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원
후원
원조
옹호
승인
시인
변호
d라이브러리
"
지지
"(으)로 총 3,718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스크린 속 파도는 왜 진짜 파도보다 리얼할까
과학동아
l
2013년 05호
보여주느냐다. 그러나 유체 시뮬레이션만으로는 ‘재미’있는 영상이 만들어
지지
않는다. 유리창이 깨지는 것을 생각해보자. 유리가 깨질 때 금이 가서 큰 조각으로만 깨지는 것보다는 산산조각이 나면서 파편이 주변으로 화려하게 튀어야 더 박진감이 넘친다. 유체 시뮬레이션만 쓰면 유리 ... ...
그리는 대로 만들어진다! 3D PEN
과학동아
l
2013년 05호
플라스틱을 재빨리 다시 굳히는 기술이다. 그래야 플라스틱이 공중에서 늘어지거나 끊어
지지
않기 때문이다. 연구진은 펜 속으로 시원한 공기를 불어넣는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했다. 보그는 온라인 IT매체인 엔가젯과의 인터뷰에서 “이 펜에서 가장 멋진 부분은 끝에 달린 작은 환풍기다. ... ...
[화보] 기하학, 걸작을 짓다!
수학동아
l
2013년 05호
그는 건물의 본체와 지붕 사이에 작은 돌을 끼워 넣었다. 작은 돌이 지붕을 떠받치는
지지
대 역할을 해서 지붕이 가벼워 보이도록 설계한 것이다.롱샹 성당의 가장 큰 특징은 어느 쪽에서 봐도 그 모양이 다르다는 점이다. 이 때문에 직선으로 이루어진 기존의 건축물과 달리 멀리서도 성당을 알아볼 ... ...
PART 1. 세상을 속인 과학 사기극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물질론을 적당히 장점만 섞어서 만든 그럴듯한 철학)에 부합한다고 주장했어. 리센코를
지지
한 소련 정부는 1948년 리센코의 이론을 정식으로 채택하고 소련 과학아카데미에 있던 멘델 유전학을 따르는 과학자들을 모두 쫓아냈지. 각종 학술지와 교과서에서 유전학 관련 내용을 싹 없애며 소련에서는 ... ...
PART 3. 진실 혹은 거짓, 진짜 연구를 찾아라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한의사의 처방 없이는 쓸 수 없는 약재야. 굼벵이의 어떤 물질이 간 질환에 좋은지 밝혀
지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혹시 사람에게 안 좋은 독소가 있는지도 모르거든.그러니까 아무리 몸에 좋다고 해도 함부로 먹으면 안돼. 인터넷에 ‘굼벵이’를 검색하면 굼벵이 판매하는 농장이 많이 나오는데 막 ... ...
산불이 할퀴어도 씨앗은 남는다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그러나 시간은 만병통치약이라고 했던가.산불이 지나간 자리, 무엇으로도 채워
지지
않을 것만 같지만 오묘하게도 새 주인을 맞는다. 짧게는 수 년, 길게는 수십 년을 살아온 나무라도 화마가 덮치는 것은 한순간이다.산불이 지나간 자리는 폐허가 되지만 그 자리는 금세 새로운 식물로 채워진다 ... ...
[생활] 통계로 생각을 바꾸면 과학이 보인다!
수학동아
l
2013년 04호
본래의 자리로 다시 돌아온다는 뜻을 가지고 있거든요.사실 사람들의 키가 평균으로 맞춰
지지
않으면 큰 일이 벌어질 거예요. 키가 큰 사람들의 자식들은 점차 키가 더 커지고 작은 사람의 자식들은 더 작아져서, 오랜 시간이 지나면 거인과 난장이가 사는 세상이 될 테니까요.회귀분석이라는 말을 ... ...
[체험] 차세대 통신망 연구실 미래 통신은 수학으로 통한다!
수학동아
l
2013년 04호
예상할 수 없지만, 미래에는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더 놀라운 일들이 눈앞에 펼쳐
지지
않을까요?"교수님은 수학으로 진로를 생각하고 있는 두 독자기자들을 위해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생생한 진로상담도 해 주셨다."처음부터 구체적인 목표를 정하는 것도 좋지만, 수학을 좋아한다면 ... ...
꽃 호르몬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년 일본의 고지 고토 박사가 식물의 물관에서 확인할 때까지 어디에서 활동하는지도 알려
지지
않은 수수께끼의 유전자였다. 고토 박사의 연구를 통해 동물의 혈관에 해당하는 관다발에서 FT 유전자가 발현되는 것이 밝혀졌을 뿐이다.뒤를 이어 스웨덴의 오베 닐슨 교수는 FT 유전자가 광주기가 ... ...
생각의 힘으로 우주를 바꾼다?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양자역학이 생각의 힘 증명하지 않아하지만 이런 견해는 주류 과학계에서 받아들여
지지
않고 있다. 실험이 올바르냐에 대한 문제는 차치하고라도 무엇보다 양자역학을 잘못 해석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최만수 고려대 물리학과 교수는 “관찰했을 때 중첩된 두 가지 상태 중 어느 한쪽으로 ... ...
이전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