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구분"(으)로 총 3,361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UFO? 아닙니다. 과학 임무 중인 풍선입니다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위해서다. 지구 대기권은 낮은 높이부터 차례로 대류권, 성층권, 중간권, 열권으로 구분된다. 대류권은 지상으로부터 평균 10~12km까지인데 공기가 불안정하다. 지상에서부터 대류권계면까지는 고도가 높을수록 온도가 낮아지기 때문이다. 지면 근처의 따뜻한 공기가 상승함에 따라 공기 중의 ... ...
- [가상 인터뷰] 지구 내핵 회전 멈췄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지구의 중심 ‘내핵’이라고 해. 지구 내부는 지표에서부터 지각과 맨틀, 외핵, 내핵으로 구분돼. 고체인 내핵과 액체인 외핵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지. 지구 자기장이 지구의 자전으로 하루에 약 0.2씩 이동하는데, 이동하는 자기장이 액체인 외핵을 같은 방향으로 밀어내고 여기에 반동을 받은 ... ...
- [고고학] 유럽서 5만 4000년 전 화살촉 발견 사냥기술 발전 시점 당겨져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추정되며 약 8만 년 전 유물도 발굴됐다. 고고학자들은 구역별 특색에 따라 12개 층으로 구분했다. 연구팀은 약 5만 4000년 전 호모 사피엔스가 머무른 것으로 보이는 E층에서 끝이 뾰족한 돌을 다수 발굴했다. 뾰족한 끝은 대칭형으로 깎여 있어 창이나 화살의 말단에 부착하는 촉으로 보였다 ... ...
- [특집] 이것들도 과학이라 부를 수 있을까? 모아봤다, 가짜들과학동아 l2023년 04호
- 부산대 교양교육원 교수는 저서 ‘언던 사이언스’에서 과학과 비과학의 이분법적 구분보다는 사회적, 정치적인 이유로 인정받는 과학이 무엇인지, 또 그 맥락은 무엇인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특집] 이것들도 과학이라 부를 수 있을까? 모아봤다, ... ...
- [특집] 가짜 과학 믿는 사람, 설득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치료가 필요한 사람임을 관찰했다. 그들의 관점에서 황 교수의 말은 진실과 거짓으로 구분되는 언명이 아니라 언젠가 이뤄져야 할 믿음의 대상이었다. 이런 관찰들은 과학 부정론자들의 믿음과 그들의 정체성이 연결돼 있고, 따라서 그들을 설득하기가 매우 힘들다는 결론으로 이어진다. 그렇다면 ... ...
- 사람 같은 생성형 AI는 언제? MIT-IBM 왓슨 AI 연구소에 묻다과학동아 l2023년 04호
- “2050년 이후에나 가능할 것”이라고 그는 예상했다. 그는 AI의 진화 단계를 3단계로 구분했다. 단일 분야에서 인간을 초월하는 정확성과 속도를 가진 ‘좁은(Narrow) AI’, 신뢰할 수 있고 보안성과 윤리성을 갖춘 ‘넓은(Broad) AI’, 마지막으로 사람처럼 추론 능력에 자율성까지 갖추고 여러 분야에서 ... ...
- 서울대 표본실 곰팡이 습격 사건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채취했다. 표본실에서 발견한 곰팡이는 결론적으로 26종이었다. 곰팡이는 눈으로 구분하기 어렵다. 보통 DNA 감식을 통해 동정(정확한 종이 무엇인지 밝히는 과정)한다. 한 곰팡이가 여러 군데서 자랄 수 있다. 반대로 한 곳에 여러 곰팡이가 섞여 자랄 수도 있다. 그래서 여기저기서 채취한 곰팡이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모낭 / 종자식물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종자식물은 씨앗을 감싸는 씨방이 있느냐에 따라 속씨식물과 겉씨식물로 다시 구분할 수 있어요. 속씨 식물은 꽃이 피는 식물인데, 꽃안에 생식기관인 수술과 암술이 있어요. 수술에서 만든 꽃가루가 암술에 붙은 뒤 관을 통해 암술 아래에 있는 알세포와 만나면 수정이 일어납니다. 수정을 통해 ... ...
- [이달의 뉴스] 한국 4족 보행로봇 모래사장에서도 빠른 뜀박질과학동아 l2023년 03호
- 로봇이 구동 현장에서 발을 디뎠을 때 얻은 데이터로 현재의 지반이 어떤 환경인지 구분하고 그에 가장 적합한 움직임을 선택하게 한 것이다. 로봇이 지반으로부터 받는 힘의 방향과 정도를 예측하는 데는 ‘입상 원뿔 모델’과 ‘쿨롱 마찰 모델’이 쓰였다. 입상 원뿔 모델은 수직방향의 접촉 ... ...
- [특집] 중이온 가속기, 1년 만에 터진 라온의 첫 축포과학동아 l2023년 03호
- 뒤 충돌시키는 것이다. 가속하는 입자에 따라 중이온, 전자(방사광), 양성자 등으로 구분한다. 그 중 중이온가속기를 이용하면 무거운 이온을 쪼개거나 붙일 수 있다. 이렇게 만든 새로운 입자들은 물질의 본질을 이해하고 우주의 비밀을 밝히는 연구부터 암을 치료하는 연구까지 다양하게 활용된다 ... ...
이전101112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