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
구
뽈
교회 점토
보울
빰
ball
d라이브러리
"
볼
"(으)로 총 10,576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는 시각장애인 안내견 주미입니다
과학동아
l
2020년 06호
“주미는 사람과 스킨십을 좋아하고 학습력이 뛰어나 합격할 것”이라고 말했으니 믿어
볼
밖에. 이번에 국회로 간 학교 선배 ‘조이’처럼 언젠간 꼭 사람들을 돕는 멋진 안내견이 되고 싶다 ... ...
[과학동아 X 긱블] 동물의 숲 주파수 연주기
과학동아
l
2020년 06호
◇안 어려워요 ‘아무것도 없기에 무엇이든 할 수 있는 곳’- ‘모여봐요 동물의 숲’ 캐치프레이즈 연일 화제를 불러모으고 있는 일본 게임회사 닌텐도의 ... 드립이 나오려는 순간 마음이 평안해지면서 자제됩니다. 자, 이제 다 썼으니 아무것도 하지 않으러 가
볼
까나 비보벳따우♪♬ ... ...
[수학뉴스] 게임 이론으로 암 치료법 찾는다!
수학동아
l
2020년 06호
요소가 필요합니다. 특히 다양한 세포가 경쟁을 해서 살아남아야 하는 일종의 게임으로
볼
수 있죠. 실제로 게임 이론을 이용해 악성 종양이 만들어지는 과정과 항암 치료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가 나왔습니다.알렉스 블라디미르스키 미국 코넬대학교 수학과 교수팀은 암세포를 크게 세 가지로 ... ...
[기획] 15퍼즐과 루빅스 큐브도 마르코프 연쇄로 공정하게 섞자!
수학동아
l
2020년 06호
연쇄라고 할 수 있죠.루빅스 큐브를 뒤섞는 건 카드 섞기를 입체적으로 확장한 형태라고
볼
수 있습니다. 무작위하게 섞이는 횟수를 찾는 방법도 카드 섞기와 똑같죠. 다만 루빅스 큐브는 경우의 수가 엄청나게 많습니다. 그래서 잘 알려진 3×3×3 큐브는 무작위하게 섞어주는 횟수를 계산하기가 너무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제6화. 다채로운 군의 세계
수학동아
l
2020년 06호
물 분자가 얼면서 정육각형 대칭 구조를 이루기 때문입니다. 눈 결정처럼 자연에서
볼
수 있는 결정들은 대부분 강력한 대칭 구조를 띠고 있습니다. 외부의 힘이 작용하지 않는 안정적인 상태에서 분자들이 균형을 이루고 있기 때문이에요. 이처럼 3차원에서 분자가 이룰 수 있는 대칭 구조들을 ... ...
[퍼즐라이프] 술술 넘겨봐! 페그 솔리테어
수학동아
l
2020년 06호
‘혼자서 한다’는 뜻으로, 페그 솔리테어는 ‘말뚝을 가지고 혼자 즐기는 게임’이라고
볼
수 있어요. 페그 솔리테어는 원 모양으로 움푹 패인 자리가 있는 게임판과 말뚝 역할을 하는 구슬로 이뤄져 있습니다. 게임판은 자리의 수와 배열에 따라 다양한데, 배열이 십자 모양인 영국식과 팔각형인 ... ...
[동상이문] 6화 낭만과 숫자 사이 '머니
볼
'
수학동아
l
2020년 06호
가장 많은 연승을 이뤘어. 어때? 나와 함께 야구의 낭만을 느껴보지 않을래? 머니
볼
은 나도 정말 재미있게 본 영화야. 오클랜드의 부단장인 피터 브랜드는 정말 인상 깊은 캐릭터였어. 직감으로만 야구를 이해하고 운영해왔던 구단에 맞서 수학적으로 야구를 분석해서 팀을 승리로 이끌다니 ... ...
21일 부분일식, 스마트폰과 과자봉지로 쉽게 찍는 법
과학동아
l
2020년 06호
금환일식이 관측되기도 하지만, 한반도에서는 태양면적의 약 45%가 가려지는 부분일식만
볼
수 있습니다. 부분일식은 오후 5시 2분 절정을 이룰것으로 예상됩니다. 일식과 월식을 제대로 촬영하고 싶다면 천체망원경과 디지털카메라 전문 장비 사용을 강추합니다. 하지만 이런 장비들을 모두 갖추는 ... ...
[독일유학일기] 낙제는 통과의례? 교수와 관계는 걱정 NO~
과학동아
l
2020년 06호
다른 한 명은 연락이 두절됐다. 독일 대학에선 성적을 잘 받기 위해 교수님 눈치를
볼
필요는 없다. 독일은 애초에 교수의 주 업무가 연구고, 강의는 어찌 보면 부수적인 일이라 학생들에게 관심이 없는 교수가 많다. 심지어 학생도 많은데 출석은 부르지 않으니 학생들을 잘 모른다. 시험 채점도 ... ...
[이달의 책] 나는 무엇으로 이뤄져 있을까...더 위험한 과학책 외
과학동아
l
2020년 06호
이제 다양한 방법으로 만날 수 있습니다. 유튜브에서 동영상으로
볼
수도 있고, 블로그 같은 온라인 공간에서 자유롭게 과학 정보를 공유할 수도 있죠. 그럼에도 여전히 전문가가 한 글자 한 글자 정성 들여 써 내려간 책은 과학을 만나는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과학은 소설과 달리 사실관계가 매우 ... ...
이전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