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원
후원
원조
옹호
승인
시인
변호
d라이브러리
"
지지
"(으)로 총 3,718건 검색되었습니다.
꽁꽁 언 얼음판은 최고의 과학놀이터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2호
무거워지는데, 물은 섭씨 4도에서 가장 무거워요. 온도가 더 낮아지면 오히려 가벼워
지지
요. 이런 물의 성질 때문에 강이 얼 때는 표면부터 얼어요. 겨울이 되어 강 표면에 있는 물의 온도가 4도까지 떨어지면 무거워져서 강 아래로 가라앉기 시작해요.그리고 온도가 4도 보다 높은 아래에 있는 물이 ... ...
내 마음이 보이니? 여론조사
수학동아
l
2013년 02호
관심이 쏠리는 현상을 말합니다. 열세에 놓인 후보자가 유권자의 연민을 자극하여
지지
를 얻어낼 수 있습니다. 이런 이유 때문에 선거관리위원회에서는 선거 6일 전에는 여론조사 결과를 발표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지요.한편 투표 당일이 되면 각 언론사에서 출구조사를 합니다. 투표를 마치고 ... ...
Let's MATH PARTY!
수학동아
l
2013년 02호
과학에서는 새로운 것을 발견하면 자기 이름을 붙이잖아요? 만약에 제가 현재까지 구해
지지
않은 램지수를 발견하면 제 이름이 붙는 건가요?당연하지. 실제로 지금까지 발표된 램지수와 램지 범위에는 발견한 수학자들의 이름이 붙어 있다고. 그런데 말이야, 수학자들은 때론 사람 이름 말고 특별한 ... ...
BRIDGE. 대한민국 무인기는 ‘트랜스포머’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과정을 자율적으로 조종하도록 만든 틸트로터 무인기는 정교한 제어와 무선 통신이 이뤄
지지
못하면 결코 구현할 수 없는 핵심 기술이다.아직은 시제품 수준이다. 활주로 없어도 신속하게 이륙해 빠른 속도로 날아가 독도 상공을 감시할 수 있는 틸트로터 무인기를 기대해 본다.▼관련기사를 계속 ... ...
개코보다 더 개코 같은 돼지코의 비밀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다소 차이가 있기는 하나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후각상피세포층은
지지
세포, 기저세포 및 후각신경세포로 이루어져 있다. 후각신경세포가 화학물질을 인식하면 활성화돼 뇌의 후각신경구로 전기자극을 전달한다.후각상피세포층에는 매우 많은 수의 후각신경세포가 존재한다. ... ...
당신의 대통령은 누구입니까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8%로 예전보다 치솟자 20~30대의 투표율이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를 반영해 젊은 층의
지지
표에 가중치를 준 결과 박근혜 후보 50.2%, 문재인 후보 49.4%로 예측했다. 결국 전날 예측보다 실제결과에 못 미치는 아쉬움을 남겼다.이번에는 한국갤럽이 유권자의 간을 제대로 보았지만, 5년 뒤에도 ... ...
[hot science] 작은 어항이 큰 불 낸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못 버틸 겁니다. 빌딩을
지지
하는 철근이 이미 열을 받아 휘어지기 시작했어요.곧 건물 전체가 붕괴할 겁니다.” 일촉즉발 상황. 100층이 넘는 초고층 빌딩 중간에 화재가 났다.최근 개봉한 재난 영화 ‘타워’의 한 장면이다. 화재 현장은 그야말로 아수라장이다.긴급 투입된 소방관들은 발화 지점에 ... ...
‘너’와 ‘나’를 잇는 끈 협력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연결될 수 있는 범위 이상으로 거대합니다. 원숭이처럼 피를 나눈 집단만으로 이뤄
지지
않았다는 거죠. 오늘 아침부터 지금까지 연락을 하거나 만난 사람을 생각해보세요. 대부분 피 한 방울 섞이지 않은 남일 것입니다. 그 중 상당수는 다시는 보지 않을 사람이고요. 그런데 사람은 이런 생판 ... ...
암 전이 메커니즘 밝혀냈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암세포의 이동에 칼슘 이온이 관련된 것은 알려져 있었지만 어떻게 조절되는지는 밝혀
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708번 마이크로RNA가 평소에는 칼슘 이온의 기능을 억제해 암세포가 이동하는 것을 막지만, 암세포가 성장하면 마이크로RNA의 기능이 억제돼 암세포의 이동이 활발해진다는 ... ...
애완용 늑대는 왜 없을까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그런데 개는 ‘인간의 가장 좋은 친구’인 반면, 늑대는 야생에 살며 쉽사리 길들여
지지
않는다. 무엇 때문일까.케트린 로드 미국 매사추세츠대 진화생물학과 교수팀은 늑대가 어린 새끼 시절 주변 환경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는 사회화 시기가 감각이발달하는 시기와 어긋나기 때문에 길들일 수 ... ...
이전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