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항력
능란
면역질
특권
적응
d라이브러리
"
면역
"(으)로 총 1,129건 검색되었습니다.
긁적긁적~! 가려움 극복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7
분비되지요. 우리 몸은 나쁜 세균이나 물질이 들어오면 백혈구가 나와 이를 없애 주는
면역
체계를 갖추고 있어요. 이때 히스타민이 혈관을 확장시켜 백혈구가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해요.그런데 이 과정에서 히스타민이 표피층에 있는 신경인 ‘자유신경종말’과 만나게 돼요. 개구리 ... ...
아플 때 입맛 없는 이유
과학동아
l
201506
논문을 ‘뇌·행동·
면역
’ 4월 21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쥐 실험을 통해
면역
세포 중 감염을 막는 조절 단백질인 종양괴사인자(TNF) 유전자가 없는 쥐와 있는 쥐의 ‘입맛’을 비교했다. 그 결과 TNF를 만들어낼 수 있는 정상 쥐가 쓴맛에 훨씬 더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프면 감염을 막기 위해 ... ...
전염병 예측하는 소프트웨어
과학동아
l
201506
종류도 다양해졌다. 예를 들어 홍역이나 볼거리, 풍진처럼 어릴 때 한 번 앓으면 영원히
면역
력을 얻을 수 있는 질병과, 계절마다 변이가 일어나는 인플루엔자는 다르다. 인플루엔자 확산을 예측하는 소프트웨어로는 플루트(FluTE)가 대표적이다. 플루트에는 미국의 지역별 인구정보(인구밀도, ... ...
축복인가 재앙인가 유전자 가위 크리스퍼
과학동아
l
201506
독일 하노버대 엠마뉴엘 카펜디어 교수가 이 끄는 공동연구팀이다. 이들은 크리스퍼 적응
면역
에 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Cas9' 단백질을 세균에서 찾 아냈다고 '사이언스'에 2012년 발표했다. 연구팀은 세균에 기억된 파지 DNA(21개 염기)가 RNA로 전사되 고, 이 RNA와 Cas9이 결합해 외부에서 침투한 파지 의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하다] 무선전력전송, 피 안 뽑는 혈당측정기 만든다
과학동아
l
201505
안 된다. 이보다 많은 전자파가 특정 부위에 흡수되면 온도가 1℃ 넘게 오른다. 이 경우
면역
계가 그 부위를 이물질로 인식해 공격을 시작한다. “저희 연구팀도 전자파 인체흡수율을 통제하는 게 큰 숙제였습니다. 작년에 캡슐형 내시경을 사람 몸 안에 넣고 무선전력전송할 때는 열화상카메라로 한 ... ...
Part2. 거짓말 잘하는 사람이 살아남았다
과학동아
l
201504
다른 물고기의 살점을 뜯어먹는다. 눈에 보이지도 않는 바이러스나 박테리아조차 숙주의
면역
체계를 속이는 기만작전을 펼칠 수 있다.물론 속임수라고 다 같은 속임수는 아니다. 급이 다른 속임수가 여럿 있다. 미국 클라크대 심리학과 로버트 미첼 교수는 자연에 존재하는 속임수를 네 단계로 ... ...
낮은 기온에서 더 활발한 감기 바이러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3
건 그동안 알려져 있지 않았던 사실이에요. 연구팀은 왜 이런 일이 일어나는지 온도와
면역
반응의 관계를 더 연구할 계획이라고 밝혔답니다.특히 이번 연구 결과는 다른 곳보다 온도가 낮은 코나 입을 통해 감기 바이러스가 잘 침입할 수 있다는 걸 뜻해요. 따라서 마스크를 써서 얼굴 부위의 체온을 ... ...
PART2. 생명을 살리는 바이오 프린터
과학동아
l
201503
줄기세포를 직접 주사하는 방식은 전쟁터에 총과 식량 없이 병사를 떨어뜨리는 셈이다.
면역
세포의 공격으로 절반이 죽고 손상된 장기까지 가는 동안 또 상당수가 죽는다. 심 교수는 “줄기세포를 스캐폴드 안에 넣어 이식했을 때 치료 확률이 월등히 높다는 걸 실험으로 확인했다”며 “최종 ... ...
[Life & Tech] 식중독 바이러스가
면역
력 높인다?
과학동아
l
201503
수 있다.이처럼 바이러스가 숙주에게 도움을 주는 상태는 바이러스의 증식과 숙주의
면역
반응이 적정 수준을 매우 섬세하게 유지하는 경우다. 정 교수는 “그러나 바이러스가 숙주에게 좋은 영향을 주겠다는 의도를 가지고 행동하는 건 아니다”라며 “서로 협상하고 진화하다 보니 결과적으로 ... ...
PART1. 에볼라 최전선으로 떠나는 한국 전사들 “두렵다. 그래도 간다”
과학동아
l
201501
김 백 박사는 사실 에이즈 바이러스(HIV) 최고 전문가다. 미국 로체스터대에서 미생물학과
면역
학 교수로 일했던 2년 전에는 인간의 항바이러스 단백질이 에이즈를 억제하는 메커니즘을 밝혀 과학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하기도 했다.김 박사는 지난 9월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서 신약 개발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