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쓰레기
나머지
앙금
부스러기
남은것
잔재
폐물
d라이브러리
"
찌꺼기
"(으)로 총 236건 검색되었습니다.
마이크로맨의 눈에 비친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9호
물을 떠 현미경으로 보던 중 뱀처럼 돌돌 말려 있는 녹조류를 발견했다.또 치아에 붙은
찌꺼기
에서는 꼬물거리는 수많은 작은 동물을 발견했다. 레벤후크는‘관찰해서 얻는 지식에 대한 열망이 너무 커서’죽는 날까지 현미경이 보여 주는 작은 세계에 빠져 살았다.코르크마개에서 세포 발견 ... ...
향기로운 몸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7호
냄새나는 물질을 만들어서 고약한 냄새가 나는 것이랍니다.입입 안의 음식물
찌꺼기
, 잇몸이나 호흡기의 고름을 혐기성 세균이 분해하면 냄새가 난다.겨드랑이땀은 원래 냄새가 나지 않는다. 하지만 혐기성 세균이 땀을 분해하면 냄새가 난다.발땀에 의해 물러진 피부를 혐기성 세균이 분해하면 ... ...
그대에게 바치는 가을 보약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을 제거해 인체의 산화작용을 억제한다는 것이다.자유 라디칼은 일종의 불안정한 산소
찌꺼기
라고 생각하면 된다. 인체 세포에는 수많은 종류의 대사작용이 일어나고 이에 따른 부산물이 만들어지는데, 그 중 하나가 이른바 활성산소라 부르는 자유 라디칼이다. 자유 라디칼은 세포를 파괴하며 특히 ... ...
위장 다스려 건강한 여름나기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위장에서 소화된 음식물 가운데 영양분이 되는 것은 비장을 통해 흡수돼 기혈이 되고,
찌꺼기
는 소장과 대장을 거쳐 대변으로 배출된다. 소화기는 몸에 기혈을 공급하는 근본이다. 이 때문에 배탈이 나거나 소화불량에 걸리기 쉬운 여름철에는 소화기 질환을 예방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 ...
성격까지 밝게 만드는 치아교정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했기 때문이다. 교정 장치를 치아에 붙이면 아무래도 치아 닦기가 쉽지 않아 음식물
찌꺼기
나 치태(세균막)가 잘 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이를 성실히 닦지 않으면 충치나 잇몸병이 발생할 수 있다. 교정치료 중에 충분히 주의를 기울여 관리하면 치아와 잇몸을 평생 건강하게 사용할 수 있다.반드시 ... ...
남대문이 활짝 열렸다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티타늄 봉이 중요하게 쓰였다”고 말했다.먼저 석재에 찌든 때. 매연과 기름
찌꺼기
가 석재 표면에 두께 0.5mm 정도로 얇게 층을 형성하고 있었다. 천연 오일을 흡착시킨 뒤 때가 부들부들해지면 철솔질을 하고 알코올로 닦아냈다.다음으로 군데군데 갈라진 곳. 아교성분의 천연접착제에 돌가루를 ... ...
자연의 색을 돌려 줘!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0호
담가 둔다.3 재료 끓이기포도껍질을 물에 넣고 보라색이 우러날 때까지 끓인 다음, 체로
찌꺼기
를 거른다.4 염색하기거른 물에 손수건을 담그고 약한 불로 계속 가열한다. 염색이 되었으면 꺼내 말리고, 더 진한 색을 얻으려면 위의 과정을 반복한다.5염색 완성!손수건이 보라색으로 물들었다.매염제 ... ...
현대 과학으로도 풀 수 없는 신비한 ‘소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3호
의견도 있습니다. 인은 종의 주성분인 구리보다 가벼워서 구리를 녹일 때 위로 떠올라서
찌꺼기
로 여긴 장인이 제거했을 수도 있다는 것이지요.결국 성덕대왕 신종에 담긴 전설은 현대의 과학으로도 풀 수 없는 영원한 신비로 남아 있습니다. 그런데 전설뿐만 아니라 그 신비한 소리의 비밀 역시 ... ...
펭귄의 똥은 얼마나 날아갈까···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존 메인스톤과 고(故) 토마스 파넬 박사가 받았다. 이들은 원유를 정제할 때 나오는
찌꺼기
인 타르가 겉으로는 고체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액체라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1927년부터 실험을 시작했다. 이들은 깔대기에 부은 타르가 밑으로 떨어지는지 관찰했다. 8년이 지나 처음으로 타르 한 방울이 ... ...
파스퇴르의 백조목 플라스크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조사했다. 그는 영양액에서 왕성하게 자라는 미생물들과 매우 유사한 작은 입자들이 그
찌꺼기
속에 존재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미생물은 공기 중에 존재하는 것이 분명했다. 그는 먼지에 섞인 미생물이 공기를 통해 영양액 속에 들어가 번식한다고 생각했지만 이를 입증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