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다"(으)로 총 3,719건 검색되었습니다.
- 물의 행성 지구, 수원지는 ‘맨틀’과학동아 l2014년 04호
- 행성 지구를 가리키는 대표적인 표현이다. 하지만 지구가 물의 행성인 진정한 이유는 바다가 아니라 수백km 지하에 있는 맨틀 속 ‘물탱크’에 있다는 연구가 나왔다.캐나다 앨버타대 그레이엄 피어슨 박사팀은 지하 410~660km 깊이의 맨틀층에서 만들어진 암석을 연구한 뒤 그 안에서 물을 발견하고, ... ...
- 우주의 꿈, 화성에서 찾다과학동아 l2014년 04호
- 덮인 표면이 보인다. 비록 바다는 없지만, 산맥과 협곡이 있고 극지방으로 가면 하얀 얼음도 볼 수 있다. 바람과 폭풍이 이는 대기도 익숙하다. 마치 고원이나 사막 같다. 하지만 이곳은 지구가 아니다. 지구와 가장 비슷한 행성이자, 지구 바로 바깥에서 태양 주위를 공전하고 있는 이웃 행성인 ... ...
- 남극을 호령할 장보고과학기지!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4호
- 식물 플랑크톤이 풍부해 이를 먹는 가재류가 살고, 이 가재류를 먹이로 삼는 펭귄과 바다표범, 고래가 먹이사슬을 통해 생태계를 이룬답니다. 남극 대륙으로 진출하다!왜 살기 힘든 남극에 과학기지를 또 세웠을까요? 두 기지는 거리가 무려 4500㎞나 떨어져 있을 정도로 환경이 매우 다르답니다. ... ...
- 진실 혹은 거짓 달 미스터리 7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3호
- 사실을 확인했답니다. 달의 앞면은 충돌에 의한 열이 많이 발생해 지각을 녹이고 바다를 만들어 크레이터들이 가려졌다는 거예요. 하지만 두 가지 모두 추측일 뿐이며 아직까지 정확한 이유는 밝혀지지 않았답니다.미스터리 5 달 먼지에서 화약 냄새가 난다고요?글쎄요~. 아폴로 16호와 17호의 ... ...
- [체험] 2014 태국 탐사대, 푸른 바다에 녹색 꿈을 심다!수학동아 l2014년 03호
- 있다. 물을 흡수할 때 작은 세포들이 소금을 제외한 물만 흡수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바다와 육지가 만나는 해안가에서도 거대한 숲을 이루며 잘 자란다.맹그로브는 여러 가지 면에서 이로운 나무다. 태풍이나 ‘쓰나미’로 불리는 거대한 지진해일로부터 지켜 주는 방파제 역할을 하며, 이산화탄소 ... ...
- PART1. 백악기 마지막 날과학동아 l2014년 03호
- 사람에게도 잘 알려져 있다. 이 때를 전후해 다른 동물도 상당수 대멸종을 겪었다. 바다에서는 조개류와 유공충, 플랑크톤, 암모나이트 등이 멸종했고 해양 파충류도 상당수 멸종했다.운석 충돌은 폭탄에 의한 지진과 쓰나미 같은 물리적 충격만으로 일시에 생물을 멸종시킨 게 아니다. 뒤이은 ... ...
- 빛으로 부활한 마크 로스코과학동아 l2014년 03호
- 그 사이의 심원한 간극을 즐겨 그리는 것으로 유명한 20세기 미술계의 거장이다. 마치 바다와 하늘 사이의 수평선 같은 금과 강렬한 색은 그의 트레이드 마크다.그의 작품 중 1962년에 그려 하버드대에 기증한 5점의 연작 ‘하버드 벽화’ 시리즈는 창 밖에서 들어오는 햇빛 때문에 심하게 변색됐다. 197 ... ...
- 밍크고래, 바다로 떠난 사연과학동아 l2014년 03호
- 개성이 강하고 서로 닮지 않았다. 밍크고래 몸에 있는 흰색 얼룩도 각자 약간씩 다르다. 바다에 사는 밍크고래의 총 개체수를 약 70만마리로 보는데, 이들의 다양성이 70억 명의 인간에 버금간다.실제로 개체의 다양성 지표인 핵산 다양성이 밍크고래는 0.00061로 나와 0.00069인 인간과 비슷했다. ... ...
- 새하얀 얼음 사막 위의 안식처에 가다과학동아 l2014년 03호
- 수 없었다.물론 남극에 생물이 전혀 살지 않는 것은 아니다. 남극의 상징인 펭귄이나 바다표범, 고래 같은 대형 동물도 있고, 물속에 사는 각종 조류나 남극 대륙에서 적응한 지의류도 있다. 그러나 어디서나 봤던 푸른 식물이 없다는 것이 계속 위화감을 만들었다. 세종기지 근처에는 꽃이 피는 ... ...
- 2014 소치 동계올림픽 과학으로 100배 즐기기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3호
- 이유가 뭘까요?온도는 위도 말고 다른 요소에도 영향을 받거든요. 대표적인 게 바다죠. 바다는 높은 비열을 가진 물 덕분에 추울 때는 육지보다 덜 차갑고, 더울 때는 덜 뜨겁죠. 그래서 주변 지역을 덜 차갑고 덜 뜨겁게 만들어요. 소치는 겨울에도 따뜻한 흑해 덕분에 같은 위도의 다른 지역보다 ... ...
이전1341351361371381391401411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