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주로"(으)로 총 5,593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알쓸신잡’ 자외선차단제 고르는 법3과학동아 l2017년 08호
- 힌트는 *PA등급과 *SPF지수입니다. 각각 자외선 A, B와 관련 있는 지표지요. 만약 실내에서 주로 생활한다면 SPF지수가 15, PA등급이 +이상이면 충분합니다. 창문을 통해 자외선B, 자외선C가 대부분 걸러지고, 형광등에서 나오는 자외선도 형광등 안쪽에 코팅된 이산화티탄 성분이 산란시키기 때문입니다. ... ...
- Part 2. 미생물은 모든 것을 알고 있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있는 세균이 있고, 또 사람이나 반려동물 모두 실내에서 주로 생활하느냐 야외에서 주로 생활하느냐에 따라 그 비율이 다르다. 연구팀은 논문을 통해 “당신이 살고 있는 지역에 따라 집 안에 사는 균류의 종류가 결정되고, 집 안의 세균 군집은 구성원들의 정보를 알려준다”고 말했다.집 안 곳곳을 ... ...
- Part 1. 우리 집 불청객, 바퀴벌레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때 바퀴벌레가 이 장소에서 무엇을 먹고 살았을까 식성이나 체질을 고려한다. 집에서는 주로 밥풀을 먹고 살기 때문에 탄수화물을 주요하게 넣는다. 중식당에 사는 것에는 기름기, 정육점에 사는 것에는 살코기, 일식당에 사는 것에는 생선을 넣어 약을 조제한다. 성체는 많은 양을 자주 먹기 때문에 ... ...
- 본 色(색)을 드러내다수학동아 l2017년 08호
- 만난 친구가 요즘 주말에 무엇을 하냐고 묻습니다. 저는 주로 사진을 찍고 다닌다고 말하며, 스마트폰에 저장해 놓은 사진을 자랑스레 보여줬어요. 카메라로 찍은 사진을 컴퓨터로 옮겨 보정한 뒤 스마트폰으로 옮기는 번거로운 과정을 거친, 나름 공들인 사진이었습니다. 그런데 이게 뭐죠? ... ...
- Part 3. 생명을 지키는 착한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그래서 백신 전문 운송 차량으로 운반하지만, 도로 사정이 안 좋은 개발도상국에서는 주로 오토바이를 이용해요. 그러다 보니 적정 온도를 유지하기 어려워 백신이 변질되기 쉽지요.안성훈 교수팀은 오토바이의 발전기와 배터리에 연결해 쓸 수 있는 백신 냉장고를 개발했어요. 백신 냉장고에는 ... ...
- [Issue] 수능 100일 전 뇌과학자가 들려주는 공부 비법 10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아침에 먹은 탄수화물이 그 역할을 합니다.10. 양쪽 뇌를 균형 있게현행 교육은 주로 입시와 관련 있는 좌뇌의 기능과 특성을 발달시키는 내용입니다. 그래서 양쪽 뇌를 균형 있게 발달시키려면 우뇌를 발달시키는 특별한 방법을 사용해야 하죠. 먼저 오감 훈련을 해 보세요. 다른 사람과 ... ...
- Part 4. 아이디어가 반짝! 착한 디자인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온기로 밤새 신생아의 체온을 지켜 주는 거지요. 선큐베이터에는 의료용 스팀팩에도 주로 쓰이는 고분자 겔이 들어가요.선큐베이터는 지난 해 말과 올해 초, 세계 3대 디자인 어워드에 속하는 ‘IF 디자인’ 본상과 ‘IDEA’ 금상을 수상했어요. 아이디어 프리의 권준 팀장은 “뉴스에서 아이디어를 ... ...
- [Future] 고리1호기 가동 중단 ‘방사성 때’ 어떻게 벗길까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설치한다. 극저준위 폐기물은 일반 폐기물과 비슷하게 그냥 매립하면 된다.해외에서는 주로 표층처분 방식으로 저준위 폐기물을 처분한다. 하지만 국내 경주에 있는 방폐장에서는 지하 100~300m 깊이의 암반 내 또는 지하 동굴에 자연방벽과 인공방벽을 이용해 폐기물을 처분한다(동굴처분 방식). 사실 ... ...
- [Issue] 돌보다 강한 콘크리트 아파트, 40년 만에 다시 짓는 이유는?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미국 엠파이어스테이트빌딩이나 크라이슬러빌딩 같은 초기 초고층건물을 짓기 위해 주로 철골을 이용했다. 하지만 2000년대 전후로 과거(철근 300MPa, 콘크리트 21MPa)보다 훨씬 강도가 큰 초고강도 철근(600~800MPa)과 초 고강도 콘크리트(100~150MPa)가 개발됐다. 최근에 완공한, 국내 최고층 롯데월드타워도 ... ...
- [Issue] 스트라디바리우스 280년만의 굴욕 명품 바이올린은 없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일어나 소리가 풍부하게 울려 퍼지기 때문에 특히 섬세하게 만들어야 한다. 앞판은 주로 무게가 가벼워 소리 전달율이 높은 가문비나무를 쓰고, 나머지 부분은 무겁고 튼튼한 단풍나무를 이용한다. 그 이유는 현이 달려 있어 소리가 생기는 부분인 앞판에서 울림통으로 소리가 빠르게 전달돼, ... ...
이전1251261271281291301311321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