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면역"(으)로 총 1,129건 검색되었습니다.
- [hot science] 콘돔, 부끄럽지 않아요!과학동아 l201412
-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묻기 위해서였다. 마이크로소프트 창업자 빌 게이츠가 후천성면역결핍증후군(에이즈·AIDS) 예방 등을 위해 추진 중인 차세대 초박형콘돔 개발 사업이 성과를 내고 있다고 올해 9월 18일 밝혔다. 착용감이 거의 없는 콘돔을 이용해 원치 않는 임신이나, 에이즈처럼 성적 접촉을 ... ...
- [과학뉴스] 넌 다행히 피는 안 보고 혈장만 봤다~과학동아 l201412
- 가운데가 움푹 파인 모양의 적혈구를 현미경 사진으로 본 기억이 있을 겁니다. 백혈구는 면역체계를 구성하는 세포로, 외부에서 들어오는 물질을 방어합니다. 백혈병이 바로 이 백혈구가 이상이 생겨서 나타나는 병이지요. 혈소판은 혈관 밖으로 혈액이 흘러나갈 때 지혈하는 역할을 합니다. ... ...
- 내 몸은 탈수 중 물 마시기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1411
- 모인 음이온들을 모아서 만든 물이다. 우리 몸은 pH7.4로 약 알칼리성을 띄고 있다. 면역력이 약해지거나 세포가 노화되면 점점 산성화되기 때문에 알칼리수를 마시면 산성화된 혈액을 중화시켜 줄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톡 쏘는 매력의 탄산수탄산수는 천연탄산수와 인위적으로 이산화탄소를 ... ...
- [life & tech] 당신의 발열공포가 아이를 괴롭힌다과학동아 l201411
- 때문에 41℃를 넘기는 경우가 드물다. 물론 36개월 미만의 영유아는 얘기가 다르다. 면역기능이 미숙하기 때문에 발열 초기라도 심각한 병으로 이어질 수 있다. 만약 3개월 미만의 아이가 38℃ 이상인 경우라면 반드시 병원 진찰을 받아야 한다. ‘발열공포’가 아이를 괴롭힌다문제는 대부분의 ... ...
- [과학뉴스] ‘글루텐 프리’만으로는 부족하다과학동아 l201410
- 국수를 먹을 수 있지만, 한편으로는 각종 질병의 원인으로 의심받고 있다. 소장에서 면역반응으로 염증이 발생하는 셀리악병이 대표적 예다. 이 병은 글루텐이 소장 벽에 달라붙어 소화를 방해해서 생기기 때문에, 환자들은 그 동안 글루텐 섭취를 금지하는 ‘글루텐 프리’ 식단을 따랐다. 하지만 ... ...
- 스킨십하면 행복 호르몬 퐁퐁어린이과학동아 l201410
- 사실을 발견했어요. 스트레스를 받을 때 분비되는 호르몬인 코르티솔은 성장호르몬과 면역 기능을 돕는 호르몬 분비를 억제해요. 스킨십을 하면 증가하는 옥시토신은 사랑의 감정을 느끼게 만들지요. 또한 세로토닌과 도파민은 행복한 감정을 느끼게 하는 화학물질이에요. 스킨십을 하기만 해도 ... ...
- BRIDGE. 에볼라가 보내 온 편지과학동아 l201409
- 많이 가지고 있으면서도 어떻게 안전한 걸까. 오랜 세월 동안 바이러스와 같이 살면서 면역력을 높였기 때문으로 보인다. 미국 콜로라도주립대 수의학과 찰스 캘리셔와 공동연구진은 과일박쥐가 신생대 에오세 초기(약 5200만 년 전)부터 여러 바이러스와 공생했을 것으로 추정했다. 연구진은 2006년 ... ...
- PART2. 한국은 에볼라 무방비 국가과학동아 l201409
-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몇 가지 검사를 더 한다. 간접면역형광항체법(IFA), 효소면역분석법(ELISA), 바이러스 분리배양 등이 있다. 여러 번 검사하다보면 점점 100%에 가까워진다. 이런 과정을 거쳐 ‘확진’을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이것이 불가능하다. RT-PCR 장치밖에 쓸 수 없기 때문이다. 확진을 ... ...
- INTRO. 에볼라의 모든 것과학동아 l201409
- 근육통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가장 치명적인 증상은 내부의 출혈이다. 우리 몸의 면역을 담당하는 대식세포는 에볼라 바이러스를 잡아먹는 과정에서 혈액을 응고시키고 혈관에 손상을 줄 수 있는 이산화질소를 분비한다.● 실제 가장 많은 사망자가 과다출혈로 인한 저혈압 및 쇼크사로 ... ...
- PART3. 인간에겐 아직 두 개의 무기가 남아 있습니다과학동아 l201409
- 있다. 에볼라나 천연두처럼 치사율이 높은 바이러스를 다룰 때, 자칫 잘못해서 환자의 면역계가 백신을 이겨내지 못하면 끔찍한 사태를 불러올 수 있다. 효율도 높으면서 독성을 완전히 제거한 백신은 없을까. 이런 고민 끝에 나온 백신이 본문에 언급된 유전자재조합백신(바이러스형, DNA형)이다. 199 ... ...
이전111213141516171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