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다"(으)로 총 3,71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2 - 군집로봇 뇌 속엔 무엇이 들었을까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전날 점검하는 데만 모든 팀원들이 꼬박 밤을 새야 한다. 아무리 꼼꼼히 점검해도 막상 바다에 가면 꼭 말 썽이 일어난다.앞으로는 실제 로봇을 통한 검증뿐만 아니라 야외의 어떤 환경에서도 똑같이 작동하는 군집 알고리듬 연구 가 필요하다. 처음에 말한 드론 군집 비행도 실험실에 서 여러 대의 ... ...
- “지구에서 가장 아름다운 산호섬으로 떠나자”과학동아 l2014년 08호
- KIOST)과 과학동아가 미래의 해양과학자를 꿈꾸는 독자 여러분을 뜨거운 열대바다로 초청한다. 장소는 남태평양 미크로네시아 축주에 있는 KIOST 태평양해양연구센터. 8박9일에 걸쳐 열대해양생물과 산호를 관찰하고 맹그로브 숲과 환초를 탐방한다. 항공료와 숙박비, 식비 등 모든 비용은 KIOST가 ... ...
- 눈으로 세상을 제패한 빛의 지배자 - 삼엽충과학동아 l2014년 08호
- 겪으며 많은 종이 사라졌기 때문이다. 하지만 여전히 일부 종은 살아남아 전세계의 바다를 누볐다. 고생대가 끝날 때까지.만약 눈이 아니었다면…현재까지의 화석 연구 결과로는 눈을 가진 최초의 동물은 단연 삼엽충이다. 하지만 삼엽충 이전에 원시적인 눈이 또 있었을 가능성도 완전히 배제할 ... ...
- 다시 읽는 난중일기 거북선 정말 철갑선이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8호
- 거북선 모형을 만들고 실험을 해 봤어요. 배에 두께가 다른 철판을 씌운 뒤 파도치는 바다와 같은 환경에서 배가 잘 뜨는지(부력), 흔들려도 다시 평형 상태로 돌아오는지(복원력) 실험해 본 거지요. 그 결과 32㎜ 두께의 철판을 씌워도 부력과 복원력에 문제가 없다는 사실을 확인했답니다.아무래도 ... ...
- [만화뉴스] 가장 깔끔한 공중화장실을 찾는 방법은?수학동아 l2014년 08호
- 여름 휴가철을 맞아 계곡이나 바다 등으로 여행을 떠나는 사람이 늘고 있다. 설레는 마음으로 휴가지에 도착하면 가끔 눈살을 찌푸리게 되는 순간이 있는데, 수많은 야외 화장실 중에서 깔끔한 화장실을 찾는 것이 어렵기 때문이다.최근 영국 노팅험대 리아 사이먼즈 수학과 박사는 깔끔한 화장실을 ... ...
- 동물세계반장선거 내가 진짜 리더!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7호
- 가장 먼저 달려가서 돕는 반장이 되겠습니다.선생님의 추천 사이좋게 지내요!돌고래는 바다에 사는 영리한 포유류예요. 여러 가지 소리로 서로 대화할 뿐만 아니라, 사람의 말도 잘 알아들어요. 훈련을 거친 돌고래가 멋진 쇼를 해낼 수 있는 이유지요.돌고래는 필요에 따라 무리를 바꾸는 ... ...
- 너희들은 수학으로 포위됐다수학동아 l2014년 07호
- 바꿔 줄 필요가 없는 ‘카텍좌표계’를 많이 활용한다. 카텍좌표계는 제주도 인근 바다 위에 기준점을 잡은 좌표계로, 전국 어디서나 10m 이내의 오차범위 안에서 지리정보를 지도 위에 표시해 준다.이렇게 좌표 개념을 이용해 지리 정보를 표시할 수 있게 되면서 이전에는 알 수 없었던 새롭고 ... ...
- PART 3. 서해에도 쓰나미가 온다과학동아 l2014년 07호
- 하나가 이동할 때 100W 전구 250개를 밝힐 수 있는 에너지가 이동한다. 낭만적이고 시원한 바다를 만드는 데 기여하는 파도지만 마냥 물로만 봐서는 안 되는 파도인 셈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바람, 지진, 중력의 삼박자 '파도'PART 1. 당신의 파도는 안녕하십니까?PART 2. 파도에도 ... ...
- [hot science] 달의 여신의 눈빛, 루나 스월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있다. 개릭-베델 교수와 헤밍웨이 교수 팀은 달 앞면에 있는 지름 555km의 분지인 위난의 바다에 스월이 존재하는지를 연구했다. 이곳은 국지적인 자기장이 발생하고 있지만, 간간히 작은 흰 점이 있을 뿐 뚜렷한 스월이 관측되지 않는다. 만약 자기장 차폐 현상이 스월의 원인이라면 이 지역의 밝은 ... ...
- 맨틀에 제2의 바다가 있네!과학동아 l2014년 07호
- 미국 뉴멕시코대 지질학과 브랜든 슈만트 교수팀은 지구의 맨틀 사이의 공간에 바다만큼의 물이 존재할 가능성을 실험과 지진파 관측을 통해 증명하고 그 결과를 ‘사이언스’ 6월 13일자에 발표했다. 지구의 지각은 여러 개의 판으로 이뤄져 있고, 일부 판은 맨틀 대류에 의해 가라앉아 더 낮은 ... ...
이전1301311321331341351361371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