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송장
시체
주검
사체
유골
죽엄
땔나무
d라이브러리
"
시신
"(으)로 총 165건 검색되었습니다.
김대건 신부 생전 얼굴 복원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가능한 표지점 20-30군데를 정해 두께를 측정한다. 방법으로는 다음의 세가지가 있다.
시신
의 얼굴에 눈금이 달린 바늘을 직접 삽입해 검침하는 방법, 초음파를 이용해 간접적으로 계측하는 방법, 자기공명장치(MRI)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이 중 한국인 얼굴자료는 직접계측과 초음파를 이용한 방법을 ... ...
영원을 갈구하는 현대판 미라의 신비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알루미늄 통속에 옮겨놓은 후 해동될 시기를 기다리는 것이다.한마디로 냉동인간이란
시신
이 생체시간을 멈추고 세포가 노화되지 않은 채로 보존하는 것이다. 그러나 냉동인간의 꿈이 현실로 이어질 지는 아직 알 수 없다. 영원히 잠에서 깨어나지 못할 가능성을 배제하지 못하기 때문이다.이런 ... ...
구멍난 위가 알려준 소화 메커니즘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실험 요구에 응하지 않았으며, 82세에 사망했다. 훗날 여러 의학자들이 마르탱의
시신
을 육군 의학 박물관에 기증해달라고 요청했지만, 유족들은 이 요구에 응하지 않았다 ... ...
환자의 뇌를 갈아 질병 원인 규명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생각을 갖게 함으로써 신경계 질환 연구에 커다란 전기를 마련했다.또한 가이듀섹은
시신
을 먹지 않는 성인 남자들에게서 쿠루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을 관찰함으로써 식인 습관과 쿠루병과의 상관성을 알아낼 수 있었다. 실제로 1959년부터 식인을 금지한 결과 쿠루병을 앓는 환자가 거의 사라졌다 ... ...
허준은 스승의
시신
을 해부했을까?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다르며, 허준 의학의 특징이 무엇인지를 효과적으로 짚어낼 수 있다. 또한 전통 사회에서
시신
해부에 대한 생각이 어떠했으며, 해부학과 어느 정도 유사한 성격을 지닌 외과수술이 어떤 식으로 존재했는지를 살필 수 있다. 이런 고찰을 통해 과거의 의학과 문화가 현재의 그것과 사뭇 다른 것을 ... ...
인간과 더불어 산 얼음의 비밀
과학동아
l
1998년 08호
지킬 수 없기에 병든 몸이나마 네게 주노니 네 정진의 계기로 삼으라.” 자진한 스승의
시신
앞에서 가난한 대중과 제자에 대한 스승의 한없는 사랑에 망연했던 허준은, 스승의 가르침을 실천하는 의사가 될 것을 맹세했다. 스승의 살을 가를 날카로운 칼날을 집어들고 가늘게 떨리는 허준의 ... ...
불치병에 멍에 벗긴 당뇨병 치료제
과학동아
l
1998년 07호
탐구 결과는 1901년 발표됐다. 미국의 병리학자 린제이 오피는 당뇨병으로 죽은 환자들의
시신
을 부검한 결과 췌장의 랑게르한스섬에 어떤 병리적인 변화가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만일 사람 췌장의 기능이 정상이라면 당뇨병이 생기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췌장에서 분비되는 어떤 물질(인슐린)을 ... ...
한민족의 뿌리 알타이
과학동아
l
1997년 12호
스며든 물이 알타이산맥의 모진 기후 때문에 얼어붙어서 수천년 동안 파지리크인의
시신
과 유물이 원형 그대로 보존되고 있었다. 특히 문신을 새긴 얼음공주(1995년 한국 방문)는 거의 완벽한 미라로 발견됐다.그녀 옆에서는 9마리의 순장된 말과 여러 동물을 합쳐 하나로 만든 상상 속의 동물 장식이 ... ...
이집트 피라미드의 역사
과학동아
l
1997년 10호
이른다.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구덩이가 커다란 무덤으로 변하고 관이 사용되자
시신
은 모래와 직접 접촉하기 어려워졌다. 그래서 이집트인들은 인공적으로 미라를 만드는 방법을 연구하기 시작했다.한편 공들여 미라를 만들어도 끊임 없이 불어 닥치는 사막의 바람이 무덤을 흩날려 버리고 ... ...
Ⅰ. 20세기를 달려온 인공장기6 : 혈관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대체할 수 있는 혈관 개발이 시급하게 필요하다.현재 상품화된 것으로 사람의 탯줄이나
시신
, 동물로부터 얻은 생체조직을 화학적으로 처러힌 생체 인공혈관, 그리고 테플론 인공혈관이 있지만 아직 혈액의 응고나 면역반응을 일으킨다는 문제점이 완전히 해결되지 않았다. 현재 국내에서는 4mm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