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자
구성원
알맹이
극소량
티끌
미립자
브이
d라이브러리
"
입자
"(으)로 총 2,810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가 들썩 들썩~, 지구를 지켜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21호
2016년에 달로 보낼 착륙선과 로봇을 개발하고 있답니다. 로봇은 달 표면에 있는 암석과
입자
를 조사하고 수집해 착륙선으로 가져오는 역할을 해요. 이 자료를 분석하면 어떤 종류의 자원이 어디에 얼마나 많은지 자세히 알 수 있지요.요즘 어떤 연구를 하고 계신가요?밤이 되면 영하 173.5℃까지 ... ...
고슴도치 섬에는 특별한 것이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5호
가져올 수 있어 모래 갯벌이 발달했다. 한편 섬의 남쪽은물의 속도가 느려 작은 가루
입자
들이 주로 쌓이면서 진흙 갯벌이 발달했다.갯벌도 밀물과 썰물이 만든다!바닷가의 갯벌도 밀물과 썰물이 있어야 만들어진다. 우리나라의 강들은 대부분 서해안으로 흘러들어간다. 강물은 흐르면서 강가의 ... ...
은나노
입자
, 위험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5호
단점이 있었지요.서울대학교 약학과 정진호 교수 연구팀은 크기가 50~100㎚인 은나노
입자
를 실험용 흰쥐의 기관지에 넣은 뒤 반응을 관찰했어요. 그 결과, 은나노가 세포 안의 칼슘 농도를 높이고 피를 엉기게 해, 심장마비나 뇌졸중 위험을 높인다는 사실을 발견했어요. 연구팀은 이번 연구가 인체에 ... ...
인공태양 빛낼 플라스마의 꿈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공항 검색용 기기 등을 만들 수 있다. 황 교수 연구팀은 이런 장비에 쓰일
입자
광선과 플라스마를 모두 연구한다.수십 년 뒤 미래를 위한 연구황 교수는 두 가지 연구 주제를 ‘미래를 위한 기술’과 ‘당장 산업에도 응용할 수 있는 기술’로 나눈다. 플라스마 응용 기술은 지금도 반도체와 ... ...
핵융합 및 플라스마 공학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것이 필수적이다. 핵융합 및 플라스마 공학은 핵융합시 발생하는 플라스마 상태에서
입자
들의 거동을 이해하고 예측하며, 플라스마를 제어하는 방법을 연구하는 학문이다.2. 어디에 사용되나요?핵융합 및 플라스마 공학은 핵융합 연구에 이용된다. 핵융합 발전은 아직 상용화되지는 않았지만 2040년 ... ...
테라포밍, 지구의 조건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자기장이 있는 행성이나 하전
입자
가 적게 도달하는 위치의 행성을 찾아야 한다. 하전
입자
가 적게 도달하기 위해서는 항성으로부터 거리가 멀어야 하는데, 이렇게 되면 복사량이 줄어 물이 액체로 있을 수 없다. 이런 경우 온실효과를 만들 수 있는 기체의 양을 늘려 온도를 높이는 방법을 대안으로 ... ...
우주의 비밀을 풀어 줄 반물질 실험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서로 다른 자기장을 지니는 전자석 8개를 팔각형 모양으로 배열한 뒤 그 속에서 반
입자
를 충돌시켜 반물질 수소가 발생하도록 했다. 그 결과 자기장이 균형을 이루는 한가운데서 반물질 수소 원자가 탄생해 0.17초 이상 존재하다 사라졌다. 기존의 반물질 수소가 수 밀리초(0.001초)만에 사라졌던 데 ... ...
향기가 퍼져나가는 이유는?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특히 원자와 분자의 구조와 움직임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눈에 보이지 않는
입자
들의 움직임에 의한 현상을 분자 수준에서 설명할 수 있으면 화학 반응이나 화합물의 구조를 생각하는 데에도 큰 도움이 됩니다. 중학교에서 배웠던 개념들을 단순히 외우기보다는 왜 그렇게 되는지 ... ...
비누거품 속에 숨은 과학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제올라이트를 만들 수 있으며 그 활용도 또한 매우 높다. 제올라이트의 구멍에 은 나노
입자
를 담아 섬유에 붙이면 옷에 베인 냄새를 없애는 섬유가 되기도 하고, 수분이나 양분을 넣어 토양 보습제로 사용할 수도 있다. 병원에서는 나노 크기의 바이러스 검출에 사용하기도 한다. 한국 최초의 우주인 ... ...
한국 인공태양 핵융합 리더가 되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또 새로운 중성
입자
빔가열장치를 자체 제작해 거둔 성공이라는 점도 특이하다. 중성
입자
빔가열장치는 기체 상태의 중수소를 빠르게 가속해 토카막 안에 투입하기 위한 장치다. 이번 3차 실험을 위해 1년이라는 짧은 시간 동안 개발했다. 권 박사는 “중국의 EAST도 2013년에야 개발할 수 있을 ... ...
이전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