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볼"(으)로 총 10,576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체험실] 추상화의 선구자, 피터르 몬드리안 따라잡기수학동아 l2020년 07호
- 기본 색과 점, 선, 면만으로 우주의 진리를 표현하는 ‘신조형주의’로 바뀌어 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마침내 수직선과 수평선으로 이뤄진 작품을 내놓습니다. 몬드리안 하면 떠오르는 크고 작은 사각형으로 이뤄진 작품들은 ‘몬드리안 패턴’이라고 불리며 디자인에 많이 활용 ... ...
- 소나기가 내리면 목숨을 걸고 튀어라! 호주 개구리 탐사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이는 연구자가 보기 좋게 처리한 데이터를 시민이 FrogID에서 받아볼 수 있어 가능했습니다. 지사탐 앱이 지원하지 않는 기능이기에, 본받을 만했습니다. 반면 지사탐 앱은 개구리 외에 다양한 생물 데이터를 모을 수 있고, 어디서 어떤 정보를 모아야 하는지 연구자가 시민에게 ... ...
- 바이러스는 얼마나 다양할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따라 볼티모어는 바이러스를 일곱 개의 그룹으로 묶었다.국제바이러스분류위원회는 볼티모어 분류법을 토대로 1971년부터 10년에 두 차례씩 바이러스 분류법을 정비하고 있는데, 2019년에 큰 변화가 있었다. 기본적으로 생물의 분류 체계는 ‘계>문>강>목>과>속>종’을 골자로 한다. 하지만 ... ...
- [한장의 과학] 웃는 도롱뇽 아홀로틀, 멕시코 지폐 모델 데뷔 !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키우고 있고, 재생 능력이 뛰어나 실험실에서 연구용으로도 쓰인답니다. 이처럼 흔하게 볼 수 있지만 야생에서의 아홀로틀은 심각한 멸종위기에 처해 있어요. 아홀로틀는 원래 멕시코시티의 소치밀코 호수와 찰코 호수에 서식했어요. 그런데 도심의 홍수를 막기 위해 찰코 호수의 수위를 낮추면서 ... ...
- [수학뉴스] 게임 이론으로 암 치료법 찾는다!수학동아 l2020년 06호
- 요소가 필요합니다. 특히 다양한 세포가 경쟁을 해서 살아남아야 하는 일종의 게임으로 볼 수 있죠. 실제로 게임 이론을 이용해 악성 종양이 만들어지는 과정과 항암 치료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가 나왔습니다.알렉스 블라디미르스키 미국 코넬대학교 수학과 교수팀은 암세포를 크게 세 가지로 ... ...
- [기획] 몇 번을 섞어야 무작위일까?수학동아 l2020년 06호
- 어떤 값이 0에 가깝다고 볼 수 있느냐에 따라서 7회만 섞어도 충분히 무작위하다고 볼 수도 있고, 12회까지 섞어야 엄밀하게 무작위하다고 판단할 수도 있습니다.그 이유는 판단 기준이 되는 값이 ‘확률’이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주사위 던지기 시행을 여러 번 시도할 때 각 눈이 나올 확률인 1/6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제6화. 다채로운 군의 세계수학동아 l2020년 06호
- 물 분자가 얼면서 정육각형 대칭 구조를 이루기 때문입니다. 눈 결정처럼 자연에서 볼 수 있는 결정들은 대부분 강력한 대칭 구조를 띠고 있습니다. 외부의 힘이 작용하지 않는 안정적인 상태에서 분자들이 균형을 이루고 있기 때문이에요. 이처럼 3차원에서 분자가 이룰 수 있는 대칭 구조들을 ... ...
- [퍼즐라이프] 술술 넘겨봐! 페그 솔리테어수학동아 l2020년 06호
- ‘혼자서 한다’는 뜻으로, 페그 솔리테어는 ‘말뚝을 가지고 혼자 즐기는 게임’이라고 볼 수 있어요. 페그 솔리테어는 원 모양으로 움푹 패인 자리가 있는 게임판과 말뚝 역할을 하는 구슬로 이뤄져 있습니다. 게임판은 자리의 수와 배열에 따라 다양한데, 배열이 십자 모양인 영국식과 팔각형인 ... ...
- [동상이문] 6화 낭만과 숫자 사이 '머니볼'수학동아 l2020년 06호
- 가장 많은 연승을 이뤘어. 어때? 나와 함께 야구의 낭만을 느껴보지 않을래? 머니볼은 나도 정말 재미있게 본 영화야. 오클랜드의 부단장인 피터 브랜드는 정말 인상 깊은 캐릭터였어. 직감으로만 야구를 이해하고 운영해왔던 구단에 맞서 수학적으로 야구를 분석해서 팀을 승리로 이끌다니 ... ...
- 누가 지방세포를 키우나?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연조직에는 지방과 근육이 있고, 이들이 전체의 약 90%를 차지한다. 생김새나 색깔로 볼 때 전혀 비슷한 부분이 없는 두 연조직은 서로 긴밀하게 상호작용하며 우리 몸이 활동할 에너지를 조절하는 가장 중요한 기관이다. 이들 두 기관을 유전자의 관점에서 살펴보자. 스테롤조절인자 결합 단백질이 ... ...
이전1301311321331341351361371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