합시키는 데 ... ...
초소형 회로제작에 쓰이는 '나노와이어' 배치·정렬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7.30
성장한다”고 현상을 설명했다. 이 현상을 이용해 연구팀은 균일하고 정렬된 밀리
미터
크기의 단결정 이산화바나듐 나노와이어를 개발했다. V자 모양으로 파인 표면에 700도씨의 온도를 가해 오산화바나듐을 녹인 후 방향성 오스트왈드 라이프닝 현상에 따라 액체방울이 특정 방향으로 표면에 ... ...
반도체 특성 가진 '그래핀 양자점' 결함률 낮췄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30
열∙전기 전도도∙투명도를 가져 차세대 전자재료로 각광받고 있다. 나노
미터
크기로 줄일 경우 반도체의 특성까지 가지게 되는데 이를 ‘그래핀 양자점’이라고 부른다. 하지만 기존의 그래핀 양자점은 결함이 많아 순수한 단결정의 특성을 가지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국내 연구팀이 이런 단점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모두가 동의하는 허블상수 구할 수 있을까
2019.07.30
1메가파섹(메가는 100만, 1파섹은 약 3.26광년) 떨어져 있는 천체는 초당 500킬로
미터
속도로 멀어진다며 이를 ‘K=500’으로 표시한 것이다. 훗날 K는 H0로 바뀌었고 허블상수(Hubble constant)로 불리고 있다. 그런데 허블이 허블상수를 발표한 지 90년이 지났음에도 여전히 허블상수에 대한 논문이 ... ...
미세한 질감차 구별하는 인공피부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7.25
센서에서 나오도록 했다. DGIST 제공 연구팀은 사람 손가락 지문을 닮은 수백 마이크로
미터
(㎛, 100만 분의 1m) 너비의 패턴을 갖춘 패널을 위에 장착했다. 이 패널은 외부 자극을 증폭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그 아래에 고속 응답 수용체를 따라한 진동 센서와 그 아래에 저속 응답 수용체와 비슷한 ... ...
이전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