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점
흠
티
티끌
부스러기
찌꺼기
결함
d라이브러리
"
하자
"(으)로 총 1,598건 검색되었습니다.
납자루가 말조개에 알을 낳는 이유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후에는 수놈이 곧 정자를 수공 주변에 뿌리게 된다.산란과정을 조금 더 상세히 보도록
하자
. 산란기가 가까워 오면 암놈은 산란관이 길어지고 수놈은 온 몸이 무지개색을 띠는데, 이것을 혼인색(婚姻色)이라고 한다. 다른 동물과 마찬가지로 산란 적기가 되면 수놈들은 서로 싸워 자기의 영역(세력권 ... ...
외계에서 날아온 반중력 우주선?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빌리 마이어 등이 있으며, 이들의 이야기는 국내에 UFO와 우주법칙(고려원), 우주인을 맞이
하자
(김영사), 그대 반짝이는 별을 보거든(시어사)과 같은 책에서 자세히 소개하고 있으므로 여기서는 언급하지 않겠다.자연현상? 심리현상?지금까지 UFO현상의 전반적인 모습을 조망해 보았다. 이제 다시 처음 ... ...
쌍안경활용법 봄철의 은하여행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밝은 은하의 하나다. 여기에서는 봄철 밤하늘속의 밝은 은하들을 찾아 보기로
하자
. 큰 곰자리의 은하군쌍안경으로 볼만한 가장 좋은 은하는 큰곰자리 북쪽에 놓여있는 M81과 M82다. 이 두 은하는 각각 6.9등급(M81)과 8.4등급(M82)의 광도를 가지고 38′(보름달 혹은 해의 크기가 30′임)떨어져 있다. M81은 ... ...
4. 기존 권위에 도전하는 비판정신 길러야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과학을 이룩한 아인슈타인의 업적이 무엇을 바탕으로 가능하게 되었는가를 살펴보기로
하자
. 뉴턴에 의해 그 절대성이 천명되고 칸트에 의해 다시 그 철학적 정당성이 부여된 기존의 시간 공간개념을 과감히 수정하여 상대론적 시공개념을 제창하고, 이를 통해 종래에 철통같이 믿어졌던 ... ...
1억년전 공룡의 뒷모습이 보인다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않았다는 사실을 확인한 것만도 소중한 거야. 너무 낙담하지 말고 그것으로 만족
하자
"는 말 로 조사에 참여한 학생들을 달래면서 마지막으로 고성군 해안에 도착했을 때는 해가 기울기 시작한 오후였다.우리 일행은 하이면 덕명리 봉화골 해안에 도착, 조사를 시작했는데 지층면에 파인 이상한 ... ...
에너지 위기의 대안 솔라카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있는데 보완해야 할 문제점을 아직 많이 안고 있다.원리는 전기자동차에서 따와말
하자
면 태양전지자동차는 제3세대 무공해자동차인 셈이다. 그 기술적인 원리는 전기자동차에서 대부분 빌려 왔지만 힘의 근원을 무궁무진한 태양에너지에 의존한다는 점이 다르다.전기자동차는 가솔린자동차의 ... ...
현대판 「지킬박사와 하이드」이야기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따라서 태양에서 방출되는 중성미자의 수도 맞고 데이비스박사의 실험 역시 아무런
하자
가 없다고 양시론적으로 결론지을 수 밖에 없었다. 태양에서 나오는 중성미자의 3분의 2가 어디론가 사라졌다는 결론을 피할 길이 없게 된 것이다. 이것이 '태양이 방출하는 중성미자의 수수께끼'(solar neutrino ... ...
감기와 독감은 「2란성 쌍둥이」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관계에 있는 감기의 정체는 무엇일까. 그 원인과 증상, 치료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기로
하자
. 인구 1백명당 41명 꼴감기는 주로 인두부 코 등 상기도점막에 바이러스가 감염돼 나타나는 증상들을 말한다. 감기를 일으킬 수 있는 바이러스의 종류는 무려 2백가지가 넘는다. 성인에게는 리노바이러스 ... ...
무시무시한 괴물들의 잔치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볼 수 없는 지역도 있을 수 있지만 이는 예외다.그럼 이제 본격적으로 목성을 찾아보도록
하자
. 시리우스를 다시 한번 쳐다보고 고개를 휘저으며 이 별보다 더 밝은 별을 찾아보자. 아마도 시리우스보다 밝다고 생각되는 별은 하나밖에 없을 것이다.바로 이 별이 '태양계의 거인'이라 불리는 ... ...
꿩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때문에 야생일 가능성이 크다고 보았다.즉시 꿩사에 긴급전화를 해 사육사에게 확인을
하자
, 어떤 꿩도 탈출하지 않았으며 꿩사에는 탈출할 수 있는 틈이 없다며 오히려 섭섭하다는 말투였다. 그 꿩은 북한산 기슭을 타고 비원숲을 거쳐 창경원으로 날아온 야생장끼였다.포획하려고 출동했던 ... ...
이전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