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화력
뉴스
"
소화기능
"(으)로 총 281건 검색되었습니다.
음식물 넘기는 인공식도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7.24
국내 연구팀이 인공식도를 만들어 동물실험에 성공했다. 서울대병원은 신체부위 중 개발이 힘들었던 식도를 개발해 쥐에게 이식하는 실험에 성공했다고 24일 밝혔다. 대장암 등 병이 발생하면 대장이나 소장은 손상된 부위를 잘라내고 건강한 부위를 잇는 수술을 할 수 있다. 하지만 구강암이 ... ...
[이정아의 닥터스]수면 연구에 평생 바친 김린 교수가 말하는 건강한 잠
동아사이언스
l
2019.07.03
이달 1일 고려대 의대 제1의학관에서 만난 김린 고대안암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국내 수면의학연구자 1세대로 꼽힌다. 이정아 기자 "밤에 잠이 오지 않는다고 말하면 대다수 병원에서는 수면제를 처방합니다. 하지만 수면제를 처방하기 전 반드시 확인해야 할 것이 있습니다. 그 사람이 잠을 ... ...
[의학게시판] 서울대치과병원, 융복합치의료동 증축 준공식 外
동아사이언스
l
2019.06.28
동아제약-박카스와 함께하는 '제22회 동아제약 대학생 국토대장정' 시작. 동아제약 제공 ■ 서울대치과병원이 27일 '융복합치의료동 증축공사 준공식'을 개최했다. 융복합치의료동은 기존 서울대치과병원 저경쉼터 부지에 지상 8층 건물로 들어섰으며 연면적은 5328.28m2다. 1~4층에서는 장애인과 희귀 ... ...
'게임의 긍정적 힘' 324명의 게이머가 세상에 없던 단백질 56개를 창조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06
단백질 개발 게임 '폴드잇'을 통해 새롭게 설계된 인공 단백질의 모습이다. 워싱턴대 제공 청소년부터 노인까지, 고등학교를 졸업하지 않는 사람부터 교수까지, 다양한 시민 과학자들이 게임을 통해 56개의 인공 단백질을 설계하는 데 성공했다. 데이비드 베이커 미국 워싱턴대 생화학과 교수 연 ... ...
[프리미엄 리포트] 혀의 진화 래퍼의 탄생
과학동아
l
2019.05.19
케이블 음악방송 엠넷에서 최근 종영한 ‘고등래퍼3’에서 우승을 차지한 고등학교 1학년 이영지 양의 랩 ‘고 하이(GO HIGH)’는 욕설과 도발 대신 철학적이고 자기성찰적인 가사를 읊조리듯 내뱉는다. 3월 말부터 방영 중인 올리브 방송의 ‘노포래퍼’는 유명 래퍼들이 오래된 노포(老鋪·대를 이 ... ...
[프리미엄 리포트] 청소년 자해, 스스로를 벌주는 아이들
과학동아
l
2019.03.23
아이들이 날카로운 도구로 자신을 찌른다. 긁고 때리고 기어이 피를 낸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는 소위 ‘자해러’의 사진이 끊임없이 올라온다. 유튜브에는 ‘OOO 박고 자살하자’는 노래가 유행가처럼 올라온다. 전문가들은 자해로 감정을 표현하는 이유가 말로 하기 어렵거나 소용없다고 ... ...
혈자리에 살짝 전기만 줘도 혈압이 뚝↓
동아사이언스
l
2019.03.21
류연희 한국한의학연구원 책임연구원과 김희영 대구한의대 교수(왼쪽부터) 몸의 특정 혈자리를 전기로 자극만 해도 고혈압 환자의 혈압이 낮아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한국한의학연구원 임상의학부 류연희 책임연구원과 대구한의대 김희영 교수 연구진은 고혈압 환자 손목 안쪽의 내관혈에 ... ...
[전문의가 본 당뇨병] 답 없는 ‘혈관이 아픈 병’…합병증 예방이 관건
동아사이언스
l
2019.03.11
소리 없이 찾아오는 성인병, 잘 먹고 잘사는 부자들의 병, 병보다 합병증이 더욱 무서운 병. 당뇨병을 말할 때 언제나 따라오는 또 다른 이름이다. 하지만 병에 대한 공포만큼 무관심도 크다. 지난 12월 질병관리본부에서 발간한 ‘2018 만성질환 현황과 이슈’에 따르면 국내에서 당뇨병으로 인한 ... ...
[이강운의 곤충記] 곤충 날개의 등장은 필승 전략이었다
2019.03.06
고사리 먹는 불나방아과 애벌레 3억5000만년 전 거대한 쇠뜨기, 석송이나 고사리로 대표되는 양치식물로 숲이 커지고 울창해졌다. 그러나 식물이 죽은 후에 이들을 소화하고 분해시킬 분해자가 없다보니 식물이 그대로 쌓여 현세의 인간들에게 천연가스, 석유나 석탄 같은 풍부한 지하자원을 남겨 ... ...
연말연시 모임 홍수속 내 체중을 지키는 과학적 방법
동아사이언스
l
2018.12.27
게티이미지뱅크 연말을 맞아 여기저기서 송년회가 열리고 있다. 곧 다가올 새해를 맞아 신년회 약속도 이어진다. 고단백과 고지방 음식이 땡기는 겨울철은 잠시만 방심해도 단기간에 체중이 늘어나기 십상인 기간이기도 하다. 평소 우엉이나 도라지, 돼지감자처럼 수용성 식이섬유인 이눌린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