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효"(으)로 총 470건 검색되었습니다.
- 달콤한 유리창 품은 바삭한 쿠키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7호
- 빵을 만들 때에는 이스트(효모)를 넣어 반죽을 천천히 크게 부풀려요. 이스트는 반죽을 발효시키고 이산화탄소를 내보내 원래보다 3배나 부풀리지요.쿠키는 반죽을 조금만 부풀려야 해요. 박력분에는 반죽을 단단하게 만드는 글루텐 단백질이 적게 들어 있어서 많이 부풀면 애써 만들어 놓은 쿠키 ... ...
- 장금이는 왜 짚신나물을 빻아 연생이 다리에 붙였을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원추리를 발효식품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는 논문이 실렸습니다. 연구 결과, 원추리를 발효시키면 필수아미노산이 증가 하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곧 원추리 식초, 원추리 요 구르트 등을 만날 수도 있겠네요.단 하루의 아름다움여름이 시작될 무렵이면 원추리는 늘씬한 잎사귀를 죽 뻗고 붉은 빛이 ... ...
- 세월호 참사, 무게중심 흔들어버린 人災과학동아 l2014년 05호
- 2006년부터 2010년까지 일어난 어선 전복사고 30건을 분석한 결과, 풍속이 풍랑주의보가 발효되기 이전인 초속 14m 미만으로 불 때 전체 전복사고의 3분의 2인 20건(67%)이 발생했다. 그 중 11건(37%)은 세월호가 전복됐을 때처럼 파고가 1m 미만으로 아주 잠잠한 상태에서 사고가 났다. 파도가 거세게 치면 ... ...
- PART 3. 인간의 역사를 바꾼 꽃의 유혹과학동아 l2014년 04호
- 건조 과정을 거쳐 ‘맥아’로 만드는 원리를 인간에게 일깨워줬다. 맥아는 효모로 발효된 뒤 술통으로 옮겨져 맥주로 다시 태어났다. 역사적으로 깨끗한 물이 공급되기 전에는 알코올 함량이 적은 맥주가 오염된 우물물보다 더 안전한 음료였다.벼와 밀, 보리 외에도 호박은 9000년 전 멕시코 ... ...
- PART1. 백악기 마지막 날과학동아 l2014년 03호
- 낀 건가 잠시 생각했지만, 이내 우리가 깔고 앉은 둥지의 구과식물 잎 뭉치가 조금씩 발효하면서 내는 열기라는 사실을 깨닫는다. 우리는 모래를 파서 만든 오목한 둥지에 식물 잎을 모아 놓고, 그 위에 알을 낳고 키운다. 우리는 식물이 스스로 열을 내며 알을 따뜻하게 지켜 준다는 사실을 안다.둥지 ... ...
- 박테리아 VS 바이러스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3호
- 속에는 보통 400종의 박테리아가 살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어요. 된장이나 김치 같은 발효식품을 만들어 주는 것도 박테리아랍니다. + 약이 있는 박테리아, 약이 없는 바이러스?박테리아는 상처에 염증을 일으키는 경우가 많아요. 바이러스는 감기나 독감, 에이즈 같은 병에 걸리게 하지요. 그런데 ... ...
- BRIDGE 전쟁, 학문을 낳다과학동아 l2014년 02호
- 유대계 화학자 카임 와이즈만도 무연화약 제조에 필요한 아세톤을 대량생산 할 수 있는 발효공정을 완성했다. 과학 연구가 개별 신병기를 뛰어넘어 국가의 전쟁수행능력을 직접 늘려 버린 것이다. 2차 세계대전으로 과학 연구와 전쟁은 새로운 시대로 접어든다. 원자폭탄을 제작한 ‘맨해튼 ... ...
- 보글보글 거품의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2호
- 만든 거품이랍니다. 식빵이나 베이글 같이 촘촘한 빵은 밀가루 반죽에 효모를 넣어 발효시켜서 만들어요. 이때 발생한 이산화탄소가 작은 거품을 만들지요. 밀가루에 들어 있는 글루텐 단백질이 거품벽을 짓기 때문에 거품이 단단하답니다.그런데 카스텔라나 케이크를 만들 때에는 효모를 넣지 ... ...
- PART1 김치를 만들고 나누는 문화 김장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음식이 아닌 ‘김치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높이 평가했다는 의미다. 2년을 발효시켜 만드는 젓갈, 수 년을 묵혀 간수를 제거해 쓴 맛을 줄이는 소금, 1년을 정성들여 기른 뒤 햇볕에 말려 곱게 빻는 고춧가루 등 김치를 담그기 위해서는 수많은 사람의 노력이 필요하다. 온가족이 1년을 먹을 김치를 ... ...
- PART2 물 건너 온 한국 음식 김치과학동아 l2013년 12호
- 빠르게 발효가 진행되다가 이 시기부터 비교적 느린 속도로 발효가 진행된다. 초기에 발효가 빠른 것은 소금에 절여 다른 미생물이 사라진 배추의 빈 자리를 유산균이 채우기 때문이다. 김치를 담근 뒤 하루를 실온에 묵히곤 하는데, 이 행위가 유산균이 자리를 잡도록 도와주는 셈이다.김치냉장고는 ... ...
이전910111213141516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