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분자"(으)로 총 2,611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궁금증이 내 연구의 원동력”과학동아 l201607
- 센트럴 도그마(DNA가 정보를 저장하고 RNA와 단백질이 전사와 복제, 번역을 한다는 분자생물학의 기본 원리)에 열광하고 있었습니다. 단백질이 어떻게 버려지는가는 관심 밖이었습니다.”그의 말처럼 당시 생명과학의 주류는 DNA의 전사와 번역이었다. 단백질의 분해는 대수롭지 않게 생각했다. 게다가 ... ...
- [Career] “이산화탄소로 플라스틱을 만드는 날이 올 겁니다”과학동아 l201607
- 무기재료, 고분자재료로 나눌 수 있습니다. 금속은 제철, 무기재료는 반도체와 세라믹, 고분자는 섬유나 탄소섬유 등을 다루는데요. 이 연구들로 고효율 연료전지, 배터리 등을 개발합니다. 자동차나 휴대전화, 드론 등 대부분의 산업에서 재료는 기본 중의 기본이기 때문에 선택할 수 있는 진로의 ... ...
- [매스미디어] 최초의 돌연변이 깨어나다!수학동아 l201606
- 염력을 쓴다. 이전 영화에서 염력으로 피라미드를 짓는 놀라운 모습을 보여준 적이 있다. 분자 수준에서 물질을 조작할 수도 있어 거의 만능으로 보인다. 또한 항상 능력이 뛰어난 부하 넷을 거느리고 다닌다. 이런 아포칼립스를 어떻게 막을 수 있을까?수학 모형으로 찾는 돌연변이현실 속에도 ... ...
- [과학뉴스] 화학반응 중간에 보는 현미경과학동아 l201606
- 표면에서 일어나는 고리화반응의 전 과정, 즉 반응물질부터 중간생성물, 결과물을 모두 분자 수준까지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 안젤 루비오 막스플랑크 물질구조역학연구소장은 “화학 합성 분야의 거대한 진전”이라면서도 “은의 표면에서 중간생성물이 안정화되는 원리에 대해서는 추가연구가 ... ...
- [과학뉴스] 반데르발스 힘, 원자 단위에서 최초 측정과학동아 l201606
- 원자 또는 분자의 전하 분포가 순간적으로 달라지면서 생기는 인력으로, 주변 원자나 분자에 작용한다. 이 힘 덕분에 물체의 마찰력이나 응집력, 접착력 등이 생긴다. 게코도마뱀이 떨어지지 않고 벽을 타고 오르는 비결이기도 하다.연구팀은 극저온 원자현미경의 탐침에 제논 원자를 붙이고, 측정 ... ...
- [News & Issue] 지카 잡으러 총출동한 과학자들과학동아 l201606
- 복제할 때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NS1 단백질의 구조가 4월 18일 ‘네이처 구조분자생물학 온라인판’에 발표됐다(doi:10.1038/nsmb.3213). 지카와 같은 플라비바이러스에 속하는 뎅기열이나 웨스트나일 바이러스에서도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단백질인데, 지카 NS1 단백질의 전체적인 구조 역시 ... ...
- [Knowledge] 인간의 아바타, 실험에서 해방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06
- 있다. 먼저 QSAR라고 부르는 ‘정량적구조활성관계 분석법’은 각종 화학물질들이 가진 분자량과 녹는점, 부피, 독성 등의 고유 정보를 통계적으로 분석해서 독성을 모르는 화학물질의 독성을 추정하는 방식이다.또 최근 많은 연구가 이뤄지고 있는 도킹 시뮬레이션 기법은 해당 화학물질이 인체에서 ... ...
- [지식] 스파이더맨 될 수 없다vs있다수학동아 l201606
- 쉽게 붙어 있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반데르발스 힘★전자구름의 불균형으로인해 분자 사이에 일어나는 힘.‘게코도마뱀 패드’ 신으면 스파이더맨!호크스 박사팀은 게코도마뱀이 발을 얼마나 대느냐에 따라 벽에 달라붙을 수 있는 정도도 연구했다. 발 전체, 발가락 하나, 발가락 주름 하나, 또는 ... ...
- [News & Issue] 가습기 살균제 사태, 노출계수를 따져라과학동아 l201606
- 운영하는 ‘화학물질안전관리정보시스템(kischem.nier.go.kr)’ 사이트는 화학물질의 분자량이나 용해성, 축적성, 분해성, 항균력 등 좀더 다양한 물성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다만 이번에 문제가 된 CMIT와 같이 해외에서 많이 쓰는 화학물에 대한 검색은 잘 되지 않는다. 사이트 관계자는 해외에서 많이 ... ...
- [Knowledge] 중이온가속기, 펨토 사이언스의 문을 연다과학동아 l201606
- 원자가 모인 분자, 분자가 모인 단백질로 이뤄져 있다”며 “나노 과학으로는 기껏해야 분자보다 큰 세계만 연구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펨토 과학의 의의에 대해 “펨토의 세계까지 다룰 수 있게 되면 물질을 근본적으로 이해하고, 나아가 새로운 물질을 만들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이전101112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