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견해
의견
평가
진단
생각
사고
견적
d라이브러리
"
판단
"(으)로 총 3,004건 검색되었습니다.
제2의 지구 찾아 삼만 광년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목성과 같이 무거운 행성은 가스 행성,지구와 같이 가벼운 행성은 암석 행성으로
판단
한다. 가스 행성과 암석 행성을 구분할 수 있는 가장 정확한 방법은행성의 밀도인데, 밀도를 알아내기 위해서는 질량과 크기가 필요하다. 행성횡단에 의한 별빛가림 현상을 관측하면 행성의 크기를 비교적 정확히 ... ...
우주 끝까지 외계행성 찾는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가리면 이보다 훨씬 적은 0.008% 정도만 밝기가 변한다. 이 방법으로는 별인지 행성인지를
판단
하는 기준인 질량을 구할 수 없다. 하지만 시선속도 관측을 추가하면 행성의 크기와 밀도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측성학적 방법도 행성을 찾는 데 쓰인다. 측성학적 방법은 천구 위에서 별의 위치를 ... ...
세계는 지금 특허 전쟁 중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과학기술자들이 동시에 비슷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상황에서 새로운 기술의 소유를
판단
하는 것은 쉽지 않다. 이 때문에 등장한 것이 ‘특허’, 즉 ‘지적재산권’이다. 1474년 이탈리아 베네치아 공화국에서 처음으로 특허가 도입된 이후 기술에 대한 권리 행사와 대가 지불, 기업이나 국가 간의 ... ...
사실과 허구를 구분하려면?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수 있습니다.문제에서는 총알의 질량과 속도, 충돌시간이 주어졌기 때문에 충돌에 대해
판단
해야 합니다. 총알의 에너지가 악당에게 모두 전달되고, 하나의 물체로 합쳐진다고 가정할 수 있습니다. 총알의 질량이 악당의 질량에 비해 매우 작으므로 무시하고 계산해도 됩니다. 충격량에 의해 ... ...
인간은 얼마나 극한 환경을 견딜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유지하려는 자연스러운 반응이다. 심부체온이 33℃ 정도에 이르면 어떻게 될까. 기억과
판단
력을 상실하기 시작하고 곧 혼수상태에 빠지게 된다. 저체온 증에 가장 먼저 반응을 보이는 장기가 두뇌이기 때문이다.30℃ 이하에서 몸을 떠는 반응이 사라진다. 이때부터는 언제든지 심장이 멈춰 사망에 ... ...
태양 쓰나미가 몰려온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태양은 잠잠했다. 흑점이 관측되지 않는 날이 여러 날 지속됐다. 흑점의 수는 태양활동을
판단
하는 근거가 된다. 보통 흑점의 수가 많을 때를 태양활동 극대기, 적을 때를 태양활동 극소기라고 지칭한다. 한국천문연구원(이하 천문연) 태양우주환경연구그룹의 김연한 그룹장은 “보통 평균적인 ... ...
야구장은 도형의 집합소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본루를 정사각형을 돌려 만든 탓에 본루의 앞부분에서 휜 공은 스트라이크인지 아닌지
판단
하기 어려웠다.그래서 본루의 앞부분을 2개의 이등변삼각형으로 채운 오각형의 본루가 1900년 처음으로 탄생했다. 포수가 받은 공이 양옆으로 빠져 보여도 스트라이크가 되는 것은 공이 본루의 앞부분을 ... ...
내 옆에 있는 두 얼굴의 소시오패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저지른다. 또 그런 행동에 대해 죄책감을 느끼거나 앞으로 악한 행동을 자제해야겠다는
판단
도 하지 않는다.소시오패스는 뇌가 활동하는 성향이 사이코패스와 비슷하지만 연쇄살인 같은 범죄를 저지르지는 않는다. 대신 사회에서, 특히 주변에서 어렵지 않게 발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친구나 ... ...
'사랑의 매'가 효과 없는 이유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있다면 학생도 감정적으로 대응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교사가 스스로
판단
해 해결해야 하기 때문에 규칙보다는 공포를 이용해 통제하는 경우가 많다. 체벌을 금지하기 위해서는 먼저 이런 제도를 정비할 필요가 있다.설령 보상을 통한 적절한 강화가 이뤄진다고 해도 학생이 ... ...
외국에서는 수학공부를 어떻게 할까?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시험이 수준에 대한 평가보다 다음 단계의 학교로 진학할 수 있느냐 없느냐를
판단
하는 기준이 돼 버렸어요.외국은 계속 공부를 하려는 열정이 우리나라보다 덜 해요. 대학교를 꼭 가야 하는 것도 아니지요. 중·고등학교 정도의 의무교육만 마치면 자신이 선택한 길에 맞는 공부를 한답니다. ... ...
이전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