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때
사례
실례
지위
처지
기회
케이스
d라이브러리
"
경우
"(으)로 총 12,899건 검색되었습니다.
찾았다! 정십이면체 표면을 달리는 직선 경로
수학동아
l
2020년 06호
여러 종류의 직선을 그리다 보면 모서리 바깥으로 나가 방향을 바꿔 그려야 하는
경우
가 생겼어. 사면체는 그나마 쉽지만 도형이 복잡해질수록 바깥으로 나간 선이 어디로 연결될지 상상하기 어려웠어! 아래 그림을 보면서 확인해봐. 전개도를 무한히 이어붙인다한 개의 전개도만으로 ... ...
[매스펀랜드] 함께 풀고 싶은 문제
수학동아
l
2020년 06호
...
[주니어 폴리매스] 비주얼드, 애니팡에 맞서는 ‘매치3 게임’을 디자인하라!
수학동아
l
2020년 06호
보통 6~8개입니다. 타일의 종류가 적을수록 매칭이 일어날 확률이 높아지고 그 반대의
경우
에는 매칭이 일어날 확률이 낮아지죠. 이런 게임의 특성을 바탕으로 매치3 게임을 디자인할 때 필요한 필수 요소와 선택 요소를 나눠 정리해봅시다. 여러분은 어떤 ‘매치3’ 게임을 만들고 싶나요? 만들고 ... ...
뇌는 왜 자꾸 먹으라고 명령하나?
과학동아
l
2020년 06호
된다. 그런데 신경성 식욕부진증 환자에서는 그렐린 수치가 비정상적으로 높은 상태인
경우
가 많다. 그래서 학계에서는 ‘그렐린 저항성 가설’이 제기되고 있다. 이와 함께 그렐린의 상승과 연동된 보상회로가 작동되는 것도 이 질환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배고픈 느낌을 지속적으로 ... ...
[팩트체크] 모르고 먹는 미세플라스틱, 몇 개나 되는지 확인해봤습니다
과학동아
l
2020년 06호
걸러내는 그물을 쓰면 미세플라스틱의 양은 급증할 것”이라며 “이
경우
너무 많은 물질이 그물이 걸리면서 그물이 금세 막히는 문제가 생겨 조사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수집하려는 미세플라스틱의 크기에 따라 조사 방법이 다르고 그 결과도 다를 수밖에 없습니다. 결국 아직 ... ...
[과학동아 키즈] 네이처, 사이언스 표지도 제 손에서 탄생했어요
과학동아
l
2020년 06호
재가공하는 것에 민감해 다른 작업보다 제약이 많다.간혹 비유나 은유적으로 표현하는
경우
도 있는데, 이런 기법은 그림을 친근하고 재치 있게 보이도록 하지만 자칫하면 정작 중요한 연구 내용이 묻힐 수 있어 유의해야 한다. 디자이너의 창작품으로는 가치를 인정받아도, 논문 그림이라는 본래 ... ...
[퀀텀닷 완전정복]자체발광이란 이런 것, 돌돌 말고 피부에 붙이는 퀀텀닷
과학동아
l
2020년 06호
하지만 자신의 손발이 괴사하고 있다는 사실을 자각하기 어려워 절단으로 이어지는
경우
가 25%에 이른다. 병원에 가도 정확한 검사를 위해서는 바늘을 꽂아 피를 뽑는 침습형 검진을 받아야 한다.이에 양 교수와 삼성 공동연구팀은 2017년 퀀텀닷을 이용한 광센서를 개발했다. 양 교수는 “퀀텀닷을 ... ...
[독일유학일기] 낙제는 통과의례? 교수와 관계는 걱정 NO~
과학동아
l
2020년 06호
힘들어하다가 첫 학기에 그만두고 학교나 전공을 바꾸는 학생이 주변에 많다. 필자의
경우
도 카를스루에공대에 입학한 후 1학기 때 경제수학과 오리엔테이션에서 마음이 잘 맞는 친구 7명과 그룹을 만들었는데, 이 중 필자를 포함한 3명만 경제수학과에 남아서 학업을 이어나가고 있다. 2명은 ... ...
세계경제포럼에서 한판 붙다! 트럼프 VS. 툰베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5호
땐 줄기도 해요. 그래서 탄소 배출량은 나라의 경제 성장률과 비슷한 흐름을 갖는
경우
가 많답니다. 환경보전과 경제발전은 오랜 시간 충돌해온 문제예요. 전문가들은 이 둘의 대립을 끝내기 위해선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현재의 경제 구조에서 재생 에너지를 이용해 탄소 배출과 오염물질을 ... ...
[만화뉴스] 짠 음식 당기는 이유는 세로토닌 때문?!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5호
건강한 사람은 신장이 나트륨 이온을 어느 정도 걸러주지만, 신장의 기능에 이상이 있을
경우
엔 심각한 질병으로 이어질 수 있어요. 카이스트 손종우 교수팀은 쥐 실험을 통해 소금 섭취를 억제할 수 있는 신경회로를 발견했다고 지난 11일 밝혔어요. 뇌줄기 속 세로토닌 반응 신경세포가 ... ...
이전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