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견해
의견
평가
진단
생각
사고
견적
d라이브러리
"
판단
"(으)로 총 3,004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 끝까지 외계행성 찾는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가리면 이보다 훨씬 적은 0.008% 정도만 밝기가 변한다. 이 방법으로는 별인지 행성인지를
판단
하는 기준인 질량을 구할 수 없다. 하지만 시선속도 관측을 추가하면 행성의 크기와 밀도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측성학적 방법도 행성을 찾는 데 쓰인다. 측성학적 방법은 천구 위에서 별의 위치를 ... ...
사실과 허구를 구분하려면?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수 있습니다.문제에서는 총알의 질량과 속도, 충돌시간이 주어졌기 때문에 충돌에 대해
판단
해야 합니다. 총알의 에너지가 악당에게 모두 전달되고, 하나의 물체로 합쳐진다고 가정할 수 있습니다. 총알의 질량이 악당의 질량에 비해 매우 작으므로 무시하고 계산해도 됩니다. 충격량에 의해 ... ...
세계는 지금 특허 전쟁 중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과학기술자들이 동시에 비슷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상황에서 새로운 기술의 소유를
판단
하는 것은 쉽지 않다. 이 때문에 등장한 것이 ‘특허’, 즉 ‘지적재산권’이다. 1474년 이탈리아 베네치아 공화국에서 처음으로 특허가 도입된 이후 기술에 대한 권리 행사와 대가 지불, 기업이나 국가 간의 ... ...
제2의 지구 찾아 삼만 광년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목성과 같이 무거운 행성은 가스 행성,지구와 같이 가벼운 행성은 암석 행성으로
판단
한다. 가스 행성과 암석 행성을 구분할 수 있는 가장 정확한 방법은행성의 밀도인데, 밀도를 알아내기 위해서는 질량과 크기가 필요하다. 행성횡단에 의한 별빛가림 현상을 관측하면 행성의 크기를 비교적 정확히 ... ...
인간은 얼마나 극한 환경을 견딜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유지하려는 자연스러운 반응이다. 심부체온이 33℃ 정도에 이르면 어떻게 될까. 기억과
판단
력을 상실하기 시작하고 곧 혼수상태에 빠지게 된다. 저체온 증에 가장 먼저 반응을 보이는 장기가 두뇌이기 때문이다.30℃ 이하에서 몸을 떠는 반응이 사라진다. 이때부터는 언제든지 심장이 멈춰 사망에 ... ...
내 옆에 있는 두 얼굴의 소시오패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저지른다. 또 그런 행동에 대해 죄책감을 느끼거나 앞으로 악한 행동을 자제해야겠다는
판단
도 하지 않는다.소시오패스는 뇌가 활동하는 성향이 사이코패스와 비슷하지만 연쇄살인 같은 범죄를 저지르지는 않는다. 대신 사회에서, 특히 주변에서 어렵지 않게 발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친구나 ... ...
[심리학 테라피] 영화 인셉션 과 인간의 그림자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가장 적나라한 모습을 보는 사람들이다.하지만 이런 관계는 오히려 가족을 객관적으로
판단
하지 못하게 만든다. 정신질환이라고 여겨질 만한 행동이 이어지는데도 가족들만 그가 정신병이라는 사실을 모르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이다. 가족들은 단지 그의 단점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고 ... ...
특별기획 2011학년도 자사고 진학 가이드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확인할 예정이다.따라서 교과 관련 면접보다는 평소 생활 속에서 부딪히는 다양한 가치
판단
의 문제에 대해 나름대로 생각을 정리해두는 것이 필요하다. 틀에 박힌 답변보다는 현실적이면서도 자신의 신념이 반영된 답변을 준비한다. 다양한 배경지식 필요한 용인외고전년도와 같은 그룹별 ... ...
외국에서는 수학공부를 어떻게 할까?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시험이 수준에 대한 평가보다 다음 단계의 학교로 진학할 수 있느냐 없느냐를
판단
하는 기준이 돼 버렸어요.외국은 계속 공부를 하려는 열정이 우리나라보다 덜 해요. 대학교를 꼭 가야 하는 것도 아니지요. 중·고등학교 정도의 의무교육만 마치면 자신이 선택한 길에 맞는 공부를 한답니다. ... ...
태양 쓰나미가 몰려온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태양은 잠잠했다. 흑점이 관측되지 않는 날이 여러 날 지속됐다. 흑점의 수는 태양활동을
판단
하는 근거가 된다. 보통 흑점의 수가 많을 때를 태양활동 극대기, 적을 때를 태양활동 극소기라고 지칭한다. 한국천문연구원(이하 천문연) 태양우주환경연구그룹의 김연한 그룹장은 “보통 평균적인 ... ...
이전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