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타락
쇠퇴
퇴보
저하
퇴폐
저락
악화
d라이브러리
"
퇴화
"(으)로 총 249건 검색되었습니다.
헤엄 잘 치는 '밥도둑' 꽃게
과학동아
l
200906
앞에 두고서는 ‘게 꼬리 같은 놈’이라고 손가락질을 한다. 배가 꼬리 모양으로 짧게
퇴화
한 데서 나온 표현이다. 사람이나 동물이 괴로울 때 흘리는 침을 게거품이라고 부르며, 음식을 빨리 먹을 때 ‘게 눈 감추듯 한다’라고 비웃는다. 이렇듯 게에 대해서는 좋은 말이 별로 없다.그러나 그림 ... ...
인간의 진화! 인류의 기원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0905
동물에서도 찾을 수 있다. 특별전에는 골반이나 대퇴골 같이 뒷다리 골격이
퇴화
한 흔적을 갖고 있는 동물이 전시돼 있는데 이 동물은 무엇일까?※ 이 문제의 정답을 적어 5월 10일까지 e메일 (yhlee@donga.com)로 보내주시거나 전시회 현장에 마련된 상자에 넣어주신 분 가운데 3명을 추첨해 과학동아 1년 ... ...
광합성 하는 동물 있다? 없다?
과학동아
l
200904
있다. 즉 은편모조류의 세포에는
퇴화
한 홍조류의 핵체가, 클로라라크니오피타류에는
퇴화
한 녹조류의 핵체가 들어있다. 한편 와편모조류에 속하는 일부 원생생물은 2차 내공생체를 포획한 ‘3차 내공생체’임을 보여주는 흔적이 남아 있다.지난 2005년 ‘사이언스’에는 2차 내공생이 진행 중인 ... ...
버릴 곳 없는 국민생선 명태
과학동아
l
200901
3개의 등지느러미와 2개의 뒷지느러미를 가진다는 공통점이 있다. 명태는 수염이 거의
퇴화
됐고, 아래턱이 위턱보다 길게 튀어 나와 있어 대구나 빨간대구와 쉽게 구별할 수 있다.명태는 우리나라 동해를 비롯해 일본 북부, 오호츠크해, 베링해, 알래스카에 걸친 북태평양해역에 주로 서식한다. ... ...
2003년 디디에르 라울 교수의 미미바이러스 발견
과학동아
l
200901
이 가설에 따르면 오늘날 보이는 바이러스 대부분은 기생에 최적화하기 위해 극단적으로
퇴화
한 상태다. 따라서 미미바이러스는 오히려 ‘원시적인’ 형태의 바이러스인 셈이다. 1억 년 전 모습을 유지하고 있는 악어나 상어, 은행나무가 살아있는 화석으로 여겨지는 것과 비슷하다. 최근 해양수 ... ...
비글호 2008 진화섬으로 떠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821
조상이 거쳐 온 진화의 과정을 거꾸로 거슬러 갈 수 없어. 한번
퇴화
된 기관이 다시
퇴화
전 모습으로 되지 않는 이치와 같지.진화는 하나의 과정이야. 현재 우리와 함께 살고 있는 생물들이 몇만 년 뒤에는 현재와 아주 다른 모습이 되어 있을 수도 있어. 자연환경이 끊임없이 변함에 따라 환경에 ... ...
눈먼자들의 도시
과학동아
l
200812
불가능하다. 인간의 망막은 생후 수개월 이내에 시세포에 빛을 받아들이지 못하면
퇴화
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아기의 망막에 잘 생기는 신경모세포종의 경우 너무 늦게 발견하면 암 덩어리를 제거해도 시력을 되찾지 못한다. 다만 백내장처럼 후천적으로 시력을 잃었을 때는 망막의 시세포가 ... ...
나노미터 크기 물질 꿰뚫어 보는 냉중성자
과학동아
l
200811
물질을 파괴하지 않고도 원자나 나노물질의 내부구조와 움직임을 알 수 있다. 눈이
퇴화
된 박쥐가 초음파를 발사한 뒤 물체에 부딪혀 튕겨 나오는 초음파의 속도와 방향으로 주변 지형을 인식하는 방식과 같다. 최 교수는 “원자나 분자 수십~수백 개가 모여 만든 여러 가지 물질의 구조와 움직임을 ... ...
금고의 돈이 깜쪽같이 사라졌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9
금반지는 섬유질이 아니기 때문에 흰개미가 먹지 않았던 것라고. 게다가 흰개미는 눈이
퇴화
되어 개미처럼 페로몬에 의지해 길을 찾는단다.“어이쿠, 머리야. 사람도 아닌 곤충에게 당하다니. 근데 개미나 흰개미나 그게 그거 아니오? 내가 보기엔 별 차이 없던데.”어이쿠야 씨가 닥터고글에게 ... ...
‘숨겨진 보물’ 감자, 킹왕짱!
과학동아
l
200809
관광지인 마추픽추가 있는 쿠즈코 부근에 있다. 감자공원은 감자 야생종의 멸종과
퇴화
를 막고 생물다양성을 확보하기 위해 국제감자연구소가 페루 정부와 협정을 맺어 해발 3150~5000m의 고산 지대에 설립했다. 면적만 1만 2000ha로 어마어마하다. 감자공원 안에는 아직도 감자를 수확하며 물물교환으로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