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다"(으)로 총 3,719건 검색되었습니다.
- [hot science] 달의 여신의 눈빛, 루나 스월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있다. 개릭-베델 교수와 헤밍웨이 교수 팀은 달 앞면에 있는 지름 555km의 분지인 위난의 바다에 스월이 존재하는지를 연구했다. 이곳은 국지적인 자기장이 발생하고 있지만, 간간히 작은 흰 점이 있을 뿐 뚜렷한 스월이 관측되지 않는다. 만약 자기장 차폐 현상이 스월의 원인이라면 이 지역의 밝은 ... ...
- 맨틀에 제2의 바다가 있네!과학동아 l2014년 07호
- 미국 뉴멕시코대 지질학과 브랜든 슈만트 교수팀은 지구의 맨틀 사이의 공간에 바다만큼의 물이 존재할 가능성을 실험과 지진파 관측을 통해 증명하고 그 결과를 ‘사이언스’ 6월 13일자에 발표했다. 지구의 지각은 여러 개의 판으로 이뤄져 있고, 일부 판은 맨틀 대류에 의해 가라앉아 더 낮은 ... ...
- [과학뉴스] 바닷속 심해어, “이산화탄소가 맛있어”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중간 수심에 사는 동물은 얕은 바다로 올라가서 영양분을 얻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얕은 바다의 탄소가 먹이사슬을 통해 심해까지 내려오는 효과를 낸다. 연구팀은 “심해어가 포집, 저장하는 이산화탄소의 양은 100만t”이라고 밝혔다. 이는 서울의 약 1.5배 넓이를 숲으로 채웠을 때 흡수할 수 있는 ... ...
- [knowledge] 시화호 조력발전소, 환경과 문화까지 살리다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즐기고 간다. 서해안에 위치해 있어서 낙조도 일품인데, 여느 서해안과 달리 바로 앞에서 바다를 볼 수 있어서(보통은 갯벌 너머로 보인다) 색다른 기분을 느낄 수 있다. 6월 25일에는 전시공간과 공연장까지 갖춘 ‘조력문화관’이 완공돼 체험할 거리까지 늘었다.그래서인지 이제는 발전소가 지역 ... ...
- PART 3. 서해에도 쓰나미가 온다과학동아 l2014년 07호
- 하나가 이동할 때 100W 전구 250개를 밝힐 수 있는 에너지가 이동한다. 낭만적이고 시원한 바다를 만드는 데 기여하는 파도지만 마냥 물로만 봐서는 안 되는 파도인 셈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바람, 지진, 중력의 삼박자 '파도'PART 1. 당신의 파도는 안녕하십니까?PART 2. 파도에도 ... ...
- 진주에서 발견된 별에서 온 그대~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7호
- 거예요. 우리는 지구로 매일 떨어지고 있지만 대부분 사람이 살고 있지 않은 땅이나 바다로 떨어지거든요. 넓고 넓은 지구에서 우리를 찾아내기 위해 과학자들도 한 지역에 여러 대의 카메라를 설치하고 오랫동안 관찰하며 기다린답니다. 차라리 혜성이 지구 가까이로 날아가면서 부스러기를 잔뜩 ... ...
- 너희들은 수학으로 포위됐다수학동아 l2014년 07호
- 바꿔 줄 필요가 없는 ‘카텍좌표계’를 많이 활용한다. 카텍좌표계는 제주도 인근 바다 위에 기준점을 잡은 좌표계로, 전국 어디서나 10m 이내의 오차범위 안에서 지리정보를 지도 위에 표시해 준다.이렇게 좌표 개념을 이용해 지리 정보를 표시할 수 있게 되면서 이전에는 알 수 없었던 새롭고 ... ...
- 아르키메데스의 기구한 운명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발명했다. 적의 배가 성벽 가까이 접근했을 때 무거운 돌을 떨어뜨리는 투석기, 배를 바다에서 끌어올리는 기중기 등이 있다. 포물면 거울을 이용해 햇빛을 모아 로마의 목조 전함을 태웠다는 설도 있는데, 그보다는 포물면 거울로 햇빛을 모아 반사시켜서 로마군들의 눈을 일시적인 실명 상태로 ... ...
- 바다로 간 제돌이 “잘 살고 있어요.”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살고 있었고 모두 건강에 이상이 없는 것으로 추정된다.세 돌고래는 2013년 여름에 제주도 바다로 돌아갔다(2013년 7월 특집 ‘고래’ 참조). 국립수산과학원 고래연구소의 김현우, 안용락 해양수산연구사는 작년 11월, 이들을 추적하기 위해 제돌이를 찾아 떠났다. 제주도 해안선을 따라 미리정한 3 ... ...
- [Life & Tech] 암세포만 때려잡는 마법 방망이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우리도 모르는 사이에 재앙이 되지는 않을까. 영화에서 ‘기적의 나노입자’가 강과 바다, 비를 타고 멀리 퍼져서 결국은 지구를 마비시킨다. 예를 들어 대표적인 나노물질인 그래핀도 그럴 수 있다. 그래핀은 탄소가 육각형 그물처럼 편평하게 연결된 것으로 전기가 잘 통하고 강도가 세다. 이 ... ...
이전1311321331341351361371381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