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송장
시체
주검
사체
유골
죽엄
땔나무
d라이브러리
"
시신
"(으)로 총 165건 검색되었습니다.
거대한 도시 실험실 에든버러 사이언스 페스티벌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어린이에게 과학적 마인드를 고취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돌리의
시신
은 영구 전시를 위해 특수 보존처리를 통해 미라 형태로 만들어져 전시됐다. 돌리는 과학축제 기간 내내 로열박물관에 전시되며, 오는 7월 글래스고 남쪽 이스트 킬브라이드 소재 스코틀랜드 생활박물관으로 ... ...
살해 시기와 장소 밝혀내는 동위원소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부패한 정도를 분석하는 방법 등을 이용해 희생자가 사망한 날짜를 밝혀왔다. 그러나
시신
이 부패하는 속도는 기후 조건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때문에 정확한 예측이 불가능할 수 있다.전문가들은 블랙 박사의 방법이 미궁에 빠진 살인사건을 해결할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 ...
박테리아가 말하는 익사체의 비밀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더 낮을 수도 있다).체온 하강이나 시체 경직, 시반 등 초기 시체현상이 일어나고 나면,
시신
이 눈에 띄게 부풀어오르는 현상이 벌어진다. 생명활동이 정지되면서 개체가 갖고 있던 방어기전도 동시에 소멸돼 대장 내에 정상적으로 존재하던 미생물과 외부세균이 증식하는 이른바 ‘부패 현상’이 ... ...
김정호의 옥사 이야기는 일제의 조작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허준’을 수놓은 소재들이다. 하지만 놀랍게도 이 모두가 역사적 사실이 아니다. 스승의
시신
을 해부했다는 이야기는 소설가가 지어낸 것이고 유의태는 허준 사후에 민간에 떠돌던 야담에서 끄집어낸 인물이다. 과거급제는 양천 허씨 족보에 나와 있지만, 허준의 실제 활동을 적고 있는 유희춘의 ... ...
키스할 때나 누드일 때나 조각상은 우파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음낭의 비대칭성’이었습니다. 과연 어느 쪽으로 기울었을까요.1960년 창이라는 과학자는
시신
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오른쪽 음낭이 왼쪽보다 위에 있고 크기나 부피도 더 크다는 사실을 밝혀낸 바 있습니다.반면 1764년 빙켈만이라는 고고학자는 ‘고대 미술의 역사’란 책에서 “(조각상의) ... ...
공항 검색대 X선이 찾아낸 독극물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킁킁 냄새를 맡아본 다음, 피해자가 독극물에 의해 살해됐음을 단번에 알아맞춘다. 그는
시신
의 입에서 약간 시큼한 냄새가 나는 것으로 독살의 가능성을 감지한 것이다. 실제로 나중에 잡힌 범인은 남아메리카에서 쓰이는 화살 독에서 추출해낸 알칼로이드를 이용해 독극물을 만들었다고 자백했다 ... ...
미국의 이라크 전에 대한 각국의 지지도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원반이라고 한다발삼이란 천연수지 중 하나로 생물 방부제로 사용된다 발삼향액이란
시신
을 보관하는데 사용된 특수한 용액을 말하는데, 물과 알코올, 글리세린, 아세트산 칼륨 등의 혼합물로 추정된다농도가 서로 다른 용액이 액체만 통과할 수 있는 반투막을 사이에 두고 있는 경우 생기는 압력 ... ...
과학 속의 십이지 띠 동물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수 없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 하비는 이를 입증하기 위해 여러가지 동물과 사람의
시신
을 해부해 심장과 혈관 구조를 살폈다. 특히 뱀의 대동맥을 묶으면 심장에 피가 모이게 되지만 대정맥을 묶으면 심장이 비어버리는 현상을 관찰했다. 이 현상은 혈액이 순환된다는 결정적인 증거가 됐다. 하비의 ... ...
개구리소년 미스터리의 실체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 법의학 수사서적의 첫장에 나오는 말이다. 사람이 죽을 때 자신이 죽게 된 사연을
시신
의 어딘가에 그 흔적을 남겨둔다는 의미다. 현재 국립과학수사연구소와 법의학팀은 개구리소년들의 죽음이 타살인지 사고사인지 여부를 밝히기 위해 유골 하나하나에 대한 검사와 소견을 모으고 있다.하지만 ... ...
천마도 캔버스는 수입품 아니다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깨끗하고 고르다. 추운 지방의 서민들은 나무를 쪼개어 지붕을 이었으며, 껍질로
시신
을 싸서 매장했다. 또한 자작나무 수액(樹液)은 위장병을 비롯한 잔병을 낫게 하고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다고 예로부터 널리 이용됐다.오늘날 우리는 천마도를 ‘자작나무 껍질 위에 그린 그림’이라고 알고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