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분자"(으)로 총 2,61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커피와 자유, 그리고 협업과학동아 l201610
- 연구소 소장을 지낸 리처드 핸더슨 박사(그룹 리더)는 “스타이츠 교수와 키모트립신의 분자 구조를 밝혀낸 성과도 티타임에서 시작됐다”고 설명했다. 1966년 LMB에서 박사과정을 시작해 지금까지 그룹 리더로 연구하고 있는 그는 LMB 역사의 산 증인이다. 현재 많은 생물학 실험실에서 이용하는 ... ...
- PART 1. 연구비보다 '연구 자유'가 중요했다과학동아 l201610
- 지원받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3명의 수상자를 배출한 영국 의학연구위원회(MRC) 산하 분자생물학연구소(LMB)는 정부로부터 연간 약 4000만 파운드(약 580억 원)를 지원받는다.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산하 25개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총 예산 규모의 평균(약 1978억 원)에도 못 미치는 금액이다. 비슷한 ... ...
- [과학뉴스] 천문연, 한국우주전파관측망으로 태양보다 무거운 별 발견과학동아 l201610
- 무거운 별의 탄생은 관측하기가 매우 힘들다. 지구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데다 두꺼운 분자구름 속에서 진행되기 때문이다. 8월 31일, 한국천문연구원(이하 천문연)은 한국우주전파관측망(KVN)의 단일 망원경으로 태양보다 무거운 별이 방출하는 일산화규소 메이저를 관측했다고 밝혔다. 메이저는 ... ...
- INTERVIEW. "좋은 질문을 하는 젊은 과학자들에게 기회를"과학동아 l201610
- 연구 끝에 노벨상 업적을 내는 데 결정적인 도움이 됐다.첫 번째 만남은 독일 막스플랑크 분자유전학연구소의 하인츠-귄터 비트만 박사와의 인연이다. “캐나다 학회에서 비트만 박사를 만났어요. 그는 세균의 리보솜을 연구하고 있었는데, 내 연구에 관심을 가져줬죠. 그의 초대를 받고 독일에 ... ...
- [출동! 섭섭박사] 밀가루 반죽에서 전구가 반짝! 전도성 반죽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09
- 그렇다면 설탕은 어떨까요? 설탕은 물에 녹아도 이온으로 나뉘지 않고 그대로 설탕 분자로 남아 있어요. 즉, 설탕물은 이온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전기가 통하지 않는답니다. 하지만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쓰는 수돗물은 칼슘 이온, 나트륨 이온 등 여러 이온들을 가지고 있어 실제 실험에선 ... ...
- [과학뉴스] 5시간 동안 촬영한 페르세우스 유성우과학동아 l201609
- 마그네슘은 파란색, 이온화된 칼슘은 보라색을 띤다. 유성과 충돌한 대기 중 질소 분자와 산소 원자는 빨간색을 낸다. 사진은 권순길 국립고흥청소년우주체험센터 우주활동부장이 다섯 시간 동안 촬영해 한 장 으로 합성한 것이다.아쉽게도 이번 별똥별 쇼는 도심에서는 잘 관측되지 않았다. ... ...
- [News & Issue] 꿀벌은 꿀맛을 알까?과학동아 l201609
- 이 때 뇌는 ‘달다’는 느낌을 떠올린다. 곤충에게도 미각기관이 있다. 무언가의 화학분자를 인식해 먹는 행동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종에 따라 더듬이, 다리, 입 등 신체 여러 기관에 미각기관이 있다.문제는 뇌 기능이다. 꿀벌과 대화를 나눌 수 없기 때문에, 꿀을 단순히 생존을 위한 먹이라고 ... ...
- PART 2. 제2의 게놈 효과 과연 어디까지일까과학동아 l201609
- 행동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은 상식이 됐다. 하지만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분자 수준의 정확한 기작이 밝혀지기 시작한 건 불과 2~3년 전부터다. 대표적인 것이 이탈리아 로마 라 사피엔차대 연구팀이 인간의 소화기관과 중추신경계가 복잡한 양방향 연결 회로를 구성하고 있다는 사실을 밝힌 ... ...
- [News & Issue] 얼굴 전체로 맛을 느낀다?과학동아 l201609
- 느끼는 향이 수만 가지 맛의 실체다. 미국 컬럼비아대 린다 벅과 리처드 엑셀 교수는 냄새분자와 코 안에 있는 후각수용체 단백질이 마치 열쇠와 자물쇠처럼 짝이 맞으면 뇌로 신호를 보내 냄새를 인지한다는 후각 메커니즘을 밝혀 2004년 노벨상을 받았다. 후각수용체 유전자 하나가 화학물질 하나를 ... ...
- [Knowledge] 협력자 끼리끼리과학동아 l201609
- 정보가 같다는 뜻이라면, 이렇게 정의된 근연도는 분자유전학 앞에서 무참히 무너진다. 분자유전학자들은 누구든지 그 어떤 다른 사람과 유전적으로 99.5% 동일함을 입증했다. 누구나 유전적으로 대부분 같은 판국에, 사촌과의 근연도는 고작 12.5%고 남남과의 근연도는 아예 0%라니 이게 대체 무슨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