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볼"(으)로 총 10,576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동아 천문대장이 내는 '이달의 퀴즈'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8호
- 가까워질 것으로 예측하고 있는데, 이때는 아틀라스 혜성이 금성보다 더 밝고, 낮에도 볼 수 있을 정도랍니다.지구에 근접한 혜성 중 가장 밝았던 혜성은 1965년 10월 지구 가까이 근접한 이케야-세키 혜성이에요. 당시 최고 밝기가 -10등급에 달했지요. 그 다음으로는 2007년 1월, 지구 근처를 통과한 ... ...
- [별헤는수학] 초신성 사냥꾼 ‘날이면 날마다 오지 않는’ 초신성수학동아 l2020년 08호
- 초신성 후보를 정교하게 구분하는 인공지능 알고리듬을 개발할 예정입니다.평생 한 번 볼까 말까 한 초신성을 보고, 초신성의 역사에 자신의 이름을 남기며, 우주의 비밀을 밝히는 데도움 주는 일석삼조의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 ...
- [기획] 세거나 나열하면 보인다! 카드 마술수학동아 l2020년 08호
- 읽는 마술을 알려주죠. 우선 이 마술의 핵심인 ‘드 브루인 수열’의 성질부터 알아볼게요. 드 브루인 수열은 네덜란드 수학자 니콜라스 호버르트 드 브루인이 만든 수열로, 수열을 원 모양으로 배치한 뒤 어떤 수에서 시작해 시계방향으로 수를 읽어 같은 길이의 새로운 수열을 만들어도 성질이 ... ...
- [폴리매스]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수학동아 l2020년 08호
- 폴리매스 친구를 만나다!폴리매스 홈페이지에서 활발히 활동하는 친구를 한 명씩 만나볼 예정입니다. 이번 주인공은 ‘매스펀-함께 풀고 싶은 문제’ 코너에서 활발하게 활동 ... 다음 직접 문제도 출제하다 보면 어느새 폴리매스에 익숙해져 있는 자신의 모습을 볼 수 있을 거예요 ... ...
- [에디터노트] Why Explore Space?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유럽을 휩쓸던 400여 년 전, 독일의 한 마을을 다스리던 백작은 작은 생물(미생물)을 볼 수 있는 렌즈를 연구하던 인물을 성으로 데려와 연구를 지원했다. 성주가 흑사병으로 고통받는 마을 주민은 돌보지도 않고 쓸데없는 일에 돈을 낭비한다며 비난이 거셌다. 그런데 이 렌즈 연구는 결국 현미경 ... ...
- 숫자로 보는 2020학년도 1학기 사이언스 보드과학동아 l2020년 08호
- 2학기 사이언스 보드에서는 더 많은 멤버들이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획해볼게요! 153명 │ 사이언스 보드 공지&이벤트 게시물 수 (7월 17일 기준)사이언스 보드는 3월 2일 홈페이지를 오픈하면서 본격적인 시작을 알렸습니다. 특히 사이언스 보드의 ‘공지&이벤트’를 통해 프로그램이나 ... ...
- [과학동아 X 긱블] 케첩으로 주스 만드는 마법의 기계과학동아 l2020년 08호
- 건데, 그렇게 쉽지만은 않죠?자, 이제 모두 연결했고 토 맛 토마토주스를 만들어 볼 차례입니다. 사물궁이 님이 팁을 주길, 일반 케첩보다는 열량이 절반인 하프 케첩으로 만드는 것이 토 맛이 덜 난다는군요. 이에 굴하지 않고 강한 토 맛과 약한 토 맛을 모두 느껴보고 싶은 긱블은 두 종류의 케첩을 ... ...
- [이달의 책] 100년 전 스페인 독감에서 코로나19 극복의 지혜를 찾다과학동아 l2020년 08호
- 펴냈다. 코로나19부터 노이즈 캔슬링(잡음 제거), 블랙홀까지 최신 과학 트렌드를 한눈에 볼 수 있다. 캔버스 너머로 광활한 우주를 관측하다 그림 속 천문학김선지 지음 | 김현구 도움 | 아날로그(글담)368쪽 | 1만7000원옛날부터 사람들은 미지의 세계를 두려워하면서도 저 멀리 보이지 않는 별과 ... ...
- 독수리 ‘하나’가 동물원에 온 사연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모로코, 알제리, 이스라엘처럼 번식지였던 곳에서도 더이상 독수리의 둥지를 볼 수 없지요. 또 독수리가 느리게 비행하기 때문에 사람들이 노리기 쉬운 사냥감이란 것도 문제예요. 지금은 세계자연보연연맹(IUCN)에서 독수리를 멸종위협 근접종으로 지정해서 보호하고 있습니다.한편 매년 약 200 ... ...
- 만능 인플루엔자 백신 Universal flu vaccine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수년에 한 번으로 대폭 줄일 수 있다. 물론 이것을 진정한 의미에서 만능 백신이라고는 볼 수는 없다. 미래에 유행할 바이러스에 대한 예측이 틀릴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만능 백신 개발의 핵심은 모든 바이러스가 종류와 돌연변이 여부에 관계 없이 공통으로 갖는 항원을 찾는 것이다. 가령 ... ...
이전1281291301311321331341351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