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결
합동
연합
배합
접촉
접속
단결
d라이브러리
"
결합
"(으)로 총 3,591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확률과 전략이 절묘할 때 승리하는 윷놀이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활용될 정도로 관심이 높다. 외국의 많은 초중등 교육기관에서 다양한 문화와
결합
된 수학을 체험하는 기회로 여러 나라의 전통놀이를 수업에 활용한다. 우리나라 놀이로는 윷놀이와 고누가 소개된다. 이처럼 윷놀이는 세계에서도 인정받는 수학 놀이다.윷의 확률허명회 교수팀의 연구에 따르면 ... ...
미생물은 어디서 왔을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합성할 때 PBP라는 효소를 사용한다. 그런데 베타락탐 고리가 아미노산보다 먼저 PBP와
결합
해버려 세균이 세포벽을 합성하지 못하게 만든다. 세포벽을 만들지 못한 세균은 삼투압을 견디지 못하고 터져 죽는다. 사람의 세포에는 세포벽이 없기 때문에 사람에게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세균에만 ... ...
Part 2. 세포 구조 모방하는 미래 인터넷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바꾸는 방법을 통해 만들 수 있다. 이것은 네트워크의 구성 요소 중 노드와 링크의
결합
방식(구조), 그리고 링크의 강도(굵기)와 비교할 수 있다.먼저 구조인 토폴로지에 대해 살펴보자. 컴퓨터공학에서는 정보통신 네트워크의 토폴로지를 크게 네 가지로 나누고 있다. 가장 쉽고 단순한 ... ...
Part 3. 백신 접종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폐조직을 현미경으로 들여다보자 ‘C4d’라는 단백질이 잔뜩 쌓여 있었다. C4d는 항체와
결합
해 바이러스를 무찌르는 역할을 한다. 문제는 이들의 몸에 아직 신종플루바이러스를 표적으로 삼는 항체가 형성돼 있지 않았던 것. C4d는 그 대신 전에 환자가 몇 차례 앓았을 계절성플루바이러스에 대한 ... ...
콜레라균 잡아내는 특별한 설탕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덱스트란이 GM1과 같은 작용을 하는 셈이다. 연구팀은 이 원인을 “GM1에 있는 탄화수소
결합
과 덱스트란의 생김새가 비슷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설탕은 재료비가 저렴하고 나노입자를 만들기 쉽다는 장점이 있다. 연구팀은 이 기술을 활용해 아이티처럼 콜레라가 확산되고 있는 지역에서 ... ...
[life & tech] 세척사과 정말 먹어도 되나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발암물질이라는 것이다. 흙속에 들어 있는 휴믹산(humic acid)과 펄빅산(fulvic acid)은 염소와
결합
해 클로로포름(CHCl3)을 만든다. 이런 염소부산물은 물에 잘 씻기지 않는다. 식품허용치 기준 이하지만 사람들은 껍질을 벗겨 먹는다.오존수 세척은 이런 문제점을 해결했다. 염소수를 일체 쓰지 않고 ... ...
Part2. 지구 살리는 13가지 방법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단점이 있다. 8. 해양 분무기소금 입자는 구름 입자를 만드는 데 유용하다. 물과 잘
결합
하는 성질 때문에 수증기와 엉겨 구름 입자로 성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부 지구공학자들은 바닷물을 분무기처럼 하늘 위에 뿌려서 구름을 만들자고 제안한다. 구름은 햇빛을 반사시키는 훌륭한 장치가 될 ... ...
Part 2. 숙주 특이성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피코나바이러스과에 속하는 리노바이러스는 인테그린이 아니라 사람 세포 표면의 세포간
결합
분자1이나 저밀도지질단백질수용체에 달라붙어 안으로 들어온다. 리노바이러스는 감기 원인의 50% 정도를 차지하기 때문에 흔히 ‘감기바이러스’로 불린다. 라노바이러스의 구조는 1985년 밝혀졌는데, ... ...
홍역바이러스는 새로운 항암제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결합
한다는 것을 알아냈다. 연구진은 이어 이 부분의 중요한 아미노산을 바꿔 숙주에
결합
하지 못하는 바이러스를 만들었다. 브라운 교수는 “홍역바이러스 껍질에 있는 부착단백질이 숙주 세포의 수용체에 붙으면 홍역바이러스가 숙주 세포 속으로 들어갈 수 있다”며 “이 부착단백질을 변형해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만들었으며, 빛 투과율이 97%가 넘는다. 이 둘레에는 형상기억합금으로 만든 구동부가
결합
돼 있다. 구동부가 소프트렌즈를 밀거나 당겨 초점을 조절할 수 있다.이처럼 실제 눈의 원리를 이용한 로봇 눈을 개발한 것은 이 교수팀이 세계 최초다. 기존의 로봇 눈과 비교하면 어떤 장점이 있을까. 먼저 ... ...
이전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