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샷
샷터
셧터
차광판
샤타
덧문
겉창
d라이브러리
"
셔터
"(으)로 총 161건 검색되었습니다.
달의 바다가 어둡게 보이는 이유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떄는 후지크롬 벨비아가 특히 좋고,확대 촬영에는 코닥크롬400,후지G800이 적당하다.카메라
셔터
를 누를 때 발생하는 거울의 진동이 심하면 확대 촬영에 사용할 수 없다.진동이 적은 캐논의 EOS5카메라나 미러업 기능이 있는 카메라를 선택한다 ... ...
사자자리 유성우 관측가이드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해서 특별히 어려운 것은 없다. 카메라를 삼각대에 고정한 뒤, 핀트는 무한대(∞)에,
셔터
를 B에 맞추고 장시간 노출을 한다. 유성은 짧은 시간에 빛나다 사라지기 때문에 눈으로 보고 느끼는 것보다 필름에는 더 어둡고 작게 찍힌다. 렌즈가 50mm 표준렌즈도 괜찮지만 보다 넓은 하늘을 담을 수 있는 ... ...
태양계의 작은 화석 소행성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추적할 수 있는 적도의 방식의 장치대가 있는 것릴리스 : 카메라에 흔들림 없이
셔터
를 눌러준다필름 : ASA4000 이상의 고감도 필름카메라 조정대 : 사진 촬영 영역을 다양한 각도로 잡을 수 있게 해 준다.■방법1. 별지도에서 찍고자 하는 소행성의 위치를 확인한다.2. 별자리를 보면서 소행성이 있는 ... ...
순간의 역사를 담은 창 필름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하지만 선수에게 방해가 되지 않게 하기 위해 플래시를 터뜨리지 못한다. 따라서
셔터
속도와 조리개를 최대한 활용하는 한편 고감도 필름을 사용해야 한다. 그 결과 신문에 찍힌 권투 선수 사진의 질감은 거칠게 드러나게 마련이다.반대로 저감도 필름으로 촬영한 경우 사진의 입자가 곱고 ... ...
하늘지도로 별찾기
과학동아
l
1998년 06호
유리하다. 먼저 카메라에 필름을 넣고 삼각대에 장착한 다음 릴리이즈는 카메라의
셔터
누름 스위치에 끼운다.성도에서 촬영하고자 하는 별자리의 위치를 확인하고 삼각대를 움직여 별자리 부근으로 카메라를 가게 한다. 카메라 파인더를 들여다보며 별자리의 구도를 잡는다. 이 때 별이 희미해 잘 ... ...
1. 동굴벽화에서 디지털 애니메이션까지
과학동아
l
1997년 06호
셔터
와 연결된 가는 실을 쳐놓았다. 말이 카메라 앞을 지나면 실이 끊겨 자동적으로
셔터
가 눌러졌다. 머이브릿지는 이렇게 해서 말이 달리는 연속적인 영상을 얻는데 성공했다. 머이브릿지의 사진총은 환등기 시대의 종지부를 찍고 영사기 시대를 활짝 열었다. 에디슨은 머이브릿지의 실험에서 ... ...
전세계를 실망시킨 몽고 개기일식
과학동아
l
1997년 04호
낼 수 없는 일이었다.개기일식은 허망하게 진행됐다. 눈이 내리는 가운데 연신 카메라
셔터
를 눌러 댔지만 성과는 없었다. 2분25초 동안의 개기일식은 그렇게 끝났다. 우리들은 내년 2월 26일 일어날 예정인 파나마 개기일식에 기대를 걸면서 장비를 거뒀다 ... ...
러시아의 희망 무너져
과학동아
l
1996년 12호
전기라이터와 가스레인지에서 찰칵 소리를 내며 불을 붙이는 압전(壓電)소자, 카메라의
셔터
속도와 조리개를 자동조절하는 수광(受光)소자, 음향기기 등에 붙어 음량이나 다른 물리량의 크기에 따라 반짝이는 발광소자, 그리고 초고성능 컴퓨터용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는 조셉슨 접합소자 ... ...
1. 인간은 왜 입체감을 느끼나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액정
셔터
를 부착한 특수안경을 사용해 보는 방법을 개발했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액정
셔터
의 우수한 스위칭 특성으로 좌우 화상을 완전히 분리 할 수 있어 입체감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특수 안경을 사용해 입체 화상을 보는 것은 맨눈으로 보는 것에 비하면 아무래도 불편하다. 늘 안경을 ... ...
3. 입체 TV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이용해 새로운 장치의 개발이 이뤄졌다. 그 대표적인 것이 렌티큘라 방식과 액정식
셔터
안경을 이용한 입체TV, 그리고 의료 분야의 응용을 목적으로 개발된 물체의 깊이에 따라 반사경의 초점을 변화시키는 가변반사경(vari-focal mirror) 등이 3차원 영상 표시 장치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입체 또는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