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쓰레기
나머지
앙금
부스러기
남은것
잔재
폐물
d라이브러리
"
찌꺼기
"(으)로 총 236건 검색되었습니다.
냄새나는 건강지표 똥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이 고형성분의 30-50%가 장내 세균덩어리다. 그리고 나머지가 소화되지 않은 음식물의
찌꺼기
와 장벽에서 떨어져나온 세포, 그리고 소화액 등이다. 그렇다고 대변의 주성분이 고형성분은 아니다. 대변의 70%는 수분이 차지한다. 변이 묽거나 된것은 바로 수분의 함량이 달라졌기 때문이다. 대변의 80% ... ...
방사성 쓰레기가 갈 곳은?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다른 것들은 증발장치로 끓인 다음 깨끗한 수증기는 냉각시켜 배수구로 방출하고,
찌꺼기
는 시멘트로 고체화한 후 철제 드럼에 넣어 보관한다. 마지막으로 작업복이나 덧신같은 고체 방사성 폐기물은 압축해 부피를 줄인 다음 철제 드럼에 넣어 봉한다.따라서 원자력발전소에서 생기는 ... ...
감추고 싶은 비밀 똥배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지방 분해 효과가 뛰어나므로 내장 지방을 줄이는데 효과가 크다.그리고 장 속의
찌꺼기
를 없애야 똥배가 사라진다고 믿는 사람들은 관장을 하기도 한다. 인체의 장 기능은 정상적인 식사에 잘 적응돼 있다. 따라서 비만 치료를 목적으로 인위적으로 관장을 하거나 장세척을 하면, 장 기능의 ... ...
내 몸의 건강지표 소변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채에
찌꺼기
가 끼거나 채그물에 녹이 슬어서 수분을 걸러내는 속도가 느려지고
찌꺼기
물질이 계속 혈액 속에 남아있게 되는 것과 같다. 이렇게 되면 소변량이 줄어들고, 소변으로 배출되지 못한 수분이 몸에 쌓여서 몸이 붓는다. 또 독성물질을 걸러내지 못하므로 이것이 몸에 쌓여 여러 가지 ... ...
10대들의 고민 여드름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가장 중요한 것은 얼굴을 비누로 자주 씻어주는 것이 다. 즉 모낭입구를 막고 있는
찌꺼기
를 제거해 주면서 피지배출을 원활하게 도와줘야 한다는 말이다. 또 여드름이 창피하다고 일부러 머리카락으로 가리고 다니는 사람들이 많은데 머리카락에는 균이 많이 있으므로 가급적 머리를 뒤로 모아 ... ...
① 신종 괴질이 몰려온다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시간이 지날수록 눈과 귀, 콧구멍에서 피가 솟아나오고, 결국 녹아가는 내장의 검은
찌꺼기
를 토하다 사망에 이른다.세계보건기구의 경고마버그와 에볼라는 모두 실타래처럼 생겼다. 하지만 이들에 의한 질환이 잘 구별되지 않는다. 그래서 이들을 통틀어 '아프리카형출혈열' 이라 부른다. ... ...
생물계의 공생전략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들여다보자. 대장균은 대략 5백여 종이 있어서 이것들은 소장에서 소화 흡수된 후에 생긴
찌꺼기
(주로 섬유소)를 분해해 먹이로 삼아서 살아간다. 대장에 ‘세균의 평화’, 즉 균형이 이뤄졌을 때 장이 건강한 것인데 만일에 세균 생태계의 균형이 깨지면(특별한 세균이 득세를 하면) 그것이 병인 ... ...
사랑의 맛 초콜릿
과학동아
l
1999년 02호
카카오매스에서 기름을 추출해 가공한 것이 카카오버터이고, 기름이 빠진 카카오의
찌꺼기
를 미세하게 처리한 것이 카카오 분말이다.이쯤 되면 다크 초콜릿에는 카카오 매스가 많이 들어있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다크 초콜릿에는 카카오 매스를 포함한 카카오 가공품이 45%이상, 분유는 5% ... ...
산과 염기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것은 당연하다. 하지만 서양에서 들여온 양잿물을 묽게 만들어서 불고기 판에 붙어있는
찌꺼기
를 씻어내는 것은 잿물을 세제로 사용하던 우리 선조의 지혜와 크게 다를 것이 없다. 즉 양잿물로 씻은 불고기 판을 깨끗한 물로 충분히 헹궈주기만 한다면 아무런 문제가 없다. 또 불고기 판을 씻어낸 ... ...
건강 파수꾼 침
과학동아
l
1998년 09호
깨끗이 유지해준다. 침은 99%가 수분이다. 이 수분이 입안을 흐르면서 구강내의 음식물
찌꺼기
와 세균을 씻어내 청결히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둘째로 윤활작용을 한다. 침이 약간 끈적끈적한 것은 침 속에 있는 뮤신(mucin)이라는 물질 때문이다. 뮤신은 당(糖)과 단백이 결합된 물질이다. 뮤신은 수분과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