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자
구성원
알맹이
극소량
티끌
미립자
브이
d라이브러리
"
입자
"(으)로 총 2,810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준 모형도 몰랐던 새
입자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연구교수는 “물리학의 기본 힘은 게이지
입자
를 매개로 하는데, 이게 새로운 게이지
입자
라면 새로운 힘도 있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물리학계에는 아직 두고 봐야 한다는 반응이 많다. 만약 사실이라면 교과서를 다시 써야 하는 대단한 발견이지만, 단지 오류일 가능성도 있다. 에너지를 아주 ... ...
선글라스에 숨은 과학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데이비슨 등에 의해 빛의
입자
설이 실험으로 증명됐다. 결국 빛은 파동적 성질과 함께
입자
적 성질을 갖는다는 것이 밝혀졌다. [그림 1]주로 여름철에 착용하는 선글라스[스마트폰으로 QR코드를 읽으면 편광필름을 이용한 간단한 실험을 동영상으로 볼 수 있다.]편광필름의 마술빛이 파동의 성질을 ... ...
황사보다 위험한 에어로졸 감시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물체에 부딪혀 돌아오는 반사파를 측정하는 장비다. 대기 중으로 쏜 레이저는 에어로졸
입자
의 상대적 크기에 따라 산란의 형태가 변한다. 레이저가 산란 혹은 소멸되는 정도를 고도별로 측정하면 에어로졸의 종류와 분포를 알 수 있다.관측차량으로는 지표면에 있는 에어로졸의 양을 측정한다. ... ...
Part2. 꿈의 기술? 아직 피지 못한 꽃?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양성자가 정확하게 충돌하도록 유도하기 위해서는 강력한 자기장이 필요하다. 거대강
입자
충돌기는 모두 1600개 이상의 초전도 자석을 쓴다. 무게로 치면 27톤이 넘는다.한편 미세한 자기장을 측정하는 데도 초전도 기술을 쓴다. 1962년 영국 물리학자 브라이언 조셉슨은 두 개의 초전도 물질 사이에 ... ...
현장점검-구제역 지하수 3년 뒤 진짜 위기 온다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바이러스는 흙 속의 물에 떠다니는 작은
입자
(콜로이드)에 붙어서 이동한다. 그런데 이들
입자
는 흙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마치 체로 거르듯 걸러진다. 병원성 미생물이나 바이러스가 지하수로 흘러들 가능성 역시 크지 않은 셈이다.또 적긴 하지만 토양미생물도 유기오염물을 분해한다. 토양 중 ... ...
찌릿찌릿, 따끔따끔! 정전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모두 정전기가 발생했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이지요. 번개나 플라즈마도 전기를 띄는
입자
가 모여 만드는 일종의 정전기 현상인 셈입니다. 금가루를 날리는 헬리콥터 역시 먼지와 헬리콥터의 날개가 부딪치면서 생긴 정전기가 방전이 되면서 빛이 나는 거지요. 잠깐! 겨울에 정전기가 많이 ... ...
Intro. 미래를 ‘공중 부양’ 시킬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이용해 날아다니는 교통수단 등은 초전도 기술이 가져올 SF 같은 미래였다.MRI, 핵융합로,
입자
가속기, 비파괴검사장치, 초전도 케이블, 자기부상열차 등 초전도 기술은 이미 여러 분야로 진출해 활발히 쓰이고 있거나 쓰일 예정이다. 하지만 그것으로 꿈이 다 이뤄졌다고 할 수는 없다. 여전히 풀리지 ... ...
[수학으로 생각하기] 일본 대지진 바로 알기
수학동아
l
2011년 04호
물질을 뜻한다. 방사선이란 우라늄이나 세슘처럼 원자량이 큰 원소가 붕괴할 때 나오는
입자
나 전자기파를 말한다.방사선이 몸 안에 들어오면 세포나 DNA를 변형시킬 수 있다. 방사선이 우리 몸에 미치는 영향을 표시하는 단위는 ‘밀리시버트(mSv)’다. 보통 사람은 일상생활 속에서 1년 동안 2.4mSv의 ... ...
세계는 지금 ‘친환경 나노’가 대세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끼치는 나노
입자
를 파악해 대처법을 연구하는 데 많은 노력을 쏟고 있다”며 “나노
입자
의 환경평가는 세계적으로 뚜렷한 흐름”이라고 설명했다.한상록 나노융합산업연구조합 사무국장은 “국내 나노업체도 친환경 분야에 진출할 수 있도록 정부가 지원 방안을 강화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 ...
파리는 어떻게 벽에 달라붙나?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네트워크가 깨져 액체가 된다. 곤충의 발이 분비하는 액체에서 미세한 물방울이 작은
입자
의 역할을 하는 셈이다. 그 결과 파리는 가만히 있을 때는 액체가 고체화돼 벽에 붙어 있지만 날려고 벽 반대쪽으로 힘을 주는 순간 점성이 낮은 액체가 돼 쉽게 떨어진다.곤충들의 접착능력은 언뜻 단순한 ... ...
이전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