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층리
지층
뉴스
"
성층
"(으)로 총 175건 검색되었습니다.
유기 태양전지 효율 7.5%, 세계 최고 기록 달성
2016.02.02
생성하는 영역인 ‘광활
성층
’을 플라스틱 같은 유기물로 만드는 태양전지다. 광활
성층
을 실리콘으로 만드는 기존의 단단한 태양전지와 달리 가볍고 유연해 차세대 태양전지로 주목받고 있지만 효율이 낮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인쇄하듯 찍어낸 대면적 유기 태양전지의 효율은 실험실에서 작은 ... ...
무선전력전송 기술 어디까지 왔나
2015.12.11
생산한 뒤 이를 무선으로 지상에 보내는 기술을 연구 중이다. 박영진 센터장은 “
성층
권을 비행하는 ‘고고도무인기(高高度無人機)’에 전력을 무선으로 공급하는 게 1차 목표”라며 “최종 목표는 우주 태양광 발전 기술을 자체적으로 개발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 ...
목성에 폭풍이 350년 넘게 지속된 이유
2015.12.01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 모리츠 하임펠 캐나다 앨버타대 교수팀은 목성의 대류권과
성층
권 사이에서 발생하는 강한 제트기류와 폭풍을 3D 시뮬레이션 모델로 구현했다고 ‘네이처’ 자매지 ‘네이처 지오사이언스(Nature Geoscience)’ 11월 30일 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지금까지 이 폭풍은 목성의 ... ...
열기구타고 우주여행하는 시대올까
2015.11.15
면에서 수월하게 도전할 수 있다. 이 여행상품은 부피 110만㎥인 헬륨 풍선을 이용해
성층
권까지 올라가 2시간 정도 지구의 모습을 감상하는 일정으로 구성된다. 헬륨 풍선에는 조종사 2명을 포함한 8명이 탑승할 수 있는 캡슐이 달려 있다. 캡슐엔 화장실과 미니바, 인터넷 접속까지 가능한 첨단 ... ...
‘新 엘도라도’
성층
권 우주전쟁
동아일보
l
2015.10.20
날아 고도 14.12km까지 날아오르며
성층
권 진입에 성공했다. 항우연은 앞으로 수일 이상
성층
권 연속 비행이 가능토록 한다는 계획이다. 김승호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고정익기연구단장은 “2차전지의 용량을 높여야 수일 이상 장기간 비행이 가능할 것”이라며 “카메라를 비롯한 센서, 기타 장비의 ... ...
구글·페이스북이 탐낸 비행기, 국내 연구진이 개발
2015.08.11
3을 한층 발전시켜 수일 이상
성층
권 연속비행에 도전할 계획이다. 김 단장은 “제퍼가
성층
권에서 장기체류할 수 있는 것은 차세대 고성능 ‘리튬황’ 배터리 제조법을 확보했기 때문”이라며 “현재 국내 연구진과 공동연구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말했다. ... ...
옛 지구의 속살을 보다
과학동아
l
2015.06.30
등장할 수 있었다. 식물과 동물이 이 때 육지로 올라온 데에는 오존층의 역할이 컸다.
성층
권에 존재하는 오존층은 자외선이 지표에 도달하지 못하게 막아준다. 오존층이 없을 때에는 자외선이 지표면까지 도달했는데, 이 때문에 생명체가 살기 불가능했다. 바닷속만 예외였다. 바다 속으로는 ... ...
인공피부는 호크아이를 구할 수 있을까
2015.05.08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최영준 한국천문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지름 100㎞의 도시를
성층
권 높이인 약 30㎞까지 들어 올려 자유낙하 시키면 전 지구적인 피해는 아니더라도 한 국가에 치명적인 피해를 줄 것”으로 전망했다. 서울의 경우 동서 간 거리가 약 30㎞이며, 경기도는 130㎞ 정도다. 우주에서 ... ...
수천 번 접었다 펴도 끄떡없는 태양전지
2015.03.17
내다보고 있다. 특히 수평구조 유기물 태양전지는 수직구조와 달리 태양빛과 광활
성층
을 직접 만나게 만들었기 때문에 전극을 투명하게 만들 필요가 없다. 또 인쇄하듯 유기물 용액을 이용해서 찍어내는 방식으로 쉽게 제작할 수 있다. 조길원 교수팀의 연구 성과가 표지 논문으로 실린 학술지 ... ...
북극 얼음 좀 녹았을 뿐인데…
2014.09.03
행성파(planatary wave)를 활성화 한다. 그 결과
성층
권의 온도가 높아지고, 이로 인해
성층
권의 기압에 변화가 생기면서 여기 있던 북극 소용돌이의 속도가 줄어든다. 북극 소용돌이가 약해지면 이 안에 갇혀 있던 북극의 냉기가 북극을 벗어나 중위도 지역까지 내려오게 된다. 연구팀은 이 북극의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