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경우"(으)로 총 12,899건 검색되었습니다.
- STEP ④ 새로운 바이러스 조립과학동아 l2020년 07호
- 가위를 이용해 숙주세포에 다시 붙는 것을 방지 하기도 한다. 인플루엔자바이러스의 경우 바이러스 표면에 부착된 ‘뉴라미데이스 (neuramidase)’라는 단백질 가위를 이용해 숙주세포의 막에 달린 시알산 (sialic acid) 잔기를 잘라내며 밖으로 유유히 탈출한다.물론 숙주세포도 당하고만 있지는 ... ...
- 수지상세포...바이러스 정체 알리는 전령사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더욱 적극적인 신호 전령사가 돼 면역시스템에 항원의 침입을 알린다. 대식세포의 경우 림프계 세포에 신호를 보내 도움을 청하긴 하지만 적이 침입한 현장에서 싸우다 죽을지언정 그곳을 떠나지 않는다. 이와 달리 수지상세포는 항원을 먹어치우는 식세포로 활동하는 동시에, 일부는 항원 조각을 ... ...
- 무조건 막는다, 면역세포의 방어 전략과학동아 l2020년 07호
- 9의 항체를 가진 것으로 확인됐다. 여전히 집단면역 형성 기준에는 역부족이다. 한국의 경우 중앙방역대책본부 주도로 매년 실시되는 국민건강영양조사를 통해 전국에서 7000명, 코로나19가 집중적으로 발생했던 대구·경북 지역에서 별도로 1000명의 혈액을 얻어 집단면역률을 조사할 계획이다. ... ...
- 단백질 백신_B형 간염 백신 Hepatitis B vaccine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부작용 우려가 낮지만, 항원을 정제하는 과정에서 불순물 등이 걸러지지 않는 경우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최근에는 주로 유전공학적 방법으로 단백질 백신을 생산한다. 바이러스가 가지고 있는 유전자 정보를 박테리아나 동물 세포 등에 삽입해 직접 항원을 생산하는 방식이다. 이렇게 개발한 ... ...
- [백신 개발 비하인드] 속도 높이는 코로나19 백신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수시로 돌연변이를 일으키는 코로나바이러스가 큰 도전 과제다. 인플루엔자바이러스의 경우 유행하는 유형을 일부 예측할 수 있는 것과 달리, 코로나바이러스는 같은 바이러스가 반복적으로 나타나지 않고 유행을 예측하기도 불가능하다. 백신 후보물질을 찾았더라도 바이러스 중요 부위에 ... ...
- [수학뉴스] 수학으로 도시가스 사용량 예측한다고?수학동아 l2020년 07호
- 검침기 고장이나 오류 등으로 도시가스 사용량을 잘못 측정한 경우 사용료를 어떻게 내야 할까요? 5월 25일 국가수리과학연구소(이하 수리연)는 과거의 데이터를 이용해 각 세대의 도시가스 사용량을 예측하는 문제에 우수한 해결 방안을 제안한 3팀을 선정해 시상했습니다.수리연은 집단지성을 ... ...
- 대한민국 청소년, 우리는 잠이 필요해!수학동아 l2020년 07호
- 시간의 영향이 컸고 고학년일 때는 TV 및 동영상 시청 시간의 영향이 컸어. 또 성별의 경우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수면 시간이 부족한 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았어. ★ 참고자료유창민 ‘한국 청소년의 수면시간 변화 유형 분류 및 예측요인 확인: 잠재계층성장분석을 적용한 7개년도 종단연구’, ... ...
- [오쌤의 수학공부법] 내게 맞는 수학 문제집은?수학동아 l2020년 07호
- 친구들이 혼자서 문제집을 풀다 보면 자신감만 떨어지고 수학을 완전히 놓아버리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그래서 이런 친구들에게는 교과서를 사전처럼 이용하는 방법을 추천합니다. 수학동아 1월호에서도 잠깐 소개한 적이 있는데요, 현재 배우는 내용이 어렵다면 이전 학년에서 배웠던 내용을 ... ...
- 2016년 지카 바이러스 ┃치사율 ‘제로’에도 공포를 일으킨 바이러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소멸된다. 나머지 감염자들 역시 가벼운 발열이나 발진 증세만 보일 뿐 사망에 이르는 경우는 거의 없다. 2007년까지 확인된 감염 사례도 극히 드물었기 때문에 학계에서는 큰 관심을 두지 않았다.그런데 2015년 사라진 줄로만 알았던 바이러스가 지구 반대편 브라질에서 발견됐다. 2015년 5월 브라질 ... ...
- 바이러스는 생물학 무기가 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제1차, 제2차 세계대전에서도 생물학 무기로 연구된 탄저균은 호흡기에 감염될 경우 사망률이 50~80%에 이르는 치명적인 세균이다.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만드는 비용도 저렴할 뿐만 아니라 흰색 가루 형태로 운반할 수 있어 살포도 쉽다.실제로 미국 육군전염병연구소에서 근무하던 한 연구원이 200 ... ...
이전1371381391401411421431441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