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층리
지층
뉴스
"
성층
"(으)로 총 175건 검색되었습니다.
무인잠수정·바다표범 빙하 연구 합동작전…축구장 3배 전파망원경이 우주비밀 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25
대기과학과 교수 등 연구진은 빛을 잘 반사하는 방해석(탄산칼슘) 미세입자를 20㎞ 상공
성층
권에 소량(0.1∼1㎏) 살포해 반경 1㎞의 반사층을 형성한 뒤 지구로 들어오는 태양 빛의 감소량과 온도 변화, 미세입자와 대기 중 화학물질의 상호작용을 관측할 예정이다. 지구공학을 실제 지구환경에서 ... ...
차세대 ‘유기 태양전지’ 효율 높일 새 원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31
생겨날 때 효율이 대체로 떨어진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광활
성층
에서 전자를 분리해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연구진은 “이번 결과가 향후 고성능 단분자 유기반도체 개발 및 고효율의 전단분자 유기태양전지 실용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 ...
태양아, 지구를 부탁해!
동아사이언스
l
2018.10.29
실을 계획이다. 2017년 개기일식 관측에서 이미 1단계 기술 시험을 마쳤고, 2019년 지구
성층
권에서 풍선형 기구에 장비를 실어 2단계 시험을 진행할 계획이다. 마지막 3단계 시험은 우주정거장에 설치해 관측한다. NASA는 올 8월 최초로 태양 대기 안에 진입하는 탐사선인 ‘파커 솔라 프로브’를 보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화산폭발하면 식량 생산성 줄어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8.26
2000만 톤 이상의 화산재를 뿜어냈다. 이들 화산재는 지표면으로부터 약 10~50km 높이의
성층
권 영역에 겹겹이 쌓였다. Science 제공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8월 23일자에 ‘장막의 위험’이란 문구와 함께 먼지에 둘러싸인 지구 대기 모습을 담은 표지와 함께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 ...
[과학 읽어주는 언니] 싱그럽고 비린 여름냄새...정체가 뭘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7.12
박사의 연구에 따르면, 대류권의 광화학 반응에 의해 발생한 오존이 10~12%인 데 반해,
성층
권에서 대류권으로 이동한 오존은 20~27%로 두 배가 넘었다. 특히 여름철 폭우가 쏟아지면 높은 고도에 머무는 물질들이 대거 지상으로 내려온다. 여름철 폭우가 쏟아지면 높은 고도에 머무는 물질들이 대거 ... ...
국내 첫 과학기구 ‘스누볼’ 비행 후 해상회수 성공…저비용 지구관측 길 열려
동아사이언스
l
2018.06.20
‘스누볼(SNUBall)’의 비행 및 해상회수 시험에 성공했다고 20일 밝혔다. 과학기구는
성층
권 이상의 고도에서 지구를 관측하거나 과학 실험을 하는 데 활용하는 연구용 기구다. 동해 상공 17㎞ 고고도에서 비행 중인 과학기구 ‘스누볼(SNUBall)’의 상부 모습. 서울대 등 관련 기관 이름이 적힌 ... ...
‘백두산 과학기지’에서 분화 모니터링 한다
과학동아
l
2018.04.27
‘슈퍼화산’으로 경고하는 이유다. 화산폭발지수 5의 분화가 생기면 화산재는 10km 위
성층
권까지 올라갔다가 함경도 쪽으로 향한다. 약 300만 명의 함경도 주민은 전기가 끊긴 암흑 속에서 살게 된다. 국제 사회에서 고립된 북한이 견디기 어려운 수준의 재난 상황에 처하게 되는 셈이다. 남북 ... ...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수명 단축시키는 원인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4.24
그리고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전극에 나타나는 변화를 관찰했다. 그 결과, 광활
성층
의 요오드 이온이 분해돼 전극 아래에 쌓이고 전자수송층의 플러렌 분자와 반응하면서 점차 전극의 전기적 특성이 떨어진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 교수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성능 저하 문제의 ... ...
[사이언스 팩트체크] 러시아 개발 주장 ‘극초음속 순항미사일’ 사실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3.28
비행기처럼 하늘을 그대로 날아가는 방식이다. 일부 기종은 지상에서 약 50km 떨어진
성층
권 높이를 뚫고 지나가는 경우도 있다. 위성항법장치(GPS)를 이용해 정밀하게 원하는 위치를 공격할 수 있지만 탄도미사일보다 속도가 느려 상대적으로 요격당하기 쉽다는 단점이 있다. 이호준 건국대 ... ...
‘휘는 태양전지’ 실용화 가능해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1.24
경우 효율이 감소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반면 KIST 연구팀이 개발한 고분자 광활
성층
은 두께 350nm 이상으로 제작했을 때 오히려 효율이 향상됐다. 두께와 면적에 제약 없는 유기태양전지 개발이 가능해, 향후 건물 유리창이나 아웃도어 제품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