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화력
뉴스
"
소화기능
"(으)로 총 281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비만치료제 게임체인저 나왔나
2021.09.23
당뇨병치료제로 개발됐던 세마글루타이드라는 약물(제품명 위고비)의 임상시험 결과 체중감량 효과가 인정돼 지난 6월 미식품의약국(FDA)이 비만치료제로 승인했다고 한다. 연합뉴스 제공 요즘 코로나19와 관련해 ‘게임체인저’라는 용어가 자주 등장한다. '게임체인저'는 어떤 상황을 반전시킬 ... ...
[인사] 연세의료원
동아사이언스
l
2021.08.26
◇연세의료원 △의과학연구처 하님정밀의료센터 1부소장 강훈철 △의과학연구처 하님정밀의료센터 2부소장 정재호 △제중원보건개발원 국제개발(ODA)센터 소장 염준섭 ◇연세대 의대 △안과학교실 주임교수 김성수 △인문사회의학교실 의료법윤리학과장 이일학 △입원의학과장 김수정 △직업 ... ...
'우주개발, 앞으론 R&D 넘어 돈버는 산업' 우주개발진흥법 일부 개정안 입법예고
동아사이언스
l
2021.08.17
정부가 민간 우주 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제도 개선안을 마련했다. 사진은 올해 6월 2일 경남 창원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창원사업장을 방문해 신현우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대표이사로부터 누리호 1단부의 75t(톤)급 엔진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는 용홍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1차관이다. 과학기술정 ... ...
"'백의 고혈압'은 자율신경계의 '투쟁-도피 반응' 때문"
연합뉴스
l
2021.08.11
[연합뉴스TV 제공] 평소 집에서 혈압을 잴 땐 정상인데 하얀 가운을 입은 의사 앞에서는 혈압이 올라가는 현상을 '백의 고혈압'(white-coat hypertension)이라고 한다. 이는 자율신경계가 '투쟁-도피 반응'(fight or flight response)을 일으키기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투쟁-도피 반응'이란 긴장 상 ... ...
코로나19, 초기 면역 관여하는 자연살해 세포 기능 감소시킨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10
신의철 KAIST 의과학대학원 교수(왼쪽 첫번째) 연구팀은 김연숙 충남대 감염내과 교수(왼쪽 두번째), 천신혜 교수팀(왼쪽 세번째)과 공동연구를 통해 코로나19 환자들에서 자연살해 세포의 항바이러스 기능이 약화돼 있는 것을 확인했다. KAIST 제공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이 인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단백질 음료 마셔야할까 고민한다면
2021.06.15
청장중년 나이에 고기나 치즈처럼 고단백 음식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단백질 음료까지 맛을 들였다가는 자칫 건강을 잃을 수도 있다. 위키피디아 제공 아미노산인 류신은 근육을 강화한다고 알려져 있다. 보디빌더가 운동 전, 운동 도중, 운동 후에 꿀꺽꿀꺽 마시는 단백질 음료에 류신이 다량 들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근시와 보랏빛
2021.06.08
근시의 증가는 동아시아 젊은이들에게 특히 많이 보인다. 지나친 실내생활로 햇빛을 충분히 받지 못한 것이 주요한 요인으로 밝혀진 바 있다. 픽사베이 제공 최근 책을 읽다가 뜻밖의 사실을 알았다. 노인들에게 살아오면서 후회하는 일이 무어냐고 물었더니 “젊었을 때 치아 관리를 제대로 한 안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이 제2의 폐가 될 수 있을까
2021.05.25
폐렴 등 여러 이유로 폐활량이 크게 떨어져 자발적 호흡만으로는 생존할 수 없는 환자들이 인공호흡기 덕분에 목숨을 구할 수 있다. 그러나 코로나19 같은 팬데믹으로 환자가 급증하면 모두가 혜택을 받을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인공호흡기 사용으로 회복 뒤 폐 기능 저하 등 여러 부 ... ...
일본 연구팀, 대장에 소장 기능 부여 동물실험 성공
연합뉴스
l
2021.04.06
일본 연구팀, 대장에 소장 기능 부여 동물실험 성공 소장(小腸) 세포의 근원이 되는 줄기세포를 배양해 대장(大腸)에 이식하는 방법으로 대장 일부가 소장 기능을 하게 하는 동물실험이 일본에서 성공했다. 6일 요미우리신문에 따르면 게이오(慶應)대 연구팀은 쥐의 소장에서 줄기세포를 채취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제2의 미토콘드리아 찾았나
2021.03.23
세포소기관인 미토콘드리아(가운데)의 전자현미경 사진. 다트머스대 제공. “교과서적인 미토콘드리아에 익숙한 사람에게는 무척 놀랄 일이지만 많은 단세포 진핵생물이 산소가 없는 곳에서 활동하는 미토콘드리아를 갖고 있다. 이 ‘혐기성(무산소)’ 미토콘드리아는 양분을 태울 때 산소 대신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