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타락
쇠퇴
퇴보
저하
퇴폐
저락
악화
d라이브러리
"
퇴화
"(으)로 총 249건 검색되었습니다.
2. 정자 없이 수정하는 난자 처녀생식
과학동아
l
200602
발생에 필요한 물질들이 난세포에 집중되기 때문에 난세포만 난자로 성숙하고 극체는
퇴화
해서 없어진다. 황 교수팀 연구원은 난자가 극체를 정자로 착각하고 스스로 분열해 수정란이 됐을 가능성을 말한 것.이에 대해 황 교수는 “(이 진술을 한) 연구원은 난자를 다루는 기술이 없었다”며 ... ...
향수를 좋아한 낭만 고릴라
과학동아
l
200601
페로몬을 감지하는 유전자(TRP2)가 있었다”고 밝혔다. 현대 영장류는 이 유전자가
퇴화
됐다. 혹시 이 유전자를 간직한 킹콩은 냄새로 배우자를 선택한 것이 아니었을까. 만일 사실이라면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은 앤이 뿌린 향수였을 것이다. 원주민 처녀는 이 향수가 없어 킹콩의 선택을 받지 못한 ... ...
화석 속에 숨겨진 비밀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20
나타나 진화하기 시작했다.❻공룡은 몸통 아래로 뻗은 곧은 다리를 가져야 한다. 다리가
퇴화
한 뱀이나 굽은 다리로 꼬리를 질질 끌고 다니는 악어는 절대 공룡이 아니다.지금으로부터 46억 년 전 원시 상태로 탄생한 지구는 많은 변화를 겪으며 현재에 이르렀습니다. 물론 지금 이 순간에도 지구는 ... ...
침팬지에게서 사람의 향기를 느끼다
과학동아
l
200510
Y염색체는 정자를 많이 만드는 방향으로 급속히 진화했다. Y염색체의 다른 유전자는
퇴화
되더라도 번식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작았기에 진화과정에서 조금씩 사라졌고, 마침내 정자 생산에 관련된 기능만 비대하게 커졌다. 실제로 침팬지의 고환은 신체 비율을 고려하면 인간에 비해 10배나 ... ...
강원도 산골에서 만난 바닷가 나비
과학동아
l
200509
위치에 따라 채집 결과에 큰 차이가 난다”고 설명했다. 이렇게 채집된 곤충은 날개가
퇴화
된 지표성 곤충이다. 제일 많이 잡힌 먼지벌레는 날개 대신 빠른 다리로 흙먼지를 일으키며 이동한다. 이들은 계곡을 건너지 못하기 때문에 지리적으로 격리돼 시간이 지나면 아종(subspecies)으로 분화된다 ... ...
우주왕복선 다시 우주로 향하다
과학동아
l
200508
해당하는 세포가 변화하여 황체가 된다 황체는 일정기간 동안은 난소에 남아 있지만 곧
퇴화
한다 그 기간은 동물의 종류나 조건에 따라 다르다 사람의 경우, 수정되지 않으면 배란 후 16일 경에 기능을 상실한다 그러나 만약 임신하였을 때는 황체가 특별히 커져 분만 때까지 장시간 유지된다 ... ...
복제양 '돌리' 만든 윌머트박사, 황우석교수에 공동연구 제안
과학동아
l
200505
루게릭병 치료기술을 개발하고 싶다”고 말했다.루게릭병은 운동신경이 죽고 근육이
퇴화
하는 신경퇴행성 질환으로 영국의 유명한 물리학자 스티븐 호킹 박사도 이 병을 앓고 있다.윌머트 박사는 “사람 대신 줄기세포로 신약을 테스트해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 가장 빨리 할 수 있는 연구이며 ... ...
50년 안에 로봇 반란 일어날 수도
과학동아
l
200505
없어지면 암, 치매 등에 걸리기 쉽다. 한 과학자는 인류의 텔로미어가 임계 수준까지
퇴화
했다고 지적했다. 가장 일어나기 어려운 것은 ‘지구가 블랙홀에 먹히는 사건’이었다 ... ...
여자는 쓴맛 남자는 단맛에 민감
과학동아
l
200504
먹어야 한다”며 쓴맛에 대한 민감도가 다양한 현상을 설명했다. 패스트푸드가 미각
퇴화
시켜그러나 유전자가 미각의 모든 것을 설명하지는 못한다. 후각과 마찬가지로 미각도 경험과 학습에 따라 큰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최근 일본의 연구자들은 젊은 세대의 미각이 둔감해지고 있다는 사실을 ... ...
인간 X염색체 해독
과학동아
l
200504
거치면서 X와 Y성염색체가 생겼으며 이 가운데 X염색체는 진화를 거듭한 반면 Y염색체는
퇴화
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로스 박사는 “혈우병, 색맹처럼 X염색체의 유전자 돌연변이로 생기는 유전질환이 여성에게는 잘 나타나지 않고 남성에게 빈발하는 이유는 남성의 경우 X염색체가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