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경우"(으)로 총 12,899건 검색되었습니다.
- [SF에 묻는다] 매트릭스 vs. 사이코 패스과학동아 l2020년 08호
- 모릅니다. 매트릭스의 인공지능처럼 사람을 모조리 가상현실에 집어넣는 거죠. 이 경우에는 기계와 싸워서 패배한 인간들을 살려 놓기 위해 그렇게 한 것이지만, 그렇지 않더라도 인공지능이라면 그런 선택을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복잡한 세상을 건설할 필요도 없고, 에너지도 더 효율적으로 쓸 ... ...
- [매스미디어] 신비아파트, 고스트볼 더블X 6개의 예언수학동아 l2020년 07호
- 교수가 말한 ‘2100년’은 현 인류가 대체 자원을 찾지 못하고 그대로 문명을 지속할 경우 전 지구적 변화가 일어날 거라 예측되는 시기인 거야. 예측을 막고 미래를 바꾸는 힘거대 기계 오피키언도 여섯 귀신이 세상에 풀려났을 때 인간 세상에 어떤 변화가 일어날지 미리 계산했기에 1년 뒤 ... ...
- [기획] Maker. 게임 밸런스의 핵심은 수학!수학동아 l2020년 07호
- 확률이 높아져. 보통 +6까지는 인챈트가 100% 가능하지만, 그 이상에서 인챈트를 시도할 경우 정해진 확률에 따라 아이템이 증발할 수도 있어. 만약 인챈트 실패 확률이 20%라면, 10번을 시도했을 때 2번은 무기가 사라질 수 있지. 유저에게는 너무 가슴 아픈 일이지만, 개발자는 일정한 확률로 아이템을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제7화 수학자의 슬기로운 취미생활수학동아 l2020년 07호
- 생길 수도 있지요. 그래서 수학자들은 공동연구자와 가볍게 산책하며 의견을 주고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적당한 운동과 야외 활동은 머리를 맑게 해주니까요. 가벼운 조깅이나 수영을 즐기는 것을 넘어서 마라톤이나 철인3종경기 같은 취미를 즐기는 수학자도 있습니다. 수학을 연구하기 위해 ... ...
- 1981년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 20세기 흑사병’에서 만성질환으로과학동아 l2020년 07호
- 감염되더라도 대부분은 특별한 증세를 느끼지 못하고 감염 사실을 모른 채 지나가는 경우가 많다. 8~10년으로 매우 오랜 기간 증상이 없는 잠복기가 이어진다는 게 HIV의 가장 큰 특징이다. 그래서 HIV 감염 사실을 모른 채 남에게 전파할 수 있다는 점이 HIV 입장에서는 생존 전략이지만, 인간에게는 ... ...
- 2016년 지카 바이러스 ┃치사율 ‘제로’에도 공포를 일으킨 바이러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소멸된다. 나머지 감염자들 역시 가벼운 발열이나 발진 증세만 보일 뿐 사망에 이르는 경우는 거의 없다. 2007년까지 확인된 감염 사례도 극히 드물었기 때문에 학계에서는 큰 관심을 두지 않았다.그런데 2015년 사라진 줄로만 알았던 바이러스가 지구 반대편 브라질에서 발견됐다. 2015년 5월 브라질 ... ...
- 바이러스는 생물학 무기가 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제1차, 제2차 세계대전에서도 생물학 무기로 연구된 탄저균은 호흡기에 감염될 경우 사망률이 50~80%에 이르는 치명적인 세균이다.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만드는 비용도 저렴할 뿐만 아니라 흰색 가루 형태로 운반할 수 있어 살포도 쉽다.실제로 미국 육군전염병연구소에서 근무하던 한 연구원이 200 ... ...
- STEP ② 숙주세포 침투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들러붙고 점막세포를 먼저 감염시키기 때문이다. 반면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의 경우 숙주세포의 CD4 수용체에만 특이적으로 결합한다. CD4 수용체는 T림프구 표면에서만 발견되는 단백질이다. 결과적으로 HIV는 도움 T림프구, 대식세포 등 특정 면역세포에만 결합해 면역 시스템을 교란시킨다 ... ...
- STEP ⑤ 바이러스 전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보일 때 백신을 맞으면 발병을 막을 수도 있다. 백신인 동시에 치료제인 셈이다.HIV의 경우 감염된 뒤 2~4주간 가벼운 감기 증상이 나타난 뒤 무증상 잠복기에 들어가는데, 이때부터 바이러스의 증식이 시작된다. 잠복기는 8~10년으로 매우 길다.자신의 유전체를 숙주인 박테리아 (세균)의 DNA 속에 끼워 ... ...
- B림프구...항체 생산하는 면역의 종결자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백신의 기본 원리는 면역세포의 항원-항체 반응을 이용한 것이다. 면역세포는 외부에서 침입한 항원을 인식하고 이에 대응할 항체를 만들어내는 ... 정보를 기억해 장기간 생존하는 기억 B림프구로 분화한다. 동일한 항원이 2차로 침입할 경우 기억 B림프구가 작용해 곧바로 항체를 생산한다 ... ...
이전1351361371381391401411421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