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샷
샷터
셧터
차광판
샤타
덧문
겉창
d라이브러리
"
셔터
"(으)로 총 161건 검색되었습니다.
빛을 기록하는 인류 최대 발명품 CAMERA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그러므로
셔터
를 반쯤 눌러 자동초점 기능을 작동한 후 최소한 1초 이상 기다렸다가 마저
셔터
를 눌러 줘야 초점이 제대로 맞는 사진을 찍을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촬영하고자 하는 사물이 움직이거나 카메라가 흔들리만 안된다. 자동초점 기능을 써도 초점이 맞지 않는 사진을 얻는 경우가 허다한 ... ...
20년만의 대장관 햐쿠다케혜성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최소한 필름감도(ISO) 400은 돼야 한다. 그리고 카메라를 혜성 방향으로 향하게 한 다음
셔터
를 누르면 된다. 노출 시간은 15초에서 약 1분까지 다양하게 한다. 이렇게 해 보면 필름 상에 혜성의 코마와 꼬리가 흐릿하게 나타나 있을 것이다.별의 일주사진을 찍듯이 장시간 노출을 주어도 혜성의 흐른 ... ...
3. 마음으로 찍는 사진 염사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어떤 사람이 영상을 떠올리고 이를 마음으로 카메라(또는 사진건판)를 향해서 보내면
셔터
를 누르지 않고도 필름에 그 영상이 찍히는 현상이다.염사현상은 1930년대 일본 도쿄대 후쿠라이 박사가 투시실험을 하던 중 우연히 발견됐다. 당시 후쿠라이 박사는 최면심리학을 연구하고 있었는데, ... ...
5 음향-음압과 주파수의 하모니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셔터
가 눌리는 소리가 나지 않도록 돼 있으나 촬영자들에게 고급감을 전달하지 못하고
셔터
가 언제 눌렸는지에 대한 감이 없어 인위적으로 음을 삽입한 사례도 있다.또한 포드사에서는 자동차의 엔진음에 대한 감성공학적 연구를 통해 엔진음의 종류에 따라 사람들이 연상하는 자동차 타입을 ... ...
세계 최대 두루미의 낙원 이즈미
과학동아
l
1995년 03호
모두 비가 와 촬영하지 못했는데, 이번에 여한을 풀었다며 연신 흥분한 모습으로 카메라
셔터
를 눌렀다.옥상에는 우리 말고도 단체 관람객들이 많았는데, 그들은 남녀노소 가리지 않고 아마추어임에도 불구하고 필드스코프와 쌍안경 카메라 도감 등을 지니고 있었다.원교수는 이 두루미 도래지를 ... ...
'우주 행위예술' 환상의 개기일식 3분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접촉, 08시18분14.7초. 정확하게 달이 태양을 완전히 가리는 순간이다. 환호성과 카메라의
셔터
소리가 사방에서 들리기 시작했다. 오! 하느님, 그것은 말로 표현할 수 없었다. 갑자기 주위가 어두워지면서 하늘의 검은 원반 주위로 뻗어 나오는 휘광은 환상의 극치였고 보는 이들로 하여금 그 어떤 ... ...
보통카메라로 천체 사진 찍는다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방향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장치가 되어있어야 유리하다. 그 다음 릴리즈를 카메라
셔터
에 연결한다. 이렇게 준비된 카메라를 하늘로 향하고 노출을 3초 이상 주어 촬영을 하게 되면 사진에는 무조건 별이 찍히게 된다.다음과 같은 사실을 기억하고 참고하여 촬영하면 누구나 천체사진 작가가 될 수 ... ...
백두산 고지대 희귀꽃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꽃방석처럼 덮고 있어 그 장관은 어디에 비길 데가 없다. 필름을 아끼는 필자가 30여번
셔터
를 누르고도 아쉬움이 있었다.가솔송도 철쭉과에 속하는 풀같은 작은 나무다. 이 나무에는 붉은 꽃이 방울처럼 주렁주렁 매달린다. 잎은 소나무 같으나 소나무가 아니라서 가솔송으로 불린다. 이 식물도 북극 ... ...
페르세우스 유성우 여름밤 별똥축제
과학동아
l
1994년 08호
0 이상의 고감도 필름을 준비한 다음, 카메라를 복사점인 페르세우스 부근에 고정시키고 B
셔터
와 릴리스를 이용해 5분에서 10분 정도의 노출시간을 주어 사진을 반복해서 찍으면 된다. 이때 카메라의 F수는 2.0이나 2.8정도면 된다. 물론 카메라를 고정시켜 놓는 삼각대가 있어야 하는 것은 두말할 필요 ... ...
PART.1 두눈 시각차 이용, 환상의 3차원 영상 만든다
과학동아
l
1994년 07호
제어하므로 각각의 눈에 단 하나의 이미지를 보여 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빠른 속도의
셔터
개폐가 이루어지면서 우리의 뇌는 두개의 이미지를 하나의 독립된 입체영상으로 인식하게 된다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