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구분"(으)로 총 3,361건 검색되었습니다.
- [SF영화로운 덕후생활] AI 전투용병 ‘정이’ 현실 가능한 기술은?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인간과 AI를 구분하는 실험입니다. 영화의 배경인 22세기에는 지금보다 더 AI와 인간을 구분하기가 힙듭니다. 외적으로 같은 건 물론이고, 지능이나 감정까지 거의 유사하기 때문이죠. 영화 속 윤리테스트는 현실의 튜링테스트를 떠올립니다. 튜링테스트는 1950년 영국의 수학자 앨런 튜링이 제시한 ... ...
- [특집] 인공지능과 함께 살다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어떤 단어와 함께 언급됐는지 통계를 낸다. 함께 언급된 단어를 긍정, 중립, 부정 단어로 구분해 분석하면 AI가 어떤 맥락에서 언급됐는지 파악할 수 있다. (인스타그램, 블로그, 뉴스, 트위터의 소셜 데이터를 분석했으며, 리트윗된 트윗도 포함했다. 인스타그램에 같은 광고성 게시글 하나가 여러 개 ... ...
- [이달의 과학뉴스] 32만 년 전 곰 코트 만들어 입었다과학동아 l2023년 02호
- 32만 년 전 죽은 곰의 뼈에서 가죽을 도려내다 생긴 칼자국이 발견됐다. 고대 인류는 곰의 가죽으로 옷을 해 입거나 침구류를 만들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연구결 ... 때가 차이가 있습니다. 후대에는 이걸 보고 우리가 곰 고기를 얻은 것인지 곰 가죽을 얻은 것인지 구분할 수도 있겠죠 ... ...
- [특집] GPT-4의 4가지 가능성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대답을 내놓는지가 이 테스트의 핵심이다. GPT-3도 뛰어난 품질로 사람과 기계를 구분할 수 없는 대답을 내놓을 수 있음에도 GPT-4에 관심이 커지는 것은 질문의 층위를 높여 튜링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일상생활에서 나누는 대화 뿐만 아니라 사실관계를 따지는 전문적인 대화, ... ...
- [가상 인터뷰] 우주에서 태양광 발전을! 솔라리스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우주에서 태양광 발전을 하면 태양에너지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낮과 밤 구분 없이 전기를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요. 솔라리스 위성 한 기로 만들 수 있는 전기는 100만 가구 이상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양입니다. 같은 양을 지상의 태양광 패널로 만들려면 6백만 개 이상이 ... ...
- [헷갈린 과학] 두 눈이 오른쪽? 왼쪽? 가자미VS넙치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더 가깝습니다. 좌광우도? 예외도 있다!비슷하게 생긴 넙치와 가자미를 구분하기 위해 사람들이 가장 즐겨 쓰는 방법은 바로 ‘좌광우도’입니다. 광어(넙치)는 왼쪽으로 눈이 쏠렸고, 도다리(가자미)는 오른쪽으로 눈이 쏠렸다는 뜻이죠. 하지만 그중에는 예외도 있어요. 가자미과 ... ...
- 의류학자는 왜 기상 정보에 관심을 가질까?수학동아 l2023년 01호
- 외투 출시 시기, 체감온도가 중요하다! 오 교수 연구팀은 우리나라처럼 사계절에 구분이 있는 미국 뉴욕의 2008년부터 2019년까지 11년간의 ‘구글 트렌드’와 기상 정보를 활용해 다양한 기상 요인 중 어떤 요인이 겨울 외투 수요에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지 분석한 결과를 2022년 7월 발표했어요. ... ...
- [기획] 나노 세계에 0차원이 있다과학동아 l2023년 01호
- 개수입니다. 공학은 이를 차용해 물질의 모양의 기하학적 특성을 점과 선, 면, 입체로 구분해 차원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나노 세계에서 처음 차원을 나눈 것은 1994년 리처드 시겔 미국 렌슬래르폴리테크닉대 재료공학부 석좌교수였습니다. 그런데 당시 정의는 지금과 다릅니다. 시겔 교수는 ... ...
- [5년 후, 과학은]빛과 소리로 몸속을 샅샅이, 광음향 의료영상기술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볼 수 있는 유일한 기술이기 때문입니다. 인간은 생체조직의 모양과 색을 시각적으로 구분해 질병을 진단합니다. 하지만 심부에 위치한 생체조직은 빛을 산란시켜 강한 빛을 쪼여도 고해상도로 보기가 어렵습니다. 이런 상황은 마치 안개 낀 길에서 운전하는 것과 유사합니다. 안개가 없으면 ... ...
- [기획] 결함에 0차원이 있다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됩니다. 우리가 기존에 사용하는 메모리는 메모리 소자의 저항 크기를 통해 0과 1을 구분해 두 개의 상태만 있죠. 그런데 이번 연구처럼 각각이 다른 유전율을 가지는 상태를 안정적으로 만들 수 있다면, 하나의 소자에 정보값을 3개 저장할 수 있게 됩니다. 0과 1 그리고 2까지요. 지금까지와는 전혀 ... ...
이전1213141516171819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