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구분"(으)로 총 3,361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 궁금증 해결! 출동, 슈퍼M] 콘센트 모양은 왜 나라마다 다른가요?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5호
- 국제전기기술위원회는 나라별로 다른 콘센트 모양을 A형부터 O형까지 15가지 종류로 구분해요. 이중 우리나라는 C형과 F형을 사용하고 있어요. C형과 F형 모두 큰 원 안에 작은 원 2개가 있어요. 2개의 작은 구멍에는 플러그가 들어가지요. 콘센트의 두 구멍 사이의 간격은 약 19mm이고 구멍 하나의 ... ...
- [가상 인터뷰] 어린이와 어른은 시간을 다르게 경험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5호
- 세멜바이스대학교 연구팀은 138명의 참가자들을 4~5세, 9~10세, 18세 이상의 세 연령대로 구분했어요. 그리고 참가자들에게 같은 길이의 두 애니메이션 영상을 보여준 후 어느 영상이 더 길게 느껴지는지 물었지요. 한 영상은 경찰이 도둑을 체포하는 등 다채로운 내용이 담긴 긴박한 분위기의 ... ...
- [이세인의 '미지의 유인원] 호기심에는 나이도, 종도 없다과학동아 l2023년 05호
- 표현을 구분할 수 있고, 7개월부터는 각각의 감정에 관련된 표정과 목소리 톤을 연결해서 구분할 수 있다. 태어난 지 12개월이 되면 각각의 감정과 관련된 행동에서 유용한 정보를 얻기까지 한다. 실제로 2019년 미국 스탠퍼드대 연구팀의 실험에 따르면 생후 12~18개월의 영유아는 성인이 표정 ... ...
- [영화 속 SF]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Volume 3’ 영화 속 개조생명체들은 실존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3년 05호
- 받을 때와 그렇지 않을 때의 소리를 비교 분석했을 때 약 98%의 정확도로 식물의 소리를 구분해낼 수 있었습니다. 물론 식물이 내는 소리는 우리가 들을 수 없는 초음파 영역이었지만, 연구팀이 이를 우리가 들을 수 있는 가청주파수대로 변형하자 마치 포장용 ‘버블랩(뽁뽁이)’이 터지는 것과 ... ...
- 생명의 블록, 어떻게 맞춰졌을까과학동아 l2023년 05호
- 염기성 열수분출공에서 올라온 염기성 물질들이 상대적으로 산성인 굴뚝 바깥과 구분되는 환경을 만들고, 이 차이로 인해 현재 세포 내부에서 일어나는 것과 비슷한 대사 활동이 일어날 수 있었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doi: 10.1089/ast.2015.1406 염기성 열수분출공 가설은 생명의 기원을 찾는 지금까지 ... ...
- ‘기적의 다이어트약’ 출시, 이번엔 진짜 기적 맞아?과학동아 l2023년 05호
- 베이지색 지방으로 나뉩니다. 미토콘드리아가 많을수록 갈색을 띠기 때문에 색으로 구분해 부르죠. 지방조직에서 갈색 지방의 비율이 높을수록 에너지를 더 많이 소비합니다. 지방세포 리모델링은 갈색 지방의 비율을 높여 에너지를 많이 소비하는 체질로 바꿔주는 과정입니다. 똑같이 먹어도 ... ...
- [DGIST@융복합파트너] 민들레와 얼룩말을 본딴 미래전자소자연구실과학동아 l2023년 05호
- 복제 방지 기술 얼룩말은 각기 다른 무늬 패턴을 갖는다. 패턴의 불규칙성은 얼룩말을 구분하는 데 사용된다. 인간이 신원을 확인하는 데 지문을 사용하는 것과 같다. 김 교수는 박사학위 과정을 마무리하던 2012년, 한 동물 다큐멘터리를 보고 이 사실을 처음 알게 됐다. 그로부터 11년 뒤 현재 김 ... ...
- '갓생'에 대해서 뇌과학이 알려줄 수 있는 것과학동아 l2023년 05호
- 추구하게 되는 거죠. 그게 바로 도파민으로 인한 중독입니다.김주현 선임연구원: 먼저 구분을 해야 하는 건 우리가 도파민 중독을 질환의 차원에서 다룰지, 혹은 웰빙(well-being·잘 사는 것)의 차원에서 다룰지 입니다. 두가지는 꽤 거리가 있죠. 반드시 치료해야 하는 것과, “가능한 안 했으면 ... ...
- [버섯요정의 기묘한 모험] 곤충을 좀비로 만든다?! 기생균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4호
- 그러나 백강균의 하얀 곰팡이 같은 모습과는 다르게, 동충하초는 눈으로 확실히 구분되는 버섯 몸체를 형성합니다. 또 다른 차이점은, 동충하초는 오로지 한 종만 특정해서 감염시킬 수 있는 ‘기주특이성’을 나타내요. 저에게는 곤충들의 모습이 비슷하기만 한데, 버섯은 이렇게나 잘 구별하다니. ... ...
- [특집] 가짜 과학 믿는 사람, 설득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치료가 필요한 사람임을 관찰했다. 그들의 관점에서 황 교수의 말은 진실과 거짓으로 구분되는 언명이 아니라 언젠가 이뤄져야 할 믿음의 대상이었다. 이런 관찰들은 과학 부정론자들의 믿음과 그들의 정체성이 연결돼 있고, 따라서 그들을 설득하기가 매우 힘들다는 결론으로 이어진다. 그렇다면 ... ...
이전910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