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샷
샷터
셧터
차광판
샤타
덧문
겉창
d라이브러리
"
셔터
"(으)로 총 161건 검색되었습니다.
하루에 수t이 쏟아진다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렌즈를 사용한다. 카메라는 유성의 예상부분을 겨누고 조리개를 활짝 연채로 10~20분 B
셔터
로 노출을 주면 촬영이 된다. 배경의 별을 점상으로 하고 싶으면 적도의를 이용해 가이드해야 하며 유성의 속도 및 지속시간을 알기 위해서는 카메라 렌즈앞을 회전날개의 회전으로 연속개폐(약20회/초 ... ...
모습드러낸 태양의 대기 코로나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직전, 빛의 다발이 반지에 박혀있는 다이아몬드를 연상케 했다. 약 6초간 2백50분의 1의
셔터
스피드로 10여컷의 필름을 소모했다. 완전히 태양의 모습은 사라지고 태양이 있던 자리에 검은 달의 뒷면이 대신 자리를 잡았다.흑태양 주위에 펼쳐지는 태양의 대기, 코로나의 모습은 우리와 주변 관광객의 ... ...
별사진 가장 많이 찍은 이혁기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는 천체사진에 관한 한 남에게 뒤지지 않는다고 자부한다.중학교 3학년 때부터 카메라의
셔터
를 누르기 시작한 이씨는 8년여 동안 현재 1만컷이 넘는 천체사진을 갖고 있다. 그동안 소진한 필름 통수는 자그마치 1천여통. 사진 한 장을 얻기 위해 영하 10℃가 넘는 야외에서 혹한의 겨울밤을 꼬박 ... ...
자연속에 묻힌 외곬 인생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60평생 처음으로 나비알 구경했다"는 소리를 들을 때의 기쁨 때문에 앞으로 계속
셔터
를 눌러댈 작정이다. 집 주위에다 워낙 꽃을 많이 심어놔 나비들이 이씨 집 주위로 한번 날아오면 한시간 이상은 체류한다. 일하다가도 아이들이 새로운 종류의 나비가 날아들었다고 알려주면 부리나케 카메라를 ... ...
노출시간과 필름의 감광속도에 주의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열어놓은 상태로 고정시켜놓을 수 있다. 그러나 자동 카메라의 경우는 어두운 곳에서
셔터
가 4~6초 이후 닫혀버리거나 계속해서 열려있게 되는데, 그럴 경우 노출되는 동안 계속 배터리가 소모되어 별의 일주사진을 찍게되면 전지를 완전히 소모해 작동이 되지 않는다.이제 준비된 카메라에 필름을 ... ...
정보통신의 새 시대를 선도한다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분위기의 아름다움을, 또 주위의 현상들을 담아낼 수 있을까하고 여기저기서 카메라의
셔터
를 눌러대며 암실작업에 분주해지는 것이다.내가 처음 촬영이란 것을 하게 된 곳은 올림픽공원이었는데 황량하기까지한 넓은 공원을 꽉 채우고 있는 음악소리에 취해 소리를 찍어보겠다고 하루종일 ... ...
가정자동화 시대가 열리고 있다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등에 주로 설치한다. 이 장치는 이름대로 자석의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문이 열리거나
셔터
가 올라갈 경우 문틀 사이에서 서로 마주 보고 있던 두개의 자석은 떨어지기 마련이다. 이때 기계장치가, 작동, 전기적 신호를 수신기에 보내게 되고 동시에 경보가 울린다.초음파감지기도 널리 쓰인다. 고른 ... ...
금세기 최대혜성 오스틴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있다.이제 촬영준비를하고
셔터
맞춤 표시의
셔터
다이얼에서 B를 맞추 릴리즈를 끼운뒤
셔터
가 등장하는지 체크한다. 렌즈의 조리개는 주위에 잡광이 없으면 모두 개방 하고, 잡광이 좀 있거나 달빛으로 하늘이 밝거나 도시의 하늘인 경우는 조리개를 한단계 정도 줄인다. 혜성은 먼거리에 있으므로 ... ...
자성유체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수 있다.또 자기장을 제어함으로써 투광량의 제어도 동시에 가능하다는 점을 이용하면 광
셔터
(shutter) 나 광모듈레이터(modulator)를 만들 수 있다. 이것은 장차 광통신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소자로 쓰일 전망이다.한편 강자성유체와 불용성 비(非)자성유체를 편광필터 사이에 얇게 끼우고 자기장을 ... ...
밤에도 본다 야간 감시장비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에는 약 1/5백초, 초생달등 어두운 달밤(${10}^{-2}$Lux)에는 1/60초, 별빛에서도 1/4초 동안
셔터
를 누르면 된다.눈이 대단히 좋은 사람도 6등성 이하의 별은 육안으로 볼 수 없다. 은하계의 1천억개의 별들중 6천여개 밖에 볼 수 없는 것. 반면 쌍안경을 통해서는 약10만개를 볼 수 있고 팔로마(Palomar)산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